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훈민정음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訓民正音


훈민정음이 창제될 당시 중국은 明이 새로이 들어서면서 중국의 표준음이었던 남방 한자음이 북방 한자음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에따라 중국의 한자음과 차이가 나는 조선의 한자음을 조정하여 통일할 필요가 있었고 당연히 새로운 표준음을

학습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즉 조선의 한자음을 통일하고  그것을 나타낼 문자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던 것이

당시 상황에 비추어 본 훈민정음 창제의 한 까닭이자 이유였을 것이라는 게 학자들의 분석이다.


현재 6천여 개에 이르는 세계의 언어 가운데 사용자 수로 볼 때 한국어는 대략 10 번째 내외에 해당한다고 한다.

한글 창제 이론과의 과학성과 창제 원리의 합리성 및 우수성은 현대 언어학 이론 원리를 모두 담고 있을 만큼

시대를 앞선 우수한 문자로, 세계 문자의 태생적 유래로 보아도 가히 독보적 가치를 지닌다.


훈민정음은 오늘날 우리가 한글이라고 부르는 '글자'의 이름이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책'의 이름이기도 하다.

'백성을 가르친다'는 뜻의 '훈민(訓民)'과 '바른 소리'라는 '정음(正音)'이란 말이 결합한 것으로  '백성이 쓰는 바른 소리글자'인

동시에 '우리말을 적는 바른 소리글자'로 세계적 보편 문자로 인정 받고 있으며 그 어떤 문자보다 실용적이고 민주적인 문자이다.


한글이 창제될 당시 사대부들은 한자로 쓴 글은 '진서(眞書)' 한글로 쓴 글은 '언문(諺文)'이라 부를만큼 달가워 하지 않았던 모양.

남존여비의 사회 관념으로 한글을 주로 부녀자들이나 사용하는 글이라 하여 '암ㅎ +글' (암클)이라 부르기도 하였다고. 하지만 국가

에서나 지방 관아, 또는 사찰과 민간에서 다양한 한문 문헌을 언해해서 보급함으로써 줄기차게 한글의 생명력은 유지될 수 있었다.

특히 한글의 명맥이 유지되는 데는 조선조 여성들의 공헌이 매우 컸다고 할 수 있겠다.. 배워 익히기 쉬운 한글로 편지글인

 내간(內簡)이나 가사(歌辭) 등의 글쓰기가 한글의 생명을 400여 년 동안 이어 오는 데 결정적 공헌을 한 것이다.



『훈민정음』이라는 책은 "나라 말씀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으니..."로 시작하는 『훈민정음』언해본과

글자를 지은 뜻과 사용법 등을 한문으로 풀이한 해례본, 두 가지가 있다. 해래본이 1446년에 먼저 만들어지고 즈 중의 일부를 번역하여

언해본을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훈민정음』언해본은 몇 가지의 이본(異本)이 전하는 데 비해서 『훈민정음』해례본은 세상에 아직까지

단 한 권만이 전한다. 이 책은 경북 안동군 주하리에 있는 이한걸 씨 댁 회향당에 소장되어 있다가 1940년에 비로소 세상에 알려졌는데

글자를 만든 원리를 상세히 적고 있어서 훈민정음의 기원과 관련한 당시의 각종 가설을 불식시키게 되었다.








훈민정음의 서지(書誌)


『훈민정음』은 1962년에 국보 70호로 지정되었으며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현재 간송미술재단에 소장되어 있다.

목판본이며 전체가 3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에 표지와 앞의 두 장이 떨어져 나갔으며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닳아

있는데 특히 처음 몇 장은 심하게 훼손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의 이면에는 붓으로 글씨를 잔뜩 써 놓았기 때문에 앞면으로 배어 나와 있다.

떨어져 나간 앞의 두 장은 세상에 나올 당시에 원래의 모습을 수론하여 복원하였다. 이후에 배접과 제책 작업을 하였는데 배접한 후에 책을

재단할 때에 윗면과 아랫면을 지나치게 잘라서 원래의 책 보다 작아져 버렸다. 그리고 원래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제책 방법인 오침안정법

(五針眼釘法)으로 되어 있던 것이 사침안정법으로 제책이 잘못되었다. 즉 종이에 다섯 개의 구멍을 뚫어 실로 꿰매는 방법을 흔히 썼는데

중국과 일본에서 사용하는 방법인 구멍을 네 개만 뚫어 제책이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겉 모습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조선의 인쇄문화를

잘 보여주는 전형적인 책 중 하나이다.


