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5. 17~18
고흥 팔영산 능가사
능가사 사적비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0호) -
비신 전면 상단에 전서체의 횡서로 「興陽八影山楞伽寺事蹟碑」라 썻고,
비명은 「朝鮮國全羅道興陽縣八影山楞伽寺事蹟碑銘幷序」이다.
전면은 모두 19행으로 1행 63자인데 행서체로 홍문관부제학 오수채가 짓고
사헌부대사헌 조명교(1687~1753)가 전서와 함께 비문도 썼다.
「崇禎紀元後再庚午 月 日立」이라는 명문으로 보아 1690년(숙종 16)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원래는 보현사라는 이름으로 신라 눌지왕 3년(419년, 東晋 의희13) 아도화상이 세운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는데. 아도화상의 생존연대(3세기)와도 차이가 있고,
정황상 맞지 않는 부분이 발견되기 때문에 비문 내용의 신빙성에 이견이 있다고 한다.
비 머리는 장방형으로 하단에는 위로 향한 연화문과 운용문을 새겼으며
상단은 용 두 마리가 중앙의 여의주를 향해 서로 안쪽을 보고 있다.
네 귀퉁이에는 사자상을 새겼고
오른쪽 측면엔 귀면을 새겨 멋스러움을 더 한다.
비문 중,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 화우도이(火于島夷) -
임란 때, 섬나라 오랑캐 들에 의해 절이 불타버렸다는 얘기다.
나라 안의 절 가운데 손가락에 꼽을 만큼 당당한 사세를 자랑했던 능가사.
절의 위치가 바닷가 이다 보니 그 폐해는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겠다.
화순 운주사
![]() |
|||||
|
|||||
운주사 전각 배치도 | |||||
|
칠성바위
내가 가장 좋아하는 운주사 석탑위로 낮달이 걸렸다.
'자연 > 산행·여행·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은(睡隱) 강항(姜沆) (0) | 2016.07.28 |
---|---|
불갑사 진노랑상사화 (0) | 2016.07.28 |
녹우당 원림 (0) | 2016.05.08 |
보길도 부용동 원림 (0) | 2016.05.07 |
영산홍 붉음을 따라간 길 (0) | 2016.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