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벽은 약 13㎞에 이르는데, 평탄지와 경사지에서 각각 다르게 축조되었다.
평탄지에는 내벽과 외벽을 쌓는 협축(夾築) 방식으로 쌓였으며, 경사지에는 바깥쪽만 돌로 쌓는 편축(片築) 방식을 사용하였다.
성벽의 바닥면에는 작은 돌을 두어 지면을 다졌고, 그 위에 두께 10cm 정도의 일정하지 않은 널돌을 바깥쪽으로
12∼15cm 정도 내밀어 쌓은 다음 다시 위쪽으로 성벽을 축조하였다.
용장성에서 가장 높은 곳은 남쪽에 위치한 해발 215m의 서낭산 정상부인데, 여기에는 이전에 산 정상부를 둘러 쌓은
작은 규모의 퇴뫼식 성벽 흔적이 남아 있다. 이곳에서는 성 전체는 물론 주변 지역이 일목요연하게 관측되므로,
망대(望臺)와 같은 군사 시설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성 안에는 축대를 쌓아 층층이 나눈 층단식(層段式) 평지가 있고, 건물터 등도 곳곳에 남아 있다.
원래 용장성에는 고려시대에 절이 있었는데, 삼별초가 허물고서 행궁을 지었으므로 ‘궁궐터’라고 불렸다.
궁궐터는 북향의 경사면에 자리하였기에, 건물은 모두 북향을 하였을 것이다.
1980년대에 지표조사가 이루어진 뒤 2004년부터는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시행되었다.
건물터 발굴조사에 의해서 건물 구조가 확인되었고 많은 양의 기와 조각과 청자 조각, 불구(佛具), 석탑 부재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2009년∼2010년에 진행된 궁궐터 전면 조사를 통해서는 삼별초의 진도 이동이 고려 왕실의 강화 천도에 이은
또 하나의 천도였음이 확인되었다. 곧 20여 채 이상의 건물은 성 안에 치밀하게 배치되었는데, 이것은 마치
개경 만월대를 연상시키는 구조여서, 매우 섬세한 계획에 의해서 궁궐이 조성되었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이로써 삼별초가 진도가 들어간 뒤에야 용장성이 설계되고 시공된 것이 아니라, 진도로 옮기기 전에
이미 기본적인 설계와 궁궐 조성 작업의 일부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산성의 축성 시기에 대해서는 1243년(고종 30)이나 1260년(원종 1)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1268년(원종 9)부터 궁궐이 시공되었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해설: 백과사전 참조







과거 답사에선 보지 못한 여러 건물들이 지어졌는데
이 건물은 '용장사'라는 편액을 내걸었다.


고려항몽충혼탑

벽파진 벽파정





벽파항이 내려다 보이는 산 정상부의 자연석을 다듬어 거북좌대로 삼고
거북의 등 위에 비신을 세운 형태인데, 이곳 진도 출신 서예가 소전 손재형이 국한문 혼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서체를 동원하여(한자 272, 한글 616자) 글씨를 썼다.



벽파정에 올라...

때마침 진도 오일장날이어서 점심 식사차 선술집을 찾았는데 위의 시가 벽에 걸려 있었고
이에 대한 이런 저런 애기가 오가고 있던 중 누군가가 다가와 말을 걸고 있었고
소개를 받고 보니 그는 다름 아닌 김희수 진도 군수님이시라고.

진도의 수장(중앙) 답게 역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걸친 해박한 해설을 들려 주셨다.
그런데 식사 후 또 다른 곳에서 군수님을 만나는 우연이 이어질 줄이야...

첨찰산을 배경으로 자리한 '운림산방'

조선 말기 남화(南畵)의 대가이던 소치(小癡)허련(許鍊)이 만년(晩年)에 기거하며 작품을 제작하였던
곳으로, 사랑채인 화실의 당호(堂號)이다. 허련이 49세 때인 1857년(철종 8)에 귀향하여 건립한 것이다.
허련은 시(詩), 서(書), 화(畵)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고 칭송되는데, 20대에 대흥사(大興寺)초의선사(草衣禪師)와
추사(秋史)김정희(金正喜)의 문하에서 서화를 배워 남화의 대가가 되었다. 특히 헌종의 총애를 받아 임금의 벼루에
먹을 찍어 그림을 그렸으며, 왕실 소장의 고서화(古書畵)를 평하기도 하였다.
허련은 고부 현감(古阜縣監)을 거쳐 무과에 합격하고 관직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대표작으로 「선면산수도(扇面山水圖)」, 「완당선생해천일립상(阮堂先生海天一笠像)」
등이 있고, 『몽연록(夢宴錄)』 등의 저서가 있다.





운림梅

상층부 부근에 손에 꼽을 정도의 개화 상태를 보이는데 이를 일러 '심매尋梅'의 지경이라 일컫는다.
이와 대비되는 표현으로 활짝 피어난 매화 감상은 탐매探梅라 칭하기도 한다.


사당 구역의 '소치梅'
줄기 아래쪽 나무 껍질 부분이 찢겨진 상태인데도 꽃을 피워 올릴 기세다.


허소치 영정

초옥으로 남은 본래의 '운림산방'
이 곳에서 또 다시 진도군수님을 만나 오른편 건물의 지붕 상태를 여쭈었더니
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이라서 마음대로 손을 댈 수 없어 포장을 덮어 놓은 상태라는 설명.


이곳에서 다시 만난 기념으로 진도 군수께서 멀리 뉴욕에서 온 젊은 친구
원기연 군에게 우리의 얼이 담긴 무궁화가 그려진 족자를 선물하시는 모습.

김희수 진도군수님의 자상한 배려와 센스에 그저 고맙고 기쁘기만...

여러 사연이 내재된 운림산방 대표 매화 일지梅



















운림산방과 담 하나로 붙어 있는 첨찰산 쌍계사 초입의 동백과 일주문.

쌍계사에 이르는 길 옆 민가에 피어난 홍백梅의 조화






전각 뒤로 돌아가면 울창한 동백수림을 볼 수 있다.


첨찰산 계곡에 들어서면 난대림을 대표하는 수종이 울창한지라
대낮인데도 어두컴컴한 지경.
'영성 > 동학 천도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매와 동학기행 <4> (0) | 2025.03.24 |
---|---|
탐매와 동학기행 <3> (7) | 2025.03.24 |
탐매와 동학기행 <1> (2) | 2025.03.24 |
2023 동학천도 겨울 합동 수련회 (0) | 2023.12.30 |
한울연대 창립 13주년 축하 회고연 (0)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