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국화 1

1. 국화, 그 역동적인 상징의 세계



절대 권력의 상징


'동쪽'의 꽃인 국화는 땅 위에서 빛을 뿌리는 태양이다. 활짝 피 꽃잎이 눈부신 햇살을 닮을 때 국화는 유럽의 동쪽 끝 그리스에서는 황금의 꽃

'(chryso+anthemon)' 이 되었고, 품격에 따라 꽃을 분류한 유럽인게게는 '불멸의 꽃(immortelle)' 이 되었다. 우리의 '국화[菊]' 는 현장법사가

지칭한 동방(중국)에서부터 한반도를 거쳐 해동의 '해돋이' 방향을 따라 일본열도로 이동했고 천황을 상징하는 꽃이 되었다. 중국의 다른 문물과

함께 문자는 그대로 고스란히 옮겨 가지만 자음(字音)은 국경을 넘을 때마다 조금씩 바뀐다. 한반도에서는 국(guk)으로,

 일본에 가면 기쿠(giku)가 되는 것이다.


《중국상징사전》을 편찬한 볼프람 에버하르트(Wolfram Eberhard)는 국의 원(原)자음을 '주=ju' 로 상정한다.

피자식물(被子植物) 분포 영역의 10분의 1을 차지할 만큼 환경적응력이 매우 뛰어난 국화는 '불멸의 해'를 매개로 해서 한 · 중 · 일 3국을 한데

묶는 문학, 종교, 정치적 수사학의 키워드의 하나로, 성장하는 의미의 영토를 넓혀 나간 것이다. 태양과 국화를 접목시킨 상징사고의 전형적인

전개를 우리는 일본의 신화와 역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태양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로부터 통치권의 상징인 3종의 신기를 받은

그의 손자 니니기(는 미야자키 현과 가고시마 현 사이에 있는 기리시마 산 다카치호 봉우리에 처음 내려왔다고 한다. 농경의 신 니니기를 비롯해

천황계 원조신을 모시는 기리시마 신궁이 근처에 있다. 지금도 건국신화가 살아 숨쉬는 듯 울창한 숲속에 있는 신궁에는 건강장수, 사업번창, 합

격을 빌러 온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그들이 이곳에서 사 가는 말 그림 '우마에' 를 보았는데, 이 부적에는 말이 없었다. 태양신을 즐겁게 할 제물인 말 대신 저마다 마음속에 그린 말을 소망과 함께 바치는 100퍼센트 상징에 의존하는 거래였다.


태양신은 그 지방을 선점한 주민이 그럴싸한 신들을 먼저 단골로 삼아 버렸기 때문에 한발 늦은 '정복자'가 발견한 신이라고 했다.

하지만 600년 신라와의 관계 조정을 위해서 수(隋) 나라에 파견된 일본 사신은 이런 말을 했다. "왜왕은 하늘이 형님이며 해가 동생입니다.

먼동이 트기 전에 나가서 정사를 보고 가부좌를 합니다. 그리고 해가 뜨면 일을 멈추고 동생에게 맡깁니다." 왜국의 풍습을 묻다가 그런 대답을

듣게 된 문제(文帝)는 놀라 "이 무슨 터무니 없는 소리인고?" 라고 한 마디 하고는 말을 잇지 못했다.


이 수나라 문제의 발언은 《수서(隋書)》에 나오는 이야기일 뿐 《일본서기》의 편자가 사신을 보낸 사실을 고의로 누락했다고 주장하는

대목이다. 하늘이 태양을 통치자와 같은 반열에 올려놓은 국내 정치용 수사(修辭)가 국제무대에서 통하지 않게 된 일본 외교사상 최초의

좌절이라고 한다. 그러나 군주들의 태양에 대한 집착은 그때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민족의 태양 김일(日)성, 정일(日) 부자를 비롯해서

면면히 내려오는 절대 권력의 상징이다.







국일한묘(菊日閑猫) 정선, 간송미술관

국화를 고양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다룬 이 그림은 정선의 대표적인 국화 그림이다. 자색 들국화 꽃잎으로

 벌 한 마리가 날아들고 검은 빛 고양이가 방아깨비를 노려보고 있으며, 나른한 한낮의 정취가 정겹게 묘사돼 있다.




