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呑虛, 100년을 내다본 지혜 1

 





 

1913년 전북 김제 출생, 속명은 택성.

 오대산의 방한암 스님에게 구도의 편지를 띄우기 수 년.

 "짧으면 3년, 길어야 10년"을 기약하고 오대산을 찾아들어 탈속의 길을 걷게 된다.

1955년, 한국대학(지금은 폐쇄)의 요청으로 맡았던 노장철학 강의는 너무도 유명.

1961년, 방한암의 유촉을 받들어 방대한 규모의 화엄합론 번역을 시작한다.

 '자구字句 하나하나에 피가 맻히는 난해한 연의演義 작업'에 매달려 발원한 지

10년만인 1971년 봄, 원문 10조 9만 5천48자에 달하는 《화엄경》80권 집필을 마쳤다.

우여곡절 끝에 이 원고는 1975년 《신화엄경합론》이란 타이틀로 세상에 빛을 보게 되었다.

 

 

 

 

 

 

 

영원을 내다보는 사상과 예지

김중배(전 동아일보 논설위원)

 

동양의 마음은 유 · 불 · 儒佛仙을 근기根氣로 다듬어지고 밝혀져 왔다.

유교는 존심양성存心養性을 말하고, 불교는 명심견성明心見性을 말하며, 도교는 수심연성修心練性을 말한다.

모두가 심성, 곧 마음자리를 탐구하는 데 일관해 왔음은 물론이다.

 

두어 기른다는 유儒나, 밝혀 본다는 불佛이나, 닦아 단련한다는 선仙이나, 그 표적은 필경 마음이었다.

다만 접근의 길과 깊이가 달랐다면 달랐을 뿐이다. 그 차이는 흔히 유식근儒植根, 도배근道培根, 석발근釋拔根이라고

말한다. 유가 뿌리를 심는 것이라면, 도는 뿌리를 북돋워 주는 것이며, 불은 뿌리를 뽑는 것이라는 견해다.

애써 심을 것도 북돋을 것도 없는 초월의 경지에 이른다는 문맥은 사뭇 변증법적 지양止揚을 방불케도 한다.

 

물론 식 · 배 · 발植培拔의 논리는 불가의 것이며 따라서 아전인주의 흔적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유불선이 나름대로 갖는 특성을 대담하게 강조하고 또 그것을 한 묶음으로 조감하려는 뜻에는 동의할 만하다.

유불선을 총괄하는 체계 위에서 동양의 마음을 찾으려는 시도는 문화권과 문화사의 종합적 파악을 위해서도

분명히 의미있는 일이다. 더욱이 문명의 내일을 내다보는 정신의 지표를 위해서도 헛된 시각은 아니다.

 

말하자면 탄허 스님은 바로 그 시각의 선지식善知識이며, 또한 선지자다.

새삼스럽게 그가 유불선에 통달한 철승哲僧임을 기록할 필요는 없다. 화엄학의 대가로서 《화엄경》을

국역했다는 사실도 구태여 되풀이하여 적을 필요가 없다.

 

탄허 스님은 그 위에 동양의 역학易學 원리로 어제의 역사를 되돌아 보고 내일의 역사를 예지한다.

비록 몸은 산간에 있으나 눈은 우주의 운행을 뚫어 보고자 한다.

그것이 탄허 스님이 말하는 '큰 공부'인 것이다.

 

동양 사상의 섭렵을 바탕으로 역학을 동원하는 탄허 스님의 예지력은 다음 세계의 주축은 동방의 한국이며.

그 주인공은 당연히 한국인이라는 데 귀착한다. 그는 다시 23도 7분가량 기울어진 윤도閏度數로 말미암아 저질러졌던

인간 사회의 부정부패도 사라지리라고 믿는다. 듣기에 따라서는 예지의 거창함이 지나쳐 허황됨으로 이어지는 느낌을

뿌리치기 어렵다. 그러나 자연과학의 지식까지 동원하는 그의 예지에는 분명히 설득력이 있다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부정적이며 피해망상이라 할 수 있었던 우리 역사의식에 새로운 긍정, 새로운 용기를 불어 넣어 준

탄허 스님의 예지는 미래 적중을 기다리지 않더라도 현실의 예지일 수도 있다는 실감에 젖게 한다.

사실 탄허 스님이 아니더라도 높은 하늘에서 보는 눈의 밝음을 한 손으로 뿌리쳐 버리는 것은 어리석다.