『훈민정음』은 세종 임금이 쓴 글[서문과 예의(例義)]과 신하가 쓴 해례로 이루어져 있다.

임금의 글은 크게 썼고, 신하의 글은 보다 작게 썼는데 그렇게 하기 위하여 목판본 반장(반곽(半廓)이라고 한다)에 전자는 7행으로 하고

한 행에 11자가 들어가 있으며, 후자 즉 신하의 글은 8행에 매 행 13자가 들어가 있다. 글씨를 쓴 이는 당대의 명필이자 세종 임금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 용(瑢)인데 임금의 글은 방정한 해서체(楷書體)로, 신하의 글은 단아한 해행서체(楷行書體)로 썼다. 신하들이란 집현전

학사들을 말하는데 그들의 이름을 들어 보면,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 8명이다(참고로 이 중에서

세 명이 사육신이다.) 이들 학자를 대표하여 해례이 서문을 쓴 이가 당시 예조판서(禮曹判書)이자 집현전 대제학(集賢殿 大提學)이던

정인지이다. 그의 서문은 일반적인 서문과 달리 책의 맨 마지막에 있는데 임금의 글과 같은 책에 들어 있는

신하의 글이므로 뒤로 간 것이다.


한편 신하의 글에서 임금이나 임금에 관련된 것을 지칭할 때에는 자신의 글을 내려 쓰거나 임금과 관련된 내용을 다음 행에 쓰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이 책의 경우에도 매 행을 한 글자씩 내려서 썼으며, 殿下(우리의 전하), 命(임금의 명령), 大智(임금의 큰 지혜)는 쓰던 행을

비워놓고 다음 행의 첫머리에 씀으로써 군신 간의 예의를 지키고 있다. 또한 세자(世子)라는 글자는 같은 행에서 한 글자를 비우고 쓰고 있다.

그리고 집현전 학사들의 이름을 열거할 때에도 행의 반만 차지할 정도의 작은 글씨로 적어 놓았다.정인지 서문 외에 합자해(合字解)에도

 이런 것이 있는데 칠언(七言)으로 된 결(訣)에 "하루 아침에 지으셨으나[一朝 制作], 신의 죄화와도 같으셔서" 에서

제작(制作)은 임금이 한 일이므로 행을 바꾸어 시작하고 있다.







『훈민정음』의 내용과 인류문화서적 의미


『훈민정음』이 지닌 가치를 요약해서 말하자면 '백성을 위해서 만든 과학적인 글자인 '한글'의 제자 원리를 설명해 놓은, 이제까지

인류문화사에서 전무후무한 책'이라고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한글 창제의 동기가 다른 문자와는 확연히 다르다.

인류의 문화사를 보면 문자는 통치의 도구이며 문자는 곧 권력과 지위의 상징으로서 문자를 소유한 자는 그 사회의 통치자에 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한글의 창제 동기는 어리석은 백성이 제 생각을 잘 나타낼 수 있게 하기 위햐여 만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중세에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훈민정음』의 세종 임금 서문에는 당시의 세계관으로서는 상상하지도 못할 내용이 담겨 있다.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의 말과 달라서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나타내고자 하는 일이 있어도

마침내 제 생각을 얻어 내어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아는 이들을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들었는데,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익히어, 날로 씀에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문자를 독창적으로 만들었은 뿐만 아니라 그 문자를 "어리석은 백성들"을 위해서 만든 것으로 되어 있다.

『훈민정음』에 근대 사상의 하나인 민본주의가 담겼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사실을 이르는 것이며 바로 이러한 점에서

인류문화사에 획기적인 사건이 된 것이다.


둘째, 한글은 창제된 것이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글자는 이미 사용되던 글자를 빌려 와서 자신의 언어에 맞게 고쳐서 사용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한글은 이와 달리 독창적으로 창제된 것이다. 현존하는 세계의 거의 모든 문자는 다음의 에 개의 계통으로 소급한다.

 즉 이집트 상형문자(또는 성각(聖刻)문자라고도 함), 중국의 한자, 수메르 설형문자(楔形文字),  수메르 상형문자가 그것이다.