도연명의 3가지 동작이 상징하는 참뜻


왜왕이 태양의 형님이라는 증언이 나오기 200년 전이다. 일본의 별명이 된 부상(扶桑)의 해를 닮은 「국화를 동쪽 울타리 밑에서 따노라」

하고 읊은 중국 시인이 있다. 시 <음주(飮酒)>를 쓴 도연명(陶淵明)이다. 얼핏 들으면 평범한 사람의 소박한 일상생활을 말한 것 같은 수백

동안 한 · 중 · 일 3국에서 함께 가르치고 읽어 온 이유는 무엇일까? 간단한 이유 하나를 들자면 신화시대에나 있음직한 말투를 그대로

옮긴 7세기 초 일본인의 생각이 사물의 판별 기능을 벗어난 데 반해서 시인 도연명의 눈은 자신의 천부적인 시력을 회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화를 따는 이 시인의 작은 손놀림에 이어 귀에 익은, 「우연히 고개 들어 남산을 바라본다」 는 지극히 절제된 표현이 천년의 시공을

넘어 3국의 독자들 사이에 큰 공감대를 형성했다.


국화는 은일(隱逸)의 꽃이라고 도연명이 상징의 1차적 의미를 정의한 다음부터 대륙의 전통주의자들은 도연명의 시와 사상을 은일이라는

메타포(metaphor, 은유) 하나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술을 빚으려고 국화를 꺾어 (바구니에) 담고 눈길을 먼 산으로 옮기는 미세한

몸짓, 시선, 하나하나가 예사로우면서 심상치가 않다. 산 기운을 먹음은 저녁 풍경을 헤치고 둥지로 날아 들어오는 한 쌍의 산새, 그들이 가담

해도 시행에 표출된 움직임은 3가지를 넘지 않는다. 시인은 명암의 균형이 흔들리는 낮과 밤의 한가운데 참뜻이 숨어 있었지만 입을 열기 전에

잊었노라고 한다. 그것이 끝이다. 시인이 말하려던 참뜻[眞]은 이제 도연명이 서 있던 그 자리에 돌아가서 옛날 그대로의 풍경을 볼 수 있다고

해도 알 길은 없다. 본인도 잊었다고 고백하지 않았는가. 심경(Private symbol)의 논리적 추적이 불가능한 자리에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단서는

상황이 남긴 흔적일 뿐이다. 시 속에 남아 있는 손, 눈, 날아드는 새의 상징성을 복원해 보는 것이다. 국자동(菊慈童) 전설대로 옛 사람들은 국화

가 흐르는 물을 마시면 신선이 된다고 믿었는데, 국화를 따는 시인의 손길은 신선이 부럽지 않은 여유로운 농부의 이미지다.

날아드는 한 쌍의 새는 평화로운 가정을 수놓은 그림이겠다.


이 모든 것을 관조하며 서 있던 시인은 어떤 사람인가.

눈을 땅으로 내리깔고 살아야만 탈이 없던 난세에 도연명은 도시에서 내려오는 나이 어린 상관 앞에 머리를 굽히기가 싫어 낙향을 결심한

군인이었다. 문제(文帝) 앞에 머리를 조아린 일본 사신은 고개를 들고 자기 나라 왕의 얼굴을 볼 기회마저 없었을지도 모른다. 제왕이나 저들이

모시는 신과 같은 '성스러운 존재' 앞에서 허락 없이 고개를 든다는 것은 목숨을 위태롭게 하는 모험이었다. 코란은 여성의 성기 앞에서도 경건히

눈을 내리도록 지시한다. 그런 관습이 도처에 남아 있던 고대사회에서 고개를 들고 눈을 바로 세우는 자유를 되찾았다는 것은 군벌사회의 왜곡된

질서의식, 뒤틀린 인간관계를 일시에 뒤바꿔 놓을 용기와 고독을 각오한 결심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것은 아름다운 국화꽃이 진다고 해도

다시 필 수 있다는 생명에 대한 믿음이다. 중앙절의 약속을 기억이나 하듯이 국화꽃은 핀다. 지상 최대의 양기를 상징하는 9[쥬]효가 겹친 위천

(爲天)의 중양절, 9월 9일은 자연의 섭리를 지하에서 지키는 국화 뿌리가 살아 있는 한 다시 돌아온다. 쥬[久]=긴 시간을 기다리면 저절로 돌아

왔었다. 소나무와 함께 국화를 사랑한 도연명에게는 "불교적 무상감(無常感)이 드리운 어둠이 없다." 고 중국 고대문학을 연구하는

전 일본 릿트메이칸 대학 교수 시라카와 시즈카(1910-현재)는 말한다.