가령 일상적으로 두어지는 바둑판을 바라보자. 윗수가 훤히 보는 수를 아랫수는 보지 못한다.

아랫수가 보지 못하는 것을 윗수가 본다고 해서 이상할 것은 없다. 

정신의 세계는 더욱 그렇다는 것을 정신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이미 체험했을 것이다.

 

탄허 스님에게는 몇 차례 예지 적중 내력이 있다는 사시은 알 만한 이들은 이미 아는 일이다.

그 하나는 6 · 25 직전, 스승 한암 스님의 만류도 뿌리치고 양산 통도사로 남하했던 이력이다.

그 둘은 울진, 삼척 지방에 무장공비가 몰려들기 직전 《화엄경》의 번역 원고를 월정사에서 영은사로 옮겼던 이력이다.

 

그러나 탄허 사상과 예지의 매력은 더욱 깊은 곳에 있다.

그는 예언한다. 지구에 잠재하는 화질火質이 북방의 빙산을 녹이기 시작한 것은 지구의 규문閨門이 열려

성숙한 처녀가 되는 과정이라고 비유하는 것이다. 지구의 초조初潮 현상은 소멸이 아니라 성숙의 모습이라는 낙관론이다.

그는 또한 머지않아 민중의 시대가 도래할 것을 믿는다. 땅의 민중이야말로 핵을 극복하는

 원동력이 되리라는 것을 역학의 산리算理로 헤아려 내는 것이다.

 

어느 시대에나 선지자는 고독하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고 나면 큰 우주의 운행과 같은 호흡으로

 인간의 역사를 내다본 선지자의 예지는 믿음을 획득한다. 하나의 사상이 인정되는 것도 과정은 비슷하다.

더구나 눈앞의 공리에만 어두운 우리의 시대에는 비록 허황된 것처럼 보일지라도 넓고 크고, 깊게 영원을 내다보는

사상과 예지는 그것만으로도 보람 있는 것이다. 탄허 스님을 우러르게 되는 연유도 다른 곳에 있는 것은 아니다.

 

나는 탄허 스님을 잘 알지 못하다. 탄허 스님의 사상과 예지력의 깊이는 더욱 더 잘 알지 못한다.

그러나 세계사의 새로운 시대에 한국의 새로운 사상이 돋아나는 못자리를 탄허 스님의 사상에서 예감하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 예감에의 믿음만이 감히 탄허 스님의 소설所說이 담긴 책 앞머리를 더럽히는 만용의 원천일 뿐이다.

 

즉심즉불卽心卽佛, 중생의 마음이 곧 부처일 수도 있다는 믿음만으로, 탄허 스님을 우러르면서

감히 그에게 쏠리는 향심向心을 적는다.

 

 

 

 

 

 

 

20세 때 입산 전 글방 앞에서

 

 

 

 

 

 

 

 

32세 때  동문수학한 속가 친구 월강 선생과 함께

 

 

 

 

 

《주역》의 팔괘에서 우리나라는 '간방艮方'에 위치해 있다.

《주역》에서 '간艮'은 사람에 비유하면 '소남小男'이다. 이것을 나무에 비유하면 열매다,
열매는 시종始終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소남을 풀이하면 '소년少年'이라 할 수 있는데, 소년은 시종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소년은 청산靑山이면서, 아버지 입장에서는 결실이기 때문이다.
 
소년이 다시 시작되면 성장하여 언젠가는 아버지가 된다. 열매는 결실 전 뿌리에 거름을 주어야 효과가 있고,
일단 맺게 되면 자기를 낳아 준, 다시 말해 열매를 만들어 준 뿌리와 가지의 말을 듣지 않는다.
오히려 열매는 뿌리를 향하여 자기의 말을 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간艮'의 원리이자 소남의 해석이며 시종의 논리다.

 

《주역》을 지리학상으로 전개해 보면 우리나라는 간방에 해당되는데 지금 역의 진행 원리로 보면 이 간방의 위치에 간도수(艮度數: 《주역》에서 인간과 문명의 추수 정신을 말함) 가 비치고 있다.이 간도수는 이미 1900년 초부터 시작되었다.

