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탐매(丁酉探梅) 2편
무각매(無覺梅) / 강설매(講說梅) / 자장매(慈藏梅) / 영취매(靈鷲梅)
2017년 1월 23일
무각매(無覺梅)
광주광역시 무각사 만첩홍매
설중탐매(雪重探梅)
아직은 개화가 멀었지만 벌써부터 코끝에 맴도는 매향의 느낌.
강설매(講說梅)
시린 겨울 하늘을 배경으로 선 무각사 강설당 백매
자장매(慈藏梅)
약 300여년 수령으로 일명 지식수(知識樹)라 일컫는 양산 통도사 영각 앞 5엽 홍매
영취매(靈鷲梅)
통도사 종무소 앞 겹홍매
거제 '다빈가'에서의 매화차
홍백매화도(紅白梅花圖)
조희룡, 종이에 엷은 채색, 각 폭 124.8×46.4cm, 19세기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매화서옥도 / 우봉 조희룡
18세기, 족자, 종이에 담채, 106 Cm X 45.4 cm, 간송미술관
19세기 전반기 예림(藝林)의 총수는 추사 김정희였다.
그리고 추사의 예술적 이상을 가장 훌륭히 구현한 서화가는 우봉(又峰) 조희룡(趙熙龍·1789~1866)이었다.
우봉은 출신이 중인이어서 오위장(五衛將) 벼슬을 지냈을 뿐 이렇다 할 이력이 없다.
그러나 시서화 모두에 능한 당대의 문사였다. 그는 중인 문학서클인 벽오사(碧梧社)의 중심인물이었으며,
한때 헌종은 그에게 금강산 명승지마다 시를 지어오라는 명을 내리기도 했다.
또 역대 중인들의 삶을 기록한 '호산외사(壺山外史)'도 저술했다.
우봉은 추사의 충실한 제자였다. 글씨와 그림은 추사를 빼어다 옮긴 듯이 닮았다.
1851년, 추사가 또다시 북청으로 유배가는 사건이 일어났을 때 우봉은 그 측근으로 연좌되어
신안군 임자도에서 3년간 유배생활을 해야 했다.
그런데 추사는 아들에게 보낸 한 편지에서 우봉의 난초 그림엔 문자향(文字香), 서권기(書卷氣)가 부족하다고 했다.
이 구절은 오늘날까지 우봉의 예술을 평하는 데 꼬리표처럼 붙어 다닌다.
그러나 아들에게 공부 열심히 하라는 자극을 주기 위해 가볍게 예를 든 이 사적인 편지가
제자 우봉의 평가에 치명상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면 추사는 저세상에서 미안한 마음을 감추지 못할 것 같다.
내가 보기에 우봉은 추사체를 감각적으로 재해석했다. 추사체의 거친 맛에 부드러움을 가했다.
그래서 추사의 글씨는 강하고 우봉의 글씨는 예쁘다. 추사가 못마땅했다면 그 점일 것이다.
화가로서 우봉의 장기는 매화 그림이었다. 그의 '홍매대련(紅梅對聯
)'을 보면
화면을 꽉 채우는 파격적인 구도, 강한 필치의 줄기, 춤추는 듯한 예쁜 꽃송이들이 어울리면서 보는 이를 압도한다.
감동적인 명작이다. 거기에 예의 '예쁜 추사체'로 스스럼없이 써 내린 화제(畵題)는 그림 속에 문기를 더해 준다.
추사도, 당대의 그 누구도 이르지 못한 높은 경지의 문인화다. 우봉은 확실히 순조 헌종 연간 최고가는 화가였다.
- 유홍준의 국보순례 중에서 발췌 -
탁자 위에 피어난 매담(梅談)
광주광역시 무각사 로터스갤러리
중창불사특별전
작가 : 임종로
(2017년 1월 15일 ~ 02월 15일)
호령회 정기모임
'자연 > 탐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유탐매(丁酉探梅) 4편 (0) | 2017.03.28 |
---|---|
정유탐매(丁酉探梅) 3편 (0) | 2017.03.24 |
정유탐매(丁酉探梅) 1편 (0) | 2017.01.25 |
용문매(龍門梅)는 사라지고... (0) | 2016.08.02 |
병신탐매(丙申探梅) 16편 (0) | 2016.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