자국괴소(紫菊怪石) | 심사정(沈師正), 조선, 간송미술관 소장.

이 작품은 묵국을 새로운 문인화의 소재로 조선에 확고히 자리잡게 한 현재의 담채 그림이다.

보라색 꽃을 피운 일곱 송이의 국화가 괴석과 어울려 신비감을 자아낸다.




동시대 유교사회의 사대부들이 선호한 것은 쇠국(衰菊), 잔국(殘菊)의 이미지였다. 3국에 영향을 준 그 원풍경(原風景)은 이름도 확실하지

않은 무명 시인 도연명을 중국 역사상 최고의 시인 이라고 절찬한 소동파의 시구였다. 「국화는 시들어도 서리를 이기는 가지가 있다

(菊殘猶有傲霜枝).」고 했다. 서릿발 속에 얼어 찢기고 광국(狂菊)처럼 비틀어지면서도 앙상한 가지를 드러낸 채 겨울을 맞는 국화의

처연함을 이인상(李麟祥)의 <병국도> 처럼 표현한 그림은 많지 않았다. 잔국은 송대 개혁파 왕안석(王安石)과 그의 고향 선배이면서 급진

개혁에 반대한 관표파 구양수(歐陽脩)가 벌인 논쟁의 주제이기도 하다. 보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평이 다른 것은 관찰력을 앞세운 구양수의

안목이나 먹는 국화 이야기를 끌어들인 왕안석의 반격이 모두 품격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겠다.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상경징은 상반된 위상을

동시에 포용하는 특징이 있다. 흔히 말하는 상징의 양극성, 다의성이다. 인간의 종교적 상상력이 낳은 위대한 신에게서도 선과 악의 두 얼굴

을 동시에 보는 것처럼 국화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 때로는 극명하게 엇갈리기도 한다. 한국인, 중국인이 일본 국화를 볼 때 느끼는 암울한

느낌이 그렇다. 일륜(日輪)을 상징하는 만(卍) 자가 히틀러의 손에 들어가 전쟁, 죄악의 동의어가 된 것처럼 태양에서 국화잎 퍼져 나간

일본 문장은 침략을 의미하는 귀자(鬼子), 악의 꽃으로 변했었다


국화 육종에 많은 투자를 하고 다양한 품종을 수출해 21세기 구고하전시의 본고장으로 바뀐 일본은 고몬(천황을 상징하는 국화 문양)의 아름

다움을 노래로 만들고 있다. 그것이 어릴 때부터 순백, 황금빛 국화를 거룩한 꽃으로 우러러 보는 습관을 길러 상징 천황과 더불어 일체감을

다지는 국민순화교육의 일환이기를 동아시아인들은 기대한다. 권력의 저주에서 풀린 국화는 일본인의 이상을 담은 나라꽃이면서 동아시아

3국의 전통적인 교류의 위대한 유산이기 때문이다.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 <국경(菊經)>을 보면 385년 백제는 선린의 뜻을 담은

5색의 국화를 일본에 보냈다. 일본인이 처음 보는 국화꽃이라고 했다. 평화를 상징하는 순백, 황금빛 국화가 그 속에 들어 있었다.


국화를 사랑하는 한 · 중 · 일 3국의 독자들은 병[兵]을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간 도연명이 짐짓 잊었노라고 말한 그의 참뜻을 다시 새겨 봐야 할

때다. 화면 상단에 남긴 동양화의 여백 같은 시인의 침묵 속에는 천년을 두고 진(眞)을 화두로 삼아온 탁월한 감성을 지닌 모든 이의 해석을 다

받아들이고도 남을 여운, 못다 한 이야기가 있을 것이다. 그것은 전쟁의 참화를 체험한 자만이 아는 겸손이며

모든 생명에 대한 외경이고 진정한 평화의 축원일 수밖에 없다.








송학정년도(松鶴廷年圖) | 허곡(虛谷), 청(淸), 쑤저우 박물관 소장.


매우 신랄하면서도 신기하고 독창적인 독특한 품격을 이루고 있다.

허곡이 64세에 그린 작품으로 필법이 기이하면서도 날카롭고 세련되고 우아하며, 채색은 수려하면서도 말고 아름답다.






