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선인들의 유람록 <금골산>

 

 

 

 

이주李胄, 「금골산록金骨山錄」

 

 

 

금골산은 진도珍島 읍내에서 서쪽으로 20리에 있는데

중봉이 가장 높고 사면이 모두 바위라서 바라보면 옥부용玉芙蓉 같다.

서북쪽은 바다에 닿아 있으며, 서남의 지맥이 구물거리며 남으로 달려 2리쯤 가서 간재가 되고,

또 동쪽으로 2리쯤 가서 용장산龍莊山이 되어 벽파도碧波渡에 이르러 그친다.

 

산의 주위는 모두 30여 리이다. 산 아래에 큰 절터가 있어 해원사海院寺라고 한다.

9층의 석탑이 있고 탑의 서쪽에 황폐한 우물이 있다. 그 위에 삼굴三窟이 있다. 맨 밑에 있는 것이 서굴西窟로,

산의 서쪽에 있는데, 창건한 연대는 알 수가 없다. 근자에 일행一行이란 스님이 와서 향나무로 십육나한의

소상을 만들어 그 굴에 안치하였다. 굴의 곁에 별도로 옛 사찰 예닐곱 칸이 있어 중들이 거처하고 있다.

그 맨 위의 것이 상굴上窟이다. 상굴은 중봉 절정의 동쪽에 있어, 기울어진 비탈과 동떨어진 벼랑이

몇천 길인지 알 수 없으니, 원숭이처럼 빠른 동물도 오히려 지나가기 어려울 정도이다.

 

동쪽에서는 더위잡아 발붙일 땅이 없고, 서굴을 경유하여 동쪽으로 올라가자면 길이 극히 위험하다.

비탈을 타고 바위 위를 조금씩 이동하여 한 치  한 치 전진하여 1리쯤 가면 석봉石峯이 우뚝 솟아 앞에 있다.

날아서 건너갈 수 없으므로 돌을 포개서 열세 계단의 층층 사다리를 만들었다. 내려다보면 밑바닥이 없어

심목心目이 모두 현기증을 일으킨다. 거기를 올라가면 절정이다. 절정으로부터 동쪽으로 돌아 내려가기를

30보쯤 가면 마루턱 바위를 파서 오목하게 만들어 발을 붙이고 오르내리게 만든 것이 열두 군데 있다.

거기서 10여 보를 내려가면 상굴이 나온다. 떠 거기서 북쪽 바위로 두어 걸음 가면

또 마루턱 비탈을 파서 허공에 비게를 매 놓았다.

 

동쪽으로 향하여 곧장 8, 9보쯤 내려가면 동굴東窟이다. 

앞 칸의 부엌은 모두 비바람에 퇴락하였다. 굴 북쪽 비탈을 깎아서 미륵불을 만들었는데,

옛날 세조 때 군수 유호지柳好池가 만든 것이다. 불가에서 전해 오기를

"이 산이 옛날부터 영험이 많아서 내년 방광放光을 해서 기적을 보이고,  유행병이나 수한 水旱의 재앙에도

기도를 드리면 반드시 효과가 나타났다. 미륵불을 만들어 놓은 후부터는 산이 다시 방광한 일이 없었다.

그 유씨는 외도外道꾼  김동金同 같은 사람이 아니라면 반드시 산 귀신을 누르는 사람일 것이다" 라고 한다.

그 말이 황당하나, 역시 들을 만하다.

 

무오년(1498, 연산군 4) 가을에 나는 죄를 지어, 이 섬으로 귀양살이 왔다.

그리고 그해 겨울에 이 산을 둘러보고 이른바 삼굴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마음에 기억해 두었었다.

4년이 지난 임술년(1502) 가을 9월에 왕세자를 책봉하고, 이날 온 나라에 대사면령을 내렸지만, 유독 무오년 때에

죄를 입은 진신搢紳의 선비는 용서받는 줄에 끼이지 못하였다. 나는 혼자서 스스로 탄핵하여 이렇게 말하였다.

"선비가 세상에 나면 반드시 충효를 다할 것을 스스로 기대하거늘, 지금 나는 죄악이 지극히 중하여 성스러운

조정으로 부터 버림 받는 물건이 되었다. 신하 노릇을 하고 싶지만 임금에게 충성할 수도 없고, 자식 노릇을 하고

싶지만 부모에게 효도할 수도 없으며, 형제 · 붕우 · 처자가 있지만 형제 · 붕우 · 처자의 즐거움을 누리지도 못한다.

그렇기에 나는 