삼국지도10폭병풍
111.0×30.0 지본채색 19세기 후반 계명대학교박물관
중국 원대의 소설가 나관중이 지은 장편 역사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주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청대에 모종강(毛宗崗)에 의해 개정본이 나왔는데, 이후 소설, 그림, 연극 등 대부분이 이 모종강본에 의해 구현되는데,
이 그림 역시 모종강본에 근거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야기의 주요 장면을 그렸는데, 등장하는 인물과 산수의 표현이 매우 희화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본 순서는 이야기의 전개순으로 재배치한 것으로, 원래 표구는 1-9-2-45-6-7-8-3-10폭 순으로 되어 있다.
삼국지도 세부
1 2
1폭 : 동령관에서 조조가 관운장에게 예물을 바치다.
2폭 : 유황숙(현덕)의 삼고초려.
3 4
3폭 : 관운장이 화용에서 조조를 풀어주다.
4폭 : 정군산에서 자룡(조운)이 한승을 구하다.
5 6
5폭 : 장판교에서의 장비가 크게 소리 치다.
6폭 ; 삼강구에서 공근(주유)이 불을 놓다.
7 8
7폭 : 적병강에서 아만(조조)가 패해서 도망가다.
8폭 : 동관에서 조조가 수염을 베고 도망가다.
9 10
9폭 : 관운장이 공수의 목을 베다.
10폭 : 유비가 한중왕(제위)에 나가 천(대통)통을 잇다.
삼국지도10폭병풍
137.0×43.0 견본채색 20세기 전반 계명대학교박물관
이야기의 전개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데, 한 화면에 연관된 두 장면을 그려 넣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인물의 표현이 중국인 얼굴 생김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ㅓ. 복식 밑단 문양 표현 등은 청대 복식을 충실히 묘사하고 있어
중국의 본을 그대로 따라 그렸거나 중국 그림일 가능성도 있다.
삼국지 세부도
● 1폭은 도원에서 세 호걸이 의형제를 맺는 장면과, 장비(익덕)이 노하여 독우를 때리는 장면이다.
● 2폭은 세 영웅이 여포와 싸워 이기는 장면이 전체에 그려져 있다.
● 3폭은 아만(조조)의 허전의 사냥터 장면과 예정평(예형)이 발가벗어 조조를 구짖는 장면이다.
● 4폭은 유현덕이 백성들을 이끌고 강을 건너는 장면과 장판교에서 장비가 소리치는 장면이다.
● 5폭은 제갈량이 유생들과 설전을 벌리는 장면이다.
● 6폭은 칠성단에서 제갈량이 바람을 비는 장면과 삼강의 입구에서 주유가 불을 놓는 장면이다.
● 7폭은 관운장이 조조를 풀어주는 장면이다.
● 8폭은 관운장이 황한승(황충)을 풀어주는 장면과 현덕이 손부인과 이별하는 대목이다.
● 9폭은 관운장이 단검 한자루로 동오에 가는 장면과 유현덕이 한중왕에 나가는 장면이다.
● 10폭은 옥천산에 관우 혼령이 나타난 장면과 유선주(유비)가 유선을 공명에게 부탁하는 장면이다.
상산사호(商山四皓)
56.5×35.9 지본담채 19세기 말~20세기 초 선문대학교박물관
상산사호(商山四皓)는 중국 진시황 때에 난리를 피해 섬서성(陝西省) 상산에 들어가 숨은 네 사람,
동원공, 기리계, 하황공, 각리 선생을 이르는 것. 호(皓)는 본디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어지러운 속세를 떠나 은둔자의 삶을 살면서 영초(靈草)를 따 먹고 신선(神仙)이 되어 장생불사했다는 내용이다.
부암판축(傅巖坂築)
56.8×35.7 지본담채 19세기 말~20세기 초 선문대학교박물관
부암판축은 『서경(書經)』「예명(說命)」편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은(殷0나라 고종(高宗)이 자신이 꿈속에서 본 현인을 백방으로 찾았다.
그러다가 부암(傅巖)에서 건축공사〔坂築〕를 하는 부열(傅說)을 찾아내어 그를 재상(宰相)으로 삼았는데,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룬 현명한
재상이 되었다는 고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현인들은 많은 고통과 험난한 세상을 경험한 사람 속에 있다는 교훈을 전해주는 내용이다.
이러한 고사도는 보통 6-8폭으로 구성되는데, 이 그림들은 그 가운데 자주 등장하는 두 폭이다.
이야기의 전달이라는 일차적 목적을 위해 그린 것으로 그림에 솜씨가 없는 일반인들도 자손의 교육을 위해 직접 그려
사용하기도 했다고 하는데, 이 그림들은 민간화의 그러한 예가 아닌가 생각된다.
● 인용서적 : 부산대학교『행복이 가득한 그림 민화』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해탐매(己亥探梅) 2 (0) | 2019.03.22 |
---|---|
민화 5 <산수화> (0) | 2019.03.22 |
민화 3 <문자도> (0) | 2019.03.21 |
민화 2 <귀한 자식, 높은 벼슬> (0) | 2019.03.20 |
민화 1 <행복소망> (0) | 2019.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