2, 육·덕·향을 함께 꽃피우는 국화


육성과 덕성의 꽃


사군자 중에서도 국화는 수명장수, 부귀복락의 상징을 가장 강하게 담고 있다. 매, 난, 죽이 지니는 고결성, 우아함, 강직함 같은 상징체계가

다분히 귀족적이고 정신지향적인데 반해 국화는 부귀복록과 수명의 바람을 담고 있음을 굳이 감추려 하지 않는다. 그것은 유난히 땅과 결부

되어 있다. 바람이나 구름보다는 육질(肉質)의 땅과 그 토리(土理)에 따라 피어오른다. 국화 그림이 유독 땅이나 바위, 돌과 함께 자주 나오는

것도 그 이유다. 따라서 사군자 중에서도 가장 후덕하고 수수한 화목(花目)이 국화가 아닌가 싶다. 서양에서 국화를 조화(弔花)로 쓰는 것

역시 죽음이 생명의 종결이 아닌 영원한 생명의 또 다른 시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즉 영생을 희구하는 신앙체계에서 온 것이라고

본다. 국화를 덮고 잠자다가 부활하라는 염원을 담고 있는 것이다. 예수가 죽음을 일러 잔다고 표현했던 것을 봐도 알 수 있다. 수(壽)의 꽃,

부귀의 꽃으로서의 국화의 상징체계는 그런 점에서 한·중·일 뿐이 아닌 양의 동서를 넘나드는 것이다. 진실로 땅의 꽃이자 육(肉)의 꽃이면서,

생명의 꽃이자 부활의 꽃인 것이다. 땅의 삶을 하늘까지 연결시키는 꽃이다. 그래서 동양권에서, 특히 중국에서 팽조(彭朝)의 전설이 온전히

살아 있는 것이다.





잡화책(雜畵冊) 중 죽석추국도(竹石秋菊圖) | 곽후(郭珝), 명, 상하이 박물관 소장.

모두 8폭으로 된 이 화첩은 산수, 화초, 인물을 모은 것으로 매 폭 각 그림의 제목은 7색 1수이며 시와 그림이 함께 어우러져

심중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생기 넘치는 이 그림은 보는 이로 하여금 국화의 향과 더불어 청명한 가을 하늘을 떠올리게 한다.




이상이 현실화된 꽃


사군자는 원래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자연관에 의해 자연물을 이상화, 의인화시키는 시방식(示方式)에서 나왔다. 그것은 역사와 함께 예술화,

종교화, 문학화 되면서 단순히 매·난·국·죽의 생태적 범주를 넘어 다양한 상징성의 외연과의 내포를 지니게 된다. 자연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내가 벗이 되고 더 나아가 하나가 된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감정이입과 의힌화의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사군자는 현상이 아닌

본질이 된다. 한·중·일의 산천에 자생하는 수천 수만의 꽃과 식물 중에는 그 자태로 본다면 매·난·국·죽보다 훨씬 의젓하고 기품 있는 꽃과 식물이

많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매·난·국·죽인가? 왜 그것들을 일러 군자라고까지 말했는가. 그것은 하나의 상징체계이기 때문이다. 묵란,

묵매를 예사로이 그리지만 검은 난초, 검은 매화는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사군자의 이 이상화, 상징화된 자연 체계 속에서도 국화는 가장

현실 가까이에 있다. 사군자는 본디 색의 상징을 지니고 있고 음양오행의 상호작용과 관련되어 있다. 오행의 이법(理法)에 의해 오채(五彩)는

상생, 상극의 관계를 지닌다. 따라서 오행, 즉 수·화·금·목·토에 원천을 둔 적·청·흑·백·황이 오채는 현실의 색이면서 동시에 상징의 색이 된다.

그것은 오향(五向), 사시(四時)와 결합되며 동시에 유가이념(儒家理念)인 오덕(五德), 즉 인·의·예·지·신의 상징으로 개념화된다. 이 오행의 구조

속에서 볼 때 향(向)은 동·서·중·남·북이요, 색(色)은 청·백·황·적·흑이며, 시(時)는 춘·추·하·동이고, 행(行)은 목·금·토·화·수이며 동물(四神)에

와서는 용·호·작(雀)·무(武)요, 식물, 즉 사군자로는 매·난·국·죽이 되는 것이다. 그새서 동매(東梅) 북죽(北竹)이며 남란(南蘭) 서국(西菊)이고,

춘매(春梅) 동죽(冬竹)이며 하란(夏蘭) 추국(秋菊)이 된다. 이것이 오행, 오채와의 상징체계라는 사실은 푸른 용[靑龍], 하얀 호랑이[白虎]의

푸른색·하얀색이 현상색, 현실의 색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임을 봐도 알 수 있다.