 

 

● 한반도가 세계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다

 

4 · 19혁명은 청년학생(소남)의 궐기로 이승만(아버지)을 무너뜨렸는데, 이렇게 청년학생의 힘으로 정권이 붕괴된 일은

세계사에서 그 유래를 찾기 힘들다. 4 · 19혁명의 영향으로 전 세계 여러 곳에서 학생들의 봉기 운동이 일어나

 유행처럼 번져 나갔으며, 그 결과 선진국에서 '스튜던트 파워'을 형성하였다.

 

······ 이상의 원리로 볼 때 소남은 시종始終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간방에 간도수가 접합됨으로써 어두운 역사는 끝을 맺게 되고,

이제 새로운 역사가 시작될 수밖에 없으며, 인류 역사의 시종이 지구의 주축主軸 부분에 위치한 우리 땅에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여기에서 인류 역사의 종결이라고 한 것은 그 안에 새로운 인류 역사의 시작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 구체적인 예로 우리나라의 남북 분단과 통일 문제를 살펴보자.

 전체 인류사적 관점에서 보면 사소한 문제처럼 보이지만, 이 문제야말로 오늘날 국제 정치의 가장 큰 쟁점이며,

한반도 문제 해결이 곧 세계 문제 해결로 직결됨을 알아야 할 것이다.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있는 현상은 곧 지구의 남극과 북극의 상대적인 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고 하겠다.

지구에 남극과 북극은 있지만 서극과 동극은 없지 않은가. 이는 지난 세기에 있었던 동서의 문제가 바로 역사의

 결실기를 맞아 남북의 문제, 즉 지구의 표상인 남극과 북극의 상대적인 현상과 닮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간방인 우리나라에 간방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간도수가 와 있다.

소남인 청년학생들의 역사적인 출발점이 시작되기 15년 전(1975년 기준)부터

세계는 그동안 해결되지 못한 오랜 문제들을 서서히 청산해 가고 있다.

 

 

 

● 대한민국과 주변국의 관계에도 음양의 이치가 작용하니

 

미국이 우리나라를 일본으로부터 독립시킨 것은 알다시피 우리나라만을 위하 것은 아니었다.

 미국이 일본을 항복시키고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의 독립을 도왔다는 것은 역학으로 풀이하면

너무나 당연한 결과이자 우주의 필연적인 원리이기도 하다.

 

역학에서 '소남小男', '장남長男' 과 '장녀長女', '중남中男' 과 '중녀中女' 는 서로 음양陰陽으로

천생연분의 찰떡궁합의 배합配合이다. 미국은 역학에서 '태방兌方'이며 '소녀' 다. 이 소녀는 소남인 우리나라와

가까워질 수밖에 없었고, 그런 까닭에 해방 이후 정통적인 합법 정부를 수립한 우리나라가 미국을 제일의

우방으로 삼게 된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니다. 정치적 이익관계를 떠나서 우주의 원리에서 본다면

미국은 소녀이자 부인`婦人으로 풀이된다.미국이 우리나라에 도움을 준 것은 마치 아내가

 남편을 내조하는 것과 같아 결과적으로 남편의 성공을 드러내게 된 것이다.

 

역학의 원리에 따라 우리나라와 중국의 관계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현상과 장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역》에서 중국은 '진방震方' 이요, '장남'이다. 장남은 노총각을 뜻한다. 소녀인 미국과 장남인 중국은

후천後天의 원리에 의해서 한동안은 관계가 지속되겠지만 그리 오래 가지 못한다. 역학적으로 보면

 중 · 소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구소련은 '감방坎方' 이면서 동시에 '중남'이다.

장남인 중국과 중남인 구소련은 같은 양陽이므로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없고 대립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원리는 구 소련과 월남(베트남)의 관계, 미국과 월남의 관계에서도 알 수 있다.

월남의 공산화 이후 월맹과 월남 모두 중국보다는 소련과 훨씬 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월남이 '중녀'로서 중남인 구소련과 음양의 조화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 역학의 원리로 보았을때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개입하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

오행을 보더라도 월맹은 '이방裏方'인 남쪽으로, 이것은 '화火' 로 풀이된다. 반면 미국은

태방兌方으로 '금金'인데, '금'이 불[火]에 들어가면 녹을 수밖에 없다. 이것은 '화극금火克金'의 원리다.

