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진적 메시지를 드로잉에 싣다
세상을 치유하고자 하는 예술가
윌리엄 켄트리지
William Kentridge, b.1955
1955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정치학으로 학위를 받았고, 이어서 예술대학에서 미술을, 연극학교에서 마임을 공부했다.
2010년 2월 샌프란시스코 MoMA와 뉴욕 MoMA 공동 주최로 회고전을 가졌고,
2009년 샌프란시스코 MoMA, 2008년 필라델피아 미술관, 2007년 스톡홀름 근대미술관, 2004년 뉴욕 메트로 폴리탄 미술관
등에서 대규모 전시회를 열었다. 1997년과 2002년, 2012년 카셀 도쿠멘타에 참여했으며, 2007년 부루클린 아카데미
오브 뮤직, 프랑스 아비뇽 연극 축제 등에 그의 오페라 <코(The Nose>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초연됐다.
영상을 다루는 작가들에게 켄트리지는 그림자 깊은 큰 산이다. 특히 젊은 작가들이 그에게 보내는 연정은 뉴욕에서도 뜨겁다.
켄트리지의 무엇이 그들을 달뜨게 하는지 잘 모른다. 내가 느끼는 반가움과는 다른 빛깔이리라. 나는 걸개그림과 날선 판화가
당당하던 시절을 지나왔기에 윌리엄 켄트리지의 작업을 처음 접했을 때 눈물을 멈출 수 없었다. 미술이라는 형태로
세상에 나왔던 우리의 고통 받는 삶의 이야기는 새천년엔 낡은 틀이 되었다. 그 내용마저 한 시절의 타령으로 외면되었다.
지금도 이어지는 거대 담론인데, 현대미술이라는 각광받는 상품들 속에서 변죽도 울리기 어렵다. 그런데 이 설움을
켄트리지가 씻어주었다. 그의 조국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벌어졌고 지금도 이어지는 억압을 이야기하며
세상을 감동시켰다. 그는 전통적인 드로잉 기법으로 현대미술을 현대화시켰다. 답은 예술성에 있었다.
남아공의 현실에 천착하다
윌리엄 켄트리지, 그는 아프리카인이다. 그의 아버지 시드니 켄트리지는 인권변호사이다.
넬슨 만델라를 포함한 대표적 활동가들의 변론을 맡으며 인종분리 정책을 무너뜨리는 데 앞성서왔다.
켄트리지는 여섯 살 때 처음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부조리를 보았다. 그것은 초콜릿이 들어 있으리라 기대하고 열어본 노란 상자
속에 잔혹한 모습으로 도사리고 있었다. 달콤함을 상상하며 입맛 다시던 아이는 총탄에 터져 핏물 고인 사내의 가슴팍을 봐야 했고,
관절이 꺾여 구겨진 젊은 몸뚱이를, 총알이 지나간 구멍으로 피를 쏟는 아낙의 머리를 봐야 했다. 1960년 3월 21일 흑인 거주지
샤프빌에서 벌어진 학살을 담은 사진이었다. 그날 행진에 나선 시민에게 경찰이 총질을 했고 69명이 숨졌다.
사진은 캔트리지의 아버지가 준비하던 재판의 증거품이었다.
예술가로 세상에 나온 윌리엄은 늘 그 기억과 고향의 현실을 놓지 않았다. 남아공의 인권, 정치 현안을 주제로 20세기 산업화 속에서
벌어지는 인간 소외까지 동시대의 문제들이 얽힌 핵샘 고리를 흔들어왔다. 필름, 드로잉, 조각, 애니메이션,
그리고 퍼포먼스까지 동원하여 시적인 서술 구조로 풀어냈다. (·····)
● 남아공에서는 샤프빌 학살을 기억하고자 3월 21일을 국경일로 정해 인권의 존귀함을 기린다.
「다른 얼굴들」을 위한 드로잉, 종이에 목탄 · 색연필, 2011
Coutesy of the aryist andMoodman Gallery. New York
「다른 얼굴들」의 배경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다. 그의 전작들에서 자본가로, 개발업자로 등장하던, 켄트리지의 외모를 닮은
주인공 소호 엑스타인이 다시 나온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 악역의 사내가 어머니의 죽음을 겪은 후 여인의 토닥임을 받고,
아이로 변한 어머니를 가슴에 품으며 순하게 잦아든다.
영화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일어난 교통사고로 시작한다. (·····)
영상을 본 지 2년이 지난 지금 내 귀에는 당시의 모든 소리가 까마귀와 아기, 엄마의 소리로 압축되어있다.
혀로 입천장을 두드리며 내는, 마음을 열게 하는 평화의 소리다. 품 안에 있는 아기를 어를 때, 새에게 모이를 건네며,
또 내 손 내밀고 강아지의 앞발을 기다리며 만드는 혀와 입천장이 부딛히는 퍼커션이다. 그 소리에 생명 있는 모두는 안락함을 느낀다.
그리고 그것은 세상에서 제일 순한, 젖니조차 돋지 않은 갓난아기의 웃음과 닮아 있다. 켄트리지의 필름에서 함성으로 커졌다
잦아들던 소리들은 나는 이렇게 기억한다. 상영시간 9분 36초, 그의 드로잉과 원초적 소리에 싸여 나는 눈물을 훔쳤다.
눈물은 두 번째 상영이 끝날 때까지 마르지 않았다.
「다른 얼굴들」을 위한 드로잉, 종이에 목탄 · 색연필, 62×121cm, 2011
Coutesy of the aryist andMoodman Gallery. New York
보는 이들이 필름을 만들며 지나온 나의 여정에 함께해주었으면 합니다. 이 필름이 진정 무엇인지 그걸 발견해주면 좋겠어요,
이 작업은 누군가의 죽음에 대한 겁니다. 삶의 마지막으로 향하는 시간과 그 기억, 생각에 대한 거죠. 언어가 사라진 것에 대한
상징도 볼 수 있고, 분노도 있습니다. 교통사고 후 화난 남자들이 서로에게 소리 지를 때, 당시를 사실적으로 묘사해 그려 넣었습니다.
잘잘못을 따지는 그런 종류의 언쟁이 아니에요. 자동차 때문에 고함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을 에워싼 모든 상황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