이렇게 촘촘히 짜인 개념화, 상징화의 그물망 속에서도 국화는 유독 강한 현실성을 지닌다. 그것이 육성(肉性)과 토성(土性)때문이다.

국화의 상징색인 황(黃)은 땅[土]의 현실색이다. 흔히 검은 현(玄) 누를 황(黃)이라고 할 때의 현은 검은색이 아니다. 도가 현허설(玄虛說)

까지 갈 것도 없이, 현은 굳이 색으로 치자면 거무스름한 무한의 그 어떤 경지일 뿐 검은색 그 자체가 아닌 것이다. 이것은 중국 원명(元明)의

산수화가 다분히 의경(意境)과 허경(虛境)의 정신주의 속으로 기울 때에도 천강산수(淺絳山水)라 해서 땅은 담백한 황색이요 하늘은 옅은

푸른색이라 하여 최소한의 현실적 기반을 강조하고 있는 것을 봐도 알 수 있다. 푸른 용이 없는 것처럼 붉은 난(赤蘭)도 없지만 유독 황국

(黃菊)만은 황국 그대로다. 이 황(黃)은 땅, 즉 대지의 색이면서 동시에 높은 것, 고귀한 것의 상징이 된다. 모든 고귀한 것, 높은 것은 대지와

멀리 있지만 유독 황색만은 땅과 결부되어 있다. 가을이 깊어갈 때 황화지절(黃花之節)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것은 만개한 국화꽃 핀 계절

이라는 뜻이다. 재미있는 것은 황색이 이처럼  고귀한 색, 높은 색의 의미를 띠고 있는 까닭에 황실의 용문양은 청룡이 아닌 황룡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 이른바 색의 가차(價借)가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황화(黃華)가 황화(皇化)로 되는 것이다. 국화는 사군자 중에서도 유독 중의적 상징성

을 지니고 있는 꽃이다. 이 꽃이 서민으로부터 왕실, 사대부에 이르기까지 두루 애호됐던 것은 그런 까닭이었을 것이다.






추정영희도(秋庭嬰戱圖 )|소한희(蘇漢姬), 송, 타이페이 고궁박물원 소장.

남매인 어린아이 둘이 대추시소놀이에 몰두해 있는 것을 그린 것이다. 아이들 뒤에는 또 다른 장난감이 놓여 있고 정원에는

커다란 돌이 세워져 있으며, 부용화와 국화의 일종인 데이지가 서로 경쟁하듯 활짝 피어 있어 깊어 가는 가을의 정취를 듬뿍 느낄 수 있다,



국화의 기원


국화는 광의로는 국화과 국화속 식물의 총칭이지만, 협의로는 주로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 다년초를 가리킨다.

중국에서는 50만 년에서 100만 년 이상의 옛날 국화의 원종 화석이 발견되었고, 주(周), 진(秦) 이전의 고서에서도 국(菊) 글자가 나타나 있다.

《산해경(山海經)》에는 「여궤(女几)의 산에 국화가 있다.」고 했고, 주대(周代)의 《예기(禮記)》의 <월령편(月令篇)>에는 「계추(季秋)」

의 달에 구고하의 누른 꽃이 있다.」고 했다. 또 《초사(楚辭)》에 실려 있는 굴원(屈原)의 시에는 「아침에는 목란(木蘭)의 이슬을 마시고

저녁엔 가을 꽃을 씹는다.」고 한 것으로 봐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다만 이때는 대부분 야생 국화로 짐작되나 관상용으로 재배하게 되는 연대

도 상당히 앞서고 있다. 위 나라 때 종회(鐘會, 225-264)의 <국화부(菊花賦>에서 「일찍 심어 늦게 피는 것은 군자의 덕」이라고

한 것을 보면 이미 2300여 년 전부터 국화가 재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묵국도(墨菊圖) | 장문도(張問陶), 조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우리나라에도 국화는 오래 전부터 자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강희안(姜希顔)은 《양화소록(養花小錄)》을 통해 다른 꽃들과 함께

여러 가지 품종의 국화를 고려 27대 충숙왕(재위 1313-1330) 때 원나로부터 도입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국화의

기원에 대해서는 연대가 훨씬 올라간다. 중국 송나라 때의 유몽(劉蒙)의 《국보(菊譜)》에는 신라국(新羅菊)의 이름을 일명 옥매(玉梅) 또는

능국(陵菊)이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일본의 《왜한삼재도회》에서는 4세기경(仁德帝, 385년)에 백제로부터 오색 국화가 일본에 수입

되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국화의 어원과 자원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화라는 명칭은 한자음으로서 순수한 우리말로 된 명칭이 따로 없다.