만주문자(滿洲文字)를 예로 들면, 페니키아문자가 변형되어 아람문자(Aram文字)로 되고, 그 문자가 시리아 문자로 차용되고 그 문자를

다시 소그드인이 차용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문자를 위그르인이 차용하였고, 이후 징기즈칸 시기에 포로로 잡힌 위그르인을 통해 몽골 문자로

만들었고 그 문자를 다시 적절히 고쳐서 만든 것이 만주문자이다. 이 만주문자는 약간 변형되어 현재 중국 신강위구르자치구에 거주하는

시버인들이 신문, 출판물 등에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계보가 다소 복잡해 보이지만 결론적으로 말하면 세계의 거의 모든 문자는

이미 존재하는 다른 문자를 변형하여 만든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한글은 어느 계통에도 속하지 않는 창제된 글자이다.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어떤 글자와도 달리, 만든 시기와 만든 이를 분명히 기록해 놓은 점에서 또한 인류문화사에서 전례가 없었다.



셋째, 한글 제자의 원리를 구체적으로 적어 놓았다.

한글 제자의 원리를 구체적으로 기술해 놓은 점은 더더욱 놀라운 일이다. 그 원리란 '상형'과 '가획' 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는 이론은 오늘날의 언어학적 관점으로 보아도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다. 상형(象形)은 모양을 본뜬 것,

가획(家書 즉 加劃)은 획을 더한 것을 말한다.


ㄱ을 예로 들어본다.


"어금닛소리자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떴다. " - <制字解>


이 내용은 『훈민정음』<制字解(제자해)에 나오는 것이다. 즉 '글자를 만든 원리에 대한 풀이' 인데 이러한 제자해가 존재한다는

그 자체가 세계 문자사상 너무나 독특하고 획기적이다. 가만히 '가' 소리를 낼 준비를 하고 혀의 모양을 생각해보라.

 이를 왼쪽에서 본다면 혀의 뒷부분이 입천장에 닿으면서 혀의 모양은 ㄱ자 모양으로 된다.


ㄴ을 살펴보자.


"혓소리자 ㄴ은 혀가 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떴다." - <制字解>


'나'를 발음할 준비를 하고 혀의 모양을 생각해보라. 역시 ㄴ자의 모양으로 된다. 이 원리가 바로 상형의 원리이다. 상형이라고 하지만

다른 문자에서 보듯이 일반적인 사물을 본뜬 것이 아니라 소리를 내는 기관 즉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가획의 원리를 한 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가 조금 세므로 획수를 더하였다. ㄴ에서 ㄷ, ㄷ에서 ㅌ으로(생략)

그것이 소리에 따라 획수를 더한 까닭은 모두 한가지이다.  - <制字解>


즉 소리가 세어짐에 따라서 상형에 의해서 만들어진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해서 만든 것이다.

'가' 와 '카' 를 비교해서 발음해 보라. '카' 소리를 낼 때에는 숨이 훅 하고 나온다. 이것을 '기(氣)' 라고 하는데 기(氣)가 더해진 상황을

획을 더하여 표현한 것이다. 이 점에서 한글은 마치 인공으로 만든 수학 기호 같은 느낌을 주는 문자이다. 로마자와 비교해 보자.


"ㄴ-ㄷ-ㅌ"

"n-d-t 또는 N-D-T"


한글은 동일한 위치 즉 잇몸에서 나는 소리는 모두 동일한 글자에서 변형된 것으로 비슷한 모양인 데 반해 로마자는 글자 모양이

제각각이어서 공통성이 없다. 한글은 이처럼 음성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기하학적 문자로 만들어졌다. 이러한 내용으로 인해서

『훈민정음』해례본은 인류의 지식을 한 단계 높이고 인류문화 발달에 기여한 기록물로 인정을 받게 된 것이다.


『훈민정음』의 내용 구성을 살펴보면 예의와 해례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새로운 글자를 만들고 그것을 사람들에게 처음 가르칠 때에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해 보면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

얼마나 효과적인 구성인지 알 수 있다. 예의에서는 자음 17자(竝書)자를 포함하면 23자)의 조음 위치와 음가, 그리고 모음 11자의 음가를

설명해야 했으므로 한자를 이용하여 예시하였다. 예를 들자면 "ㄱ의 위치는 아음(牙音), 즉 연구개음이며, 그 음가는 君자의 첫소리와 같다"

와 같이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모음에 대해서도 " 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와 같이 설명하였다.

