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덕유산국립공원 내 "망봉"(1046.5 m) - 전북 무주군 안성면
@ 원통사 - 임도와계곡 - 무룡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 칠연폭포 쪽으로 약 500여미터 -
다시 능선으로 후퇴 - 망봉 정상 - 원통사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원점회귀
(약 4시간 소요)
@ 2008, 3, 9 일요일
북덕유에서 남덕유를 향해 뻗어가는 무룡산 자락에서 안성면 쪽 으로
가지를 쳐서 한참을 흘러내리다 제법 힘 주어 솟은 산이 바로 망봉이다
원통골(명천)계곡을 가로 막은 얼어붙은 명천호에서 바라본 모습
멀리 맨 왼쪽 부분이 망봉이고, 오른쪽은 무룡산으로 뻗어간다.
오름길에 만난 정체 불명의 돌 무더기
혹, 호랑이에게 물려 죽었다는 자의 무덤은 아닐까....?
승용차는 원통사까지 오를 수 있으나 응달진 길에 눈이 쌓이고 얼어붙기까지
해서 마지막 다리 조금 못미친 언덕배기 아래다 차를 세우고 걸어 오르기 시작.
원통사지
전라북도 기념물 제 67호
신라 때 창건 했고 조선 숙종 24년(1698)에 중건했다는 기록이 있다는데
여순 사건 때 모조리 타버렸다고, 지금의 건물은 1985년 이후 새로 신축.
을사보호조약과 정미칠조약이 체결되었을 때 문태서, 신명선, 김동신 등
의병장들이 이곳을 근거지로 삼고 항일 투쟁을 전개 한 사실이 있다고....
원통사 식수로 쓰인다는 석간 용출수
물 맛 한번 기막히다는 주지 스님의 찬사에
"찻물로는 어떻습니까?"
라고 여쭈었더니 "그 역시 기막히다" 라는 즉답.
근자에 세워진 이런 저런 당우에다 번듯한 해우소까지 있었으나
눈 앞의 구식(?) 해우소의 정감어린 모습이 자꾸만 시선을 붙잡습니다.
가시를 헤쳐 내려온 하산의 끝자락은 바로 저 해우소 뒷편이었습니다
해우소 우측, 휀스로 가로막은 통행금지 임도.
원통사 미남주지스님의
자비심 넘치는 특별(?) 허락하에 통과하게 됩니다.
임도에 막 들어서 언덕을 올라 끝자락 너머에 가 봤더니 덕유산에
내리는 비의 양을 자동 측정하는 우량계가 시설되어 있더군요
언덕을 돌아 작전도로로 추정되는 묵은 길이
계속해서 계곡을 따라 이어지는 가운데
고도를 점점 높여가자니, 오늘의 감상 포인트.
굵은 소나무가 무리지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드디어 무룡산에서 망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다가오고
능선에 올라 무룡산에서 동엽령으로 이어지는 라인을 바라봅니다
능선너머 용추계곡의 칠연폭포를 향해 내려가다가
포기하고 되돌아와 조릿대와 송림을 헤치며 망봉으로..
망봉 정상 조금 못 미친 지점에서 건너다본 향적봉 라인
굵은 적송의 은은한 향이 내내 코 끝을 맴도는 망봉의 송림
이 기막힌 금강송림의 풍경을 추천 해주신 가이드께 캄솨.
망봉의 정상에서 시멘트에 山이라 새겨진 사찰림의
경계 표지를 (원통사 주지스님 설명) 만났습니다.
)
미끈하게 고사된 소나무도 묘한 매력으로 다가오고..
송림 사이로 건너다 보이는 삿갓봉? 시루봉?
명품 소나무 숲이 분명할진데 어인 일인지
전혀 관리한 흔적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간벌과 가지치기를 해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왼편의 무룡산에서 삿갓골과 삿갓봉으로 이어지는 라인
삿갓봉을 왼편으로 타고 내려온 삿갓골재에
까만 콘테이너처럼 보이는 것은 삿갓재 대피소
원통사로 이어지는 능선을 내려가다 유일하게
놓여진 조망바위 위로 올라가 뒤돌아본 망봉
바위에 올라 조망을 즐기시는 쥔님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보따리와 지팡이
절로 내려서는 마지막 지점이 다소간 애매 했지만
정확히 원통사 원조 측간 뒷편으로 내려왔습니다.
절 마당에서 바라본 왼편의 시루봉(1105.4m)과 오른편의 명천안산(843.8m)
망봉을 오르는 산자락 거의 7부 능선 상에 위치한 원통사, 구불대는 경사길 끝자락
건장한 체격을 소유한 스님 한 분이 절 입구에서 올라오는 객을 바라보고 서 있다.
인사를 드리고 법호를 여쭈니 원통사의 주지 "진일"스님이시라며 명함을 내 놓는다.
근데 차림새를 보아하니 하의는 승복이요, 상의는 아웃도어 차림에다 모자는 등산모.
어쩐지, 뭔가 대화가 통할 성 싶다고나 할까 !
아니나 다를까? 대화를 나누다보니 완벽한 산꾼스님임이 점차로 드러나게 됩니다.
덕유산 종주만 두 번을 해 내셨고 지리산 종주도 수차례라.