들국화(野菊)란 말은 국화의 종(種) 이름이 아니고, 구절초, 개미취, 개쑥부쟁이와 같이 산야에 자생하는 야생종 국화의 총칭이다.

국화는 '국(菊)'과 화(花)'의 합성어다. 고어에서는 '국'의 기억 받침이 탈락되어 '구화'라고도 일컬었다.국화의 하나인 당국화(唐菊花)를

'과' 또는 '과꽃'이라고 일컫는데 이는 '구화'의 준말이라고 생각된다. 자원으로 보면 '국(菊)' 자가 은나라의 갑골문에는 등장하지 않고

주대(周代)의 금분에는 '菊(국)'의 자형으로 쓰였다. 진대(秦代)의 소전체에서도 역시 '䕮' 의 자형으로 쓰였는데 점차 자획을 생략해

'菊' 으로 쓰인 것으로 본다. 명대 이시진(李時珍, 1368-1644)이 편찬한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송나라 육전(陸佃)의 <비아(埤雅)>

편의 글을 인용해 「'菊(국)' 은 원래 '䕮(국)'으로 썼는데 (발음은) '䕮(국)' 에 따른다. 」䕮은 窮(궁)을 의미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䕮이 窮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국화는 늦은 가을 상설(霜雪)의 역경에도 굴하지 아니하고 꽃을 피움

으로써 이른 봄 엄한(嚴寒)에 꽃망울을 터뜨리는 매화와 닮은 데가 있다. 그런데 매화가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화괴(花魁) 인데 반해서

국화는 일 년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만영(晩榮)의 꽃' 이라는, 즉 구극(究極)의 은유성에서 그 어원을 찾는 설도 있다. 그 밖에 여러 설이 있다.


일본에서는 구고하를 '기쿠(キク)' 라고 한다. 이것은 한명(漢名)인 菊(국)의 음독(音讀)이다. 일본에서는 한자를 읽을 때 음(音)과 훈(訓)의

구별이 있으나, 기쿠(菊)는 훈으로 읽는 것이 없다. 그런데 《화훈간(和訓栞》에서는 기쿠를 본래 '구구(くく)' 라고 읽었다고 한다.

한자로는 '久久(구구)'라고 썼으며, 그것은 향기가 오랫동안 좋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 이 구구(くく)는 일본 고유의 야생 국화

를 말하는 것이었는데 그 후 기쿠로 전화되었다고도 한다.  국화의 학명은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uelle 이다. 속명(俗名)의

Chrysamtbemum 은 라틴어로 금(金)을 의미하는 cbrysos 와 꽃을 의미하는 antbemon 이 합일화한 것이고, 종명(種名)의 morifolium

뽕나무의 잎을 닮았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 속명은 그 이름의 유래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꽃 색깔로 해서 오늘날의

관상국화에 붙여진 이름이 아니고 지중해산의 황갯의 꽃에 붙여진 이름이다. 국화의 영어 명칭은 flowering cbrysamtbemum 이다. 






자위부과(刺蝟負瓜) | 정선, 조선, 간송미술관 소장.

오이 수확에 성공한 고슴도치가 오이를 등에 지고 오이밭을 막 빠져 나오고 있다. 오이밭 뒤에 핀

보라색 들국화가 무척 단아하여 푸른 오이밭에서 시선을 끌게 만드는 절묘한 색의 배합을 보여 주고 있다.




국화의 이칭, 의칭으로 본 환유의 세계


국화는 이칭(異稱), 의칭(義稱)이 그 품종만큼이나 다양하다. 이러한 명칭들은 대부분 중국의 시부(詩賦) 등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그중 일부는 우리나라나 일본에도 유입되어 시가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이 많다. 계절 별칭으로는 국화를 '중양화(重陽花)'라고 한다.