 이어서 종성, 순경음, 병서에 대한 규정을 간략해 써 놓았다. 훈민정음에 대해서 간결하게 요점만을 밝혀 놓은 것이다.


해례 부분은 다섯 가지의 해(解)와 한 가지의 예(例)가 있고 마지막에 정인지의 서문이 붙어 있다.

해례는 세종 임금의 예의에 대한 설명이라고 볼 수 있다. 다섯 가지 해(解)란 제자해(制字解), 초성해(初聲解), 중성해(中聲解),

종성해(終聲解), 합자해(合字解) 이며 한 가지 예(例)란 용자례(用字例)를 일컫는다. 이를 다시 풀어 말하자면 제자해에서 글자를 만든

원리에 대하여 해설하고, 초성해에서 초성에 대한 해설을, 중성해에서 중성에 대한 해설을, 종성해에서 종성에 대한 해설을 하고

 마지막으로 용자례에서 실제의 예를 들어 보였다. 새로운 글자를 도입하면서 글자의 음가와 운용법을 해설한 것이다.

각 해의 끝 부분에은 "訣曰(이상에 대한 요결은 이러하다)"이라고 한 후 매 행 일곱 글자의 시 형식으로 정리하여 요약하였다.


정인지의 서문은 해례에 대한 서문인데

해석을 상세히 하여 모든 사람을 깨우치게 하라고 한 임금의 명에 의하여 해례를 지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서문에서 정인지는

"슬기로운 사람은 아침을 마치지 않아도 깨우치고,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열흘이 못 되어 배울 수 있다" 라고 하여 훈민정음을 쉬이 익힐 수

있음과 "비록 바람 소리, 학의 울음, 닭의 울음, 개 짖는 소리라도 다 능히 쓸 수 있는 것이다" 라고 적을 수 없는 것이 없음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서문을 쓴 연대를 "正統十日年九月 上澣(정통 11년 9월 상한)" 이라고 밝혔다.

오늘날 우리가 기념하는 한글날은 이 기록에 근거하여 10월 9일로 정하였다.



그러나 『훈민정음』해례본을 현대인들이 읽기는 그리 쉽지 않다. 단순히 한문 때문만이 아니다.

심오한 철학과 글자의 운용을 밀접하게 연결시켜 놓았기 때문에 언어학을 전공한 학자들도 읽고 이해가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이 시대의 사상적인 배경을 읽을 수 있는데 그것은 송(宋)의 성리학(性理學)이다.

송의 성리학은 명(明) 시대에 이르러 『성리대전(性理大全 1415년)』등으로 집대성 되었는데 이 책이 세종 1년(1419년)에 우리나라에

전래 되었으며 당연 학문을 좋하하는 세종은 이 내용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그 중에서도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성음(聲音)'을 특히 중시한 소옹(邵雍)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등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소옹은 수리로 우주 만물의 생성원리를

설명하는데 성음을 먼저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 철학자이다.


"성음의 수를 안 뒤라야 만물의 수를 관찰할 수 있고, 성음의 이치를 안 뒤라야 만물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이러한 이론에 영향을 받아서 『훈민정음』<制字解>는 철학적 내용을 바탕에 둔 글자 제정의 원리를 보인다.

몇 구절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대개 사람이 소리를 가짐은 오행(五行)에서 비롯된다. (······) 목구멍[喉]은 깊숙하며 젖어 있으니 물[水]에 해당된다.

혀[舌]는 날카로우며 움직이니 불[火]에 해당된다. (······) 이[齒]는 단단하며 끊으니 쇠[金]에 해당된다."

- <制字解>


이러한 설명에서 우리는 사실과의 부합 여부를 떠나서 세종이 당시의 세계관과 철학에 기초를 두고 만물의 생성과 운행 원리에 맞춘

완벽한 글자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음을 엿볼 수가 있다.








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우수성


언어학적 관점에서 『훈민정음』의 내용을 살폈을 때 현대 언어학의 중요한 개념들이 서술되어 있다는 점에서

15세기의 저술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놀랍고도 훌륭한 언어학적 저술로 평가될 수 있다.


첫째,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처음부터 따로 만들어진 글자이다.

상형문자에서 발달한 글자는 자음자만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페니키아문자도 자음자만 있었으며 현재의 아랍문자도 자음자만 있다.