미국근 소녀少女, 월남은 중녀女다. 두 나라가 음陰이어서 서로 조화를 이룰 수는 없는 것이다

 

 

 

빙하가 녹고 일본 열도가 침몰하리라

 

······ 동양의 역학 원리에 따르면 이미 6천 년 전에 복희팔괘伏羲八卦로 천天의 이치를 밝혔고.

3천 년 전에 문왕팔괘로 지상생활地上生活에서의 인간절의人間節義의 이치를 밝혀 오늘에 이르고 있다. 더 나아가

약 1백 년 전에 미래역未來易으로 밝혀진 정역易의 이치는 후천으로 자연계와 인간의 앞날을 소상히 예견해 주고 있다.

 

북빙하의 해빙으로부터 시작되는 정역 시대는 '이천 · 칠지二天 · 七地'의 이치 때문이다.

그렇다면 북빙하의 빙산이 완전히 녹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다음과 같은 일이 예상된다.

 

첫째, 대양大洋의 물이 불어서 하루에 440리 속도로 흘러내려 일본과 아시아 국가들을 휩쓸고 해안 지방이 수면에 잠기게 될 것이다.

 ······ 또한 이제까지 지구의 주축主軸은 23도 7분이 기울어져 있었는데 이것은 지구가 아직도 미성숙 단계에 있다는 것을 말하며,

4년마다 윤달과 윤날이 있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

 

둘째, 소규모 전쟁이 계속 일어날 것이다. 그러나 인류를 파멸시킬 세계 전쟁은 일어나지 않고 지진에 의한

자동적 핵폭발이 있게 되는데, 이때는 핵보유국들이 말할 수 없는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 남을 죽이려고 하는 자는 먼저 죽고,

남을 살리려고 하면 자신도 살고 남도 사는 법이다. 수소탄을 막을 수 있는 것은 민중의 맨주먹뿐이다.

왜냐하면 오행五行의 원리에서 '토극수土克水' 를 함으로써 민중의 시대가 핵의 시대를 대치해서 이를 제압할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비극적인 인류의 운명인데, 이는 세계 인구의 60퍼센트 내지 70퍼센트가 소멸된다는 것이다.

일본 영토의 3분의 2가 침몰할 것이고, 중국 본토와 극동의 몇몇 나라들이 피해를 입게 된다. 우리나라는 동남 해안쪽으로

1백 리의 땅이 피해를 입겠지만 서부 해안 쪽으로 약 2배 이상의 땅이 융기해 늘어날 것이다.

 

넷째, 파멸의 시기에 우리나라는 가장 적은 피해를 입을 것이다. 그 이유는 한반도가 지구의 주축主軸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 중 · 러 전쟁과 중국 본토의 균열로 인해 만주와 요동 일부가 우리 영토에 편입되고, 일본은 독립을 유지하기에도 너무 작은

영토밖에 남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영향권 내에 들어오게 되며, 한 · 미 관게는 더욱 더 밀접해질 것이다.

 

 

 

● 동아시아가 세계사를 주도하리라

 

····· 후천 세계가 오는 것을 '후천도수後天度數' 라 하는데, '문왕팔괘文王八卦' 가 추천이면 '복희팔괘伏羲八卦'가 선천이 된다.

하지만 정역正易의 시대가 오면 '정역팔괘正易八卦' 가 후천이고 문왕팔괘가 선천이 된다. 이렇게 순환되는 정역의 원리로 보면

간도수가 이미 와 있기 때문에 후천도수는 곧 시작된다고 하겠다. 모든 역학의 원리가 그렇듯이, 후천도수가 오는 것을 인간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낮 12시가 지나면 이미 밤이 온 것인데 사람들은 문밖이 밝은 낮이라고 하여 낮으로 알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미 오래 전부터 간도수가 시작되었고, 후천의 세계가 눈앞에 와 있는데도 사람들은 이를 알지 못한다.

 

 

 

 

● 비책秘冊에 담긴 민족사의 수수께끼

 

우리나라에는 우주의 기본 원리를 밝힌 비책 《천부경》이 있다.