음력 9월 9일을 중구(重九) 또는 중양절이라고 했다. 중구는 9가 겹쳤다는 뜻이고, 중양은 양이 겹쳤다는 뜻이다.  9는 양수(陽數) 가운데

서 극양(極陽) 인 것이다.  국화의 의칭으로는 '구화(九花)' 또는 구 자와 음이 같으면서도 가장 오래 간다는 '구화(久花)'라는 명칭도 있다.

원래 '九'는 기수(奇數)의 한 자리 숫자 가운데 가장 큰 숫자다. 이 九는 특별한 자리의 양수로 취급되어 연기(緣起)가 무궁한 숫자로 인식

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중국에서는 천하를 9주(九州), 9경(九卿), 9품(九品) 등으로 구분하기를 좋아하는 정서에서 또 하나의 의칭이 생긴 것.


그런가 하면 국화는 오상(傲霜) · 상하걸(霜下傑)과 같이 찬 서리를 겁내지 않는 의연함과 자세를 바로잡고 서 있는 뛰어난 자태를 지칭하는

의칭이 있다.  또한 동쪽 울타리 밑 양지바른 곳에 심는다 하여 동리(東籬) 또는 황색의 꽃을 피워 색 바랜 울타리에서 더욱 돋보이게 하는

정경을 상찬한 동리기색(東籬佳色)과 같이 적극적인 이미지의 의칭이 있기도 하다. 세한조(歲寒操) · 한화(寒花) · 한영(寒英) · 상영(霜英) ·

절우(節友) · 절화(節花) 또는 꽃을 피울 수 없는 기후 조건인데도 불구하고 기어코 꽃을 피우는 절대성을 아름답게 환유한 명칭들이다.

상파(霜葩)라는 명칭은 고려 말 목은 이색이 자신의 시에서 그 명칭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파란 서리꽃이란 말로써 상극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서리와 꽃은 같이 있을 수가 없는 사물이나 국화만이 외적 요인들을 국복할 수 있음을 목은은 눈여겨 보았던 것이다.


색깔로 얻은 의칭을 살펴 보면, '황화(黃花)' 또는 '황화(黃華)'란 명칭이 있다. 황국을 꽃의 왕자라 하여 '黃花' 나 '黃華' 가 의칭이 되는

것이다. 이 외에 국화의 황색(금색)과 관련된 별칭으로 황예(黃蘂) · 황영(黃英) · 금예(金蘂) · 금영(金英) · 금류(金O) · 금경(金莖) · 금영롱

(金玲瓏) 등이 있는데 모두 시인 묵객이 자신들의 의식과 취향을 은유해 붙인 의칭들이다. 또 다른 이칭으로 황금갑(黃金甲) · 구시황(久視皇)

등이 있다.  여기에서 황금갑은 황금의 갑주를 몸에 걸치고 적과 싸우는 용감한 전사에 비유한 것으로 오상(傲霜)의 황국을 의미한다. 명나라

를 일으킨 홍무제(洪武帝, 재위 1368-1398) 주원장(朱元璋)이 원군(元君)이 사수하고 있는 북경을 공략할 때 읊은 국화 시에서 황금갑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것은 그가 머지않아 원나라를 타도하고 황제의 상징인 황포(黃袍)를 걸치겠다는 우의(寓意)인 것이다.

구시황(久視黃)은 글자 그대로 오랫동안 볼 수 있는 꽃이라는 뜻이다.


약효로 얻은 별칭으로는 국화가 생명을 연장하는 약효가 있다 하여 연수객(延壽客)이란 별칭을 얻었다. 이 외에도 같은 뜻의 별칭으로

장수화(長壽花) · 수객(壽客) · 부연년(傅延年) · 연령객(延齡客) · 갱생(更生) 등이 있다.


생태로 얻은 명칭으로는 은군자(隱君子) 또는 은사(隱士)가 있다. 이것은 주희가 성리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밑바탕을 제공했던

주돈이(周敦頤, 1017-1073)의 애련설(愛蓮說0에서 국화의 고귀한 품격을 인정해 '꽃의 은일자(隱逸者)' 란 인격체로 지칭한 데서 유래한다.

또 범성대에 의하면 국화를 군자에 비유하는 설명에서 「해와 달이 이전하여 모든 초목이 변쇠해도 국화는 홀로 풍상을 능멸하고 있다.