현재 로마자에서 보이는 모음자는 페니키아문자에서 그리스문자로 정착될 때 비로소 변형 추가된 것이다. 게다가 U 글자는 중세에 이르러

비로소 Y 글자에서 분리되어 생겨났다. 이러한 글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면 처음부터 자음글자와 모음글자를 분리하여 분명한 원리에

의해서 창제한 것은 놀라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당시에 최고의 언어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음운학을 이해하고 나면

이러한 분리는 더욱더 획기적인 사실로 다가온다.


중국의 음성 표기법을 분석해보면 하나의 음절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한 글자(음절)의 음을 성모와 운모로 나누는 것이다. 세종대왕을 비롯한 집현전 학자들은 당시의 성운학 이론에 매우 밝았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 학자들은 이러한 성운학의 원리를 답습하지 않고 한 음절을 세 부분으로 나누는 새로운 원리를 발견하였다.

즉 하나의 음절이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던 것이다. 이것을 삼분법의 원리라고 하는데 당시의

성운학에서는 볼 수 없던 개념이었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의 글자(음절)를 삼분하되 글자는 '초성, 종성'과 '중성' 즉 '자음'과

 '모음'을 각각의 원리에 따라 만들었는데 이렇게 자음자와 모음자를 구별하여 만든 글자는 세계 언어학사상에서 드물다.


둘째, 모음조화 현상을 이해하고 글자에 반영하였다.

한국어, 알타이언어들에는 모음조화 현상이 있는데 모음조화는 모음체계 내의 모음들을 두 불규(중성모음이 있는 경우에는 세 부류)로

나눌 수 있으며 한 단어 안에서 한 부류의 모음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 훈민정음 제작자는 모음의 이러한 어울림 현상을 알고

있었으며 이를 설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실을 글자 모양에 반영하였다. 그리하여 기본 글자를 이 세상의 중요한 세 가지 즉 하늘,

땅, 사람 천(天), 지(地), 인(人)의 삼재(三才)로 잡고 그 글자를 각각 ㆍ, ㅡ,ㅣ로 형상화하였다. 한편 모음을 설축, 설소축, 설불축으로

분류했든데, 설축(舌縮)이라는 용어의 정확, 적절성은 1960년대에 이르러 동서양의 언어학계에서 증명되기에 이르렀다.

즉 모음조화가 있는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여러 언어를 비롯하여 세계의 여러 언어에서 혀뿌리의 전진과

후축 여부에 의해서 모음조화의 모음류가 변별된다는 점이 속속 밝혀졌기 때문이다.


해례본이 보여주는 또 하나의 언어학적 사실은 당시 언어 즉 중세 한국어의 음성실현의 운율적인 면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것을 표기에 반영했다는 점이다. 즉 당시 언어의 성조 즉 소리의 높낮이를 기술하고 표기한 것인데 평성은 점이 없으며 거성은 점이 한 개,

상성은 두 개다. 어미에는 표기 원칙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일관성 있게 표기되어 있다. 이러표기는 이후 약 150년간 지속되는데

이처럼 소리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표기한 글자 또는 글자체계는 달리 찾아보기 어렵다.






훈민정음 반포(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1446년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이 반포되었다. 1913년 이후 '한글'이라는 명칭으로 바꾸고

'조선어학회'가 훈민정음 반포일을 한글날이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 '한글'이란 이름으로 널리 불리게 되었다.



세종대왕 어진(御眞)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

조선 제4대 왕으로 젊은 학자들을 등용하여 이상적인 유교정치를 구현하였다.






























배우기 쉬워서 하루아침 또는 열흘이면 익힐 수 있다.

⑨ 이 글자가 창제되어 한문책의 뜻도 쉽게 알 수 있게 되었고, 죄인(罪人)

의 뜻도 알수 있게 되었다. 또 한자음 소리도 다 적을 수 있게 되었다.


⑩ 이 책을 편찬한 사람은 최항 등 8명이다.


⑪이 글자는 순전히 세종대왕의 독창적인 창안에 의하여 창제된 것이다.




●인용서적 : 국립국어원 발행 / 훈민정음








Water Cascading - Krena Loeffen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언해본  (0) 2019.01.15
훈민정음 해례본  (0) 2019.01.14
일본의 천황상  (0) 2019.01.10
중국의 황제상  (0) 2019.01.09
한국의 어진  (0) 2019.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