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산행·여행·풍경

들꽃과 수달래의 천국 - 청송 주왕산 -

                                         @경북 청송 주왕산                                       

  @ 대전사 - 장군봉 - 금은광이 네거리 - 1,2,3 폭포 -  대전사                                       

  @ 2008, 4, 26 토요일                                      

   @ TEAM 백두와 함께

 

 

 

주산지 1 

 

 

주산지 2

 

 

주산지 3

 

 

배경도, 의상도,,,,, 푸르딩딩을 너무 싸랑 함 일까?

주산지에 펼쳐진 푸른나비님의 호탕한(?) 미소

 

 

주산지를 배경으로한 팀백두의 간판남녀

 

 

 

 

 

 

 

흰꽃이 피어나는 쇠물푸레나무를 배경으로  

바위 틈에 뿌리를 박은 앞쪽의 야생 회양목

 

 

장군봉을 오르면서 바라본 주왕암

 

 

 

 

 

 

 

 

 

올 들어 처음 마주친 천남성

 

 

 홀아비꽃대의 産苦

 

 

산고를 겪고서야 비로소 이런 아름다움이...

 

 

강한 바람 탓에 꽃잎을 열지 못하는 피나물

 

 

이름이 쬐께 거시기한(?) 쥐오줌풀

 

 

노루삼

 

 

광대수염

 

 

괭이눈

 

 

분꽃나무

 

 

주왕산 소나무에 모조리 나 있는 송진 채취 흔적

 

 

 

 

 

 

 

 

 

 

 

 

 

 

학소대

 

 

 

 

 

급수대

 

 

 

 

 

 

철쭉이 이리도 예쁜 줄 예전엔 미쳐 몰랐습니다

계곡에 피어난 주왕산 수달래

 

 

 

 

 

다시 되돌아온 대전사

 

 

 

 

 

오늘

 우리 모두의 행복도  불과 잠시 후면 이럴진데....

 

 

               된비알의 장군봉 오름길.

 

              쌀쌀한 느낌을 줄 정도의 바람이 불어대고 있지만              

다소 숨만 가쁠 뿐, 땀은 닦을 새도 없이 증발 해 버리니 상쾌 그 자체다.

 

              잔뜩 흐린데다 약간의 황사 기운마저 감도는지라 오늘의 사진빨(?)은 꽝.              

허나, 어둠이 있으면 광명이요, 입술이 없으면 잇몸이라 했것다.

 

              우중충한 날씨를 상쇄시키고도 남을 만큼의 황홀한 들꽃 경연장이 주왕산             

  일원에 마련되어 이 산객의 가슴을 벌렁거리게 만들 줄이야.....!

 

              이렇게 아름다운 들꽃 페스티벌을 제쳐두고, 겨우“수달래축제”라.....?             

  먹고, 마시고, 너 죽고 나 죽자, 스피커가 토해대는 저 광란의 소음은 또 어떻고?

 

              주왕산 산신령과 대전사 부처님 듀엣께서는 아마도, 진즉에 산을 떠났거나              

아니면 어딘가의 정신병동에 입원, 치료 불능 상태에 빠져 계실 듯.....!

 

              하기야, 요즘 절집의 부처 모두는 찬불가와 염불에다 목탁소리 등을 들으려면              

광폭장치의 힘을 빌지 않고서는 어림없다는 애길 어디선가 들은 것도 같다.

 

              이윤 즉, 신도들의 주머니를 털어내려면 부처의 염력(?)을 크게 홍보해야 하고             

그러자면 볼륨을 올릴 수밖에 없고, 반대급부로 얻어지는 게 “가는귀”라고...

 

                금은광이 네거리에서 내원동 골짜기로 내려서 1,2,3폭포를 거쳐 학소대, 망월대

             등을 지나 대전사에 이르는 길의 풍취와 아취는 다행이도 전혀 줄지 않고 있었다.

 

                학소대를 지나 흐르는 물을 따라 내려가며 화사하게 웃음 짓는 “수달래”의 모습은

              마치 우아한 단정학의 머리에 박힌 붉은점을 연상시켜 주리만치 감동적이었다.

 

                흔하디 흔한 일반 철쭉에서 이토록 우아한 감흥을 얻을 수 있었음은

             청류와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삼삼한 배경을 바탕으로 깔고 피어났기 때문이리라.

 

             모처럼, 물 한 모금의 갈증도 느껴 볼 새 없었던 청량하기 이를 데 없었던 주왕산.             

불어오는 바람에 폐부는 시원했고. 白美(백두미녀) 다수여서 더욱 아름다웠던 산행.

 

                아름다운 산이 곁에 있어 행복하고, 그 산을 오를 수 있는 두 다리가 있음에 더욱

             행복 하고, 행복 하다보니 개평으로 더욱 행복 할  수밖에 없는.  

               

그래서 우리 모두는             

행복한 ****** 山男山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