이런 것이 유인일사(幽人逸士)의 모습이다.」라고 했다. 주돈이나 범성대는 국화를 은둔자의 이미지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이 외에도 국화의

아름다움과 향기 등을 고려해 붙여진 이름도 많다. 예를 들면 정방(貞芳) · 주영(朱嬴) · 가우(佳友) · 금냉롱(錦冷瓏) · 냉향(冷香) · 만절향

(晩節香) 등이다. 또 치장(治蘠) · 태장(笞薔) · 일정(日精) · 주영(周盈) · 전공(傳公) 등의 이름도 보인다. 이는 그만큼 국화가 문사들의 사랑을

만이 받았고 시재나 화재의 대상이 됐던 연유에서 생겨난 명칭들이라 하겠다.


국화의 이미지는 여성이라고 비켜 가지를 않았다. 여절(女節) · 여화(女花) · 여화(女華) · 제녀화(帝女花) · 여경(女莖) · 여실(女室) ·

음성(陰成) · 음위(陰威) 등이 그것이다. 여성의 절의나 고귀함을 상징하는 의칭이 있는가 하면

여성의 신체적 부위를 대상으로 한 명칭까지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국화도(민화) | 가회박물관 소장

민화에서는 국화는 모란이나 작약 못지않게 왕성한 힘과 화려함이 넘쳐난다.




합성어로 의미를 보완한 국화의 이미지


중국, 한국, 일본의 문헌에서 흔히 보이는 삼우(三友)니 사우(四友)니 하는 별칭은 인간이 갖춰야 할 덕목에 국화의 생태적인 특성을

은유적으로 대입시키는 말들이다. 향기나 품위 등 비슷한 특징을 지닌 식물 몇 가지를 결합해 숫자가 들어간 명칭을 붙인 것이 많다.

그래서 많은 지성인들은 국화를 다른 식물과 짝을 지어 시나 그림의 소재로 삼았으며, 그 안에는 인간의 불완전성을 고발하고 깨우치려는

저의가 있었던 것이다. 세한이우(歲寒二友, 매화, 국화), 사애(四愛, 난초, 연꽃, 국화, 매화), 사청(四淸, 매화, 수선, 계화, 국화), 사군자

(매, 난, 국, 죽), 사일(四逸, 국, 연, 매, 난), 화중(花中四雅, 국, 난, 수선, 창포), 오청(五淸, 난초, 대, 매화, 솔, 국),

풍월삼곤(風月三坤, 夏連, 秋菊, 春蘭) 등이 대표적인 몀칭들이다.


조선 초의 강희안은 대표적인 화초 52종을 9개의 품종으로 나눈 화목구품(花木九品)에서 국화를 솔 · 대나무 · 연꽃 · 매화와 함께 1품에

에 올렸고, 또 영 · 정조 시대의 화암 유박 (花菴 柳璞) 또한 화목 52종을 9등급으로 나눈 구등품제(九等品第)에서 역시 국화를 1등 품제에

올렸다. 이는 옛날부터 우리가 국화의 생태적인 특성과 이미지의 환유세계를 인간이 본받아야 할 덕목으로 사랑했다는 그 증거가 된다.





        





국화의 원산지와 품종


오늘날 국화의 품종은 3000종이 넘는다. 온대와 아열대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국화의 원산지는 중국과 한국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 산야에 자생하는 구절초 염색체 수는 18이다. 또 감국은 황색의 꽃으로 체세포의 염색체 수가 36으로 되어 있다.

주목할 것은 현재 재배되고 있는 국화의 염색체 수가 62 전후까지인 게 있는데 그것을 이수체(異數體)라고 한다. 이와 같은 과학적

근거를 들어 국화의 원산지를 한국과 중국으로 보는 것이다.  국화 재배의 역사가 오래된 중국은 품종 또한 세밀하게 분류되고 있다.

꽃의 색채, 줄기의 크기, 개화시기, 화형 그리고 꽃의 크기 등으로 분류하는데 워낙 광범위한 내용이어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 인용서적 : 책임편찬 이어령 著  「국화」





Everlasting Divine Poetry - Chamras Saewataporn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화 3  (0) 2019.01.20
국화 2  (0) 2019.01.19
훈민정음 언해본  (0) 2019.01.15
훈민정음 해례본  (0) 2019.01.14
훈민정음  (0) 2019.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