인도 성지 순례에다 히말라야 섭렵에 이르기까지의 시네마스코프는 한없이 이어지는데
절을 지나 산에 오르는 길은 진즉에 폐쇄했노라 는 말씀에다 산 여기저기의 쓰레기를
치우느라 엄청 애를 쓰신 모양, 이어지는 억양인 즉, 완곡한 입산통제를 말씀하시려는 듯!
흐~흠, 그렇다고 해서 이 먼 곳까지 와서 그냥 돌아설 수야 없지 않겠는가............??
문득 떠오르는 한 생각, 여기는 절집이요 절은 부처가 머무르는 공간이 아니던가!
예수 동네의 표어는 사랑이요, 절집의 트레이드마크는 자비라고 하지 않았던가?
부디 가여운 이 중생의 배낭에 자비가 가득 채워지길 기대하며 대화의 끈을 이어간다.
우리가 서 있는 곳 바로 앞에 보이는 우물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얼마 전에 입적하셨다는
당신이 모신 큰 스님에 대한 관심 표명과 모 언론사에 보도되었다는 기사에 이르기까지...
마침내 이내 가여운 중생의 간절함에 자비로우신 비로자나불의 허락이 떨어지는 듯.
“좋습니다, 저기 저 입산금지 휀스를 넘어 임도를 따라 오르는 게 좋을 성 싶습니다”
능선을 곧장 치고 오르기엔 너무 어려울 거라는 말씀까지 곁드려 주십니다.
“나무진월스님타불, 관세음보살~~~~~~~~~~~·”
산적 혼자였으면 어림없었을 망산 입산.
가이드의 절대 조력 미소에 원통사 부처님께서 감동,,,? 나무가이드타불, 찌깐관세음보살
멧톨들의 목욕장과 잔치판이 계속되는 섬뜩한 길이 내내 이어지지만 신경 끄고 산행시작.
강산에님의 표지기가 유일하게 간간히 이어지는 눈 쌓인 계곡을 따라 능선을 향한다.
얼마나 올랐을까? 오늘의 가이드께서 상찬해 마지않던 울창한 송림이 나타난다.
과연......! 탄성이 절로 나오리만치 쭉쭉 빵빵한 적송이 특유의 향기와 어우러진 모습.
키작은 울창한 조릿대를 헤치고 무룡산에서 망봉으로 이어져 내리는 능선에 당도하여
능선너머 칠연폭포를 향하여 눈을 헤치며 한참을 내려갔는데 어렵겠다는 판단이 선다.
칠연폭포를 포기하고 곧장 능선으로 되돌아와 마른 곳을 찾아 중식을 해결하고
망봉 정상에 오르는데 나무가 우거져 시야를 방해하는 관계로 조망은 별로다.
허지만, 건너편 눈 덮인 향적봉 라인은 시원하기 이를 데 없는 최고의 설경을 보여준다.
올라왔던 코스를 버리고 원통사로 곧장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내려가기로 결정한다.
역시 금강송이 울창하게 자리한 지대를 지나 단 한곳의 전망바위를 거쳐 내려오는데
나뭇가지 사이로 언뜻 원통사의 모습이 보이고, 그렇다면 목적했던 코스가 분명하다
잡목과 눈과 너덜이 엉클어진 원통사 뒷편을 통과하여 가시를 헤쳐나오니 정확하게 산행
시작점이었던 오리지널 원통사 측간 뒤편으로 내려왔다.
전기톱 소리가 요란한 곳으로 다가가니 누군가가 나무를 자르고 있었는데 가까이 가 보니
작업복 차림으로 모습을 바꾼 주지 진일 스님이시다.
절 뒷편으로의 산길을 폐쇄 했노라고 누누히 강조하셨건만 내려서고보니 절 뒷쪽이라 여간
죄송한게 아니었다. 간단한 인사를 마치고 서둘러 산을 내려가는데.
절을 지키신다는 처사께서
첫 물이나 다름없다는 덕유산 고로쇠 수액을 통에 담아 차에 싣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한 통에 얼마나 합니까?'
"첫 물은 오만원이었는데 요건 사만오천원 받습니다."
- 후기 -
오늘의 이 코스는 원통사 측에서 철저히 통제하고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사찰림인데다, 수행을 위한 청정도량 유지를 위해서인 듯 하니 막무가내 식의 산행은
자제해야 할 터이고 꼭 사찰 측의 양해를 구하고 산에 오르시길....
원통사를 거치지 않고 명천리나 통안리에서 곧바로 망봉을 오르는 코스도 있고
망봉과 무룡산과 삿갓봉 그리고 시루봉을지나 원점회귀하는 코스도 있다고.
다만 시루봉에서 명천안산까지 이어가기는 힘에 부치고 헤쳐가기가 아주 어려운 모양.
명천호 바로 옆으로 해서 명천안산 오르는 코스에도 표지기가 붙어있음을 확인.
원통골(명천)계곡을 따라 삿갓골재로오르는 코스는 많이 알려진 코스.
'자연 > 산행·여행·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바위봉 산책 (0) | 2008.03.18 |
---|---|
축령산의 봄 이야기 (0) | 2008.03.14 |
용담 망향(龍潭 望鄕)이요, 진악 보석(進樂 寶石)이라 (0) | 2008.03.05 |
모후산에서 운월산 이어가기 (0) | 2008.03.03 |
석조물 기행 - 가곡리 오층석탑, 백양사 부도군 (0) | 2008.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