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를 통해 미래를 배우는 여행
밥상머리 선비교육 회초리 回 . 初 . 理 (2편)
2016. 4. 1 ~ 2
백암산 백양사
고려와 조선조 시인묵객들의 찬사가 넘쳐나는 쌍계루에서의 詩 낭송
백양사의 근대 고승 만암 종헌 대선사의 '이뭣고' 탑 앞에서...
‘북 마하연 남 운문‘ 이란 말이 불가에 회자되어 온다.
북에서는 금강산 마하연이요, 남에서는 백양사 운문암에서의 공부 성과를 최고로 친다는 뜻.
고려시대 각진국사를 비롯 조선시대 소요, 태능, 편양, 진묵, 연담을 비롯,
조선 말기 불교를 이끌어 왔던 백파, 학명, 용성, 인곡, 석전, 만암, 고암에 이르기 까지
고불총림 백양사는 수많은 고승 대덕을 꾸준히 배출해 왔다.
조선홍매를 대표하는 백양사 경내의 고불매(故佛梅)
오랜 세월의 탐매 이력을 바탕으로 단언컨데,
나라안 홍매를 통틀어 꽃의 격조와 수세도 으뜸이지만,
특히 매향에 있어서 현존하는 조선의 매화 가운데 단연 최고라는 사실.
우화루 창을 통해 내다다본 고불매
우화루 찻자리와 함께 어우러진
은산(隱山) 강금복 화백의 매화도 그리기
* 대한민국 문화예술상(문화체육부장관상)
* 세종종합정부청사 미술공모 당선(2013. 2014)
*미국/스페인/네달란드/중국/대만/이태리 전시
* 국립현대미술관 ART Bank선정 (2006. 2007)
* 찾아가는 미술관 초대(국립현대미술관) (2006, 2007)
* Blue, ASIA전(서울예술의전당)
*한국미술전 올해의 우수작가 선정(세종문화예술회관) (2002)
*전라남도 문화예술상 수상(2014)
*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 * 동아국제 미술대전 심사
* 대한민국 남농미술대전 심사
* 전라남도 미술대전 심사 * 전라남도 미술은행 심사
고불총림 백양사 역대 조실
왼편부터 만암스님, 서옹스님, 수산스님
문인 여러분께서 머물게 될 청백당
청백당 강당에서 '소원등' 점화
강금백 화백의 매화 치기 시범
'자연 > 산행·여행·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월신록 (0) | 2016.04.14 |
---|---|
밥상머리 선비교육 회초리 回 . 初 . 理 (3편) (0) | 2016.04.02 |
밥상머리 선비교육 회초리 回 . 初 .理 (1편) (0) | 2016.04.02 |
산사 순례 (0) | 2016.03.14 |
신야도원(莘埜桃源) 상신(上莘)마을 (0) | 2016.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