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탐매

갑오탐매(甲午探梅) 3편

갑오탐매 (甲午探梅)  3

 

 

둔사 납월매

 

 

2014. 3. 11

 

 

 

 

 

 

 

 

 

 

 

 

 

 

 

 

 

 

 

 

 

 

 

 

 

 

 

 

 

 

 

 

 

 

 

 

 

 

 

 

 

 

 

 

 

 

 

 

 

 

 

 

 

 

 

 

 

 

 

 

 

 

 

 

 

 

 

 

 

 

 

 

 

 

 

 

 

 

 

 

 

 

 

 

 

 

 

 

 

 

 

 

 

 

 

 

 

 

 

 

 

 

 

 

 

 

 

 

 

 

 

 

 

 

 

 

 

 

 

 

 

 

 

 

 

 

 

 

 

 

 

 

 

 

 

 

 

 

 

 

 

 

 

 

 

 

 

 

 

 

 

 

 

 

 

 

 

 

 

 

 

 

꽃이 사랑을 받아온 것은 그 색채와 향내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의 선비 문화에서는 조선의 백자처럼 화려한 색채를 배제하고 무채색의 담박한 흰빛을 좋아했다.

「천엽(千葉)이 단엽만 못하고 홍매가 백매만 못하다.」고 한 다산(茶山)의 말대로 한국에서 '매화라고 하면

홍매가 아니라 으레 백매' 를 의미한다. 

 

한국인은 꽃의 향기에 있어서도 짙은 냄새를 기피하고 매화 같은 암향을 좋아한다.

그래서 우리 선조들은 목단의 향기가 너무 짙어 머리를 아프게 한다 하여 자두향(刺頭香)이라 불렀고,

벚꽃의 향내 역시 지리다 하여 요통향(尿痛香)이라고 싫어했다.

 

균형과 절제된 감각을 중시해 온 한국 선비 문화에서 있는 듯 없는 듯한 매화의 암향을 즐기고 예찬했던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그러므로 모란처럼 울긋불긋한 꽃 색의 화려함이나 짙은 향기를 억제와 참음과 숨김의

이념적 필터로 모두 걸러 낸 꽃이 바로 매화라 할 수 있다. 그것이 농염과 대립을 이루는 냉염이요,

이향과 겨루는 암향이다.

 

 

-  이어령의 '모노크롬과 암향' 중에서 -

 

 

 

'자연 > 탐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오탐매(甲午探梅) 5편  (0) 2014.03.17
갑오탐매(甲午探梅) 4편  (0) 2014.03.12
갑오탐매(甲午探梅) 2편  (0) 2014.01.26
갑오탐매(甲午探梅) 1편  (0) 2014.01.16
삼짇날에 왔다던가...  (0) 201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