단제(檀帝 : 탄허 스님은 여러 역사적 기록을 들어 중국이 우리의 단제檀帝를 단군檀君이라고 칭호를 붙인 것은 소국小國이라

얕잡아 본 것이므로 단군이 아니라 단제라 이름 붙여야 한다고 봄-편집자주) 때 만들어졌다고 전해지는 《천부경》은 신라 최치원이

한자로 번역하여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는 책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선가仙家 사상의 연원이 되었으며, 《주역》의 시원을 이룬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천부경》은 총 81자로 된 아주 짧은 내용이지만 매우 난해하고, 역학의 원리와 공통점이 많다. 물론 유교

의 원리는 그 깊이가 방대하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없지만, 《천부경》은 역학의 축소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천부경》의 첫 구절과 마지막 구절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일一은 시작인데 시작하지 않는 1一이요,

또 일一은 끝내인데 끝냄이 없는 일一이다.

 

천天은 양陽이므로 1一이며, 지地는 2二, 인人은 3三으로 되어 있다.

태극太極에서 시작된 수數는 삼극三極, 즉 무극無極 · 태극太極 · 황극皇極을 거쳐 1로 귀일歸一 한다는 것인데,

1의 사상은 천하는 둘이 아니라는 불교의 원리와도 부합하며, 역학의 원리와도 부합한다.

일설에는 《천부경》으로부터 역학의 시원이 이루어졌으며, 단제 민족이 우주의 근본 원리를 밝힌 사상으로

중국의 기본 사상을 이룬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내가 알기에는 《천부경》의 시원은 중국의 요순과 동일한 시대다. 그러므로 《천부경》이 먼저 나오고

그 뒤에 복희씨의 팔괘가 나왔으며, 그 뒤에 문왕의 《주역》이 만들어진 것이다. 만약 《천부경》이 단제 때

만들어진 것이라면  우리 민족의 위대한 사상이 중국으로 전해져서 중화사상으로 꽃피워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사상에 의해 세계는 조화를 이루게 될 것이다.

 

····· 일설에 의하면 단제의 《천부경》이 나올 때 음陰의 문자와 양陽의 문자가 함께 사용되었는데, 중국은 양이기 때문에

음만을 수용할 수 있어서 음의 문자인 한문을 쓰게 되었고, 양의 문자는 그대로 우리나라에 남아 구어口語로만 전해 오다가

세종대왕 때 한글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렇게 보면 중국의 한문자漢文字도 우리나라에서 건너갔다고 할 수

 있지 않느냐는 의견을 제시한 사람도 있다. 문자에 관해서는 이러한 일설을 수긍할 수도 있다.

 

그보다도 여기서 꼭 밝혀 둘 것이 있다.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도 요즘 표현으로 한다면 한국계 만주인이었다고 한다.

그가 명천자明天子에 즉위하자 신하가 다음과 같이 물었다. "폐하의 계보를 어느 곳에서 찾을까요?"

명천자가 대답하길, "장검長劍을 잡고 남쪽으로 오니, 그 선조는 '모른다' 고 써라"

 

물론 요순시대의 황하 유역 민족이 고조선족과 같은 고아시아족이므로 복희씨도 한민족이었음에 틀림이 없다고 볼 것이고,

오늘의 중국 역사가 주나라 때부터를 한족漢族으로 치고 있는 것으로 보았을 때 그 이전, 즉 복희伏羲 · 신농神農 · 요순堯舜

등 삼황오제三皇五帝가 있었던 하은夏殷 시대는 우리와 같은 민족이었을 것이다.

 

 또한 일설에 의하면 노자의 《도덕경》이 단제에게 전해 내려온 비책秘冊을 체계화해서 저술한 것이라 하는데, 이 또한 상당히

설득력 있다. 노자는 생사가 분명치 않은 인물이다. 전해 내려오는 말에 따르면 그는 80년 동안 모태母胎에 있다가 태어났는데,

나오자마자 머리가 백발이 되어 '노자老子' 라 불렸다고 한다. 노자가 지금으로 말하자면 도서관장으로 있을 때 어떤 비책의

자료를 발견하고 그것을 발전시켜 《도덕경》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제 우리는 《천부경》과 《도덕경》뿐만 아니라 그동안 소외시켰던 동양 사상을 중심으로 정신무장을 해야 한다.

그리하여 동서양이 지닌 부조리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역학적力學的 정치 철학이 필요하다.

 

 

인용서적 / 2012년 발행,『탄허록』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출, 일몰 그리고 야경  (0) 2019.12.09
呑虛, 100년을 내다본 지혜 2  (0) 2019.11.14
다산의 두 하늘 천주와 정조  (0) 2019.11.01
컬러플한 세계사 5  (0) 2019.10.24
컬러플한 세계사 4  (0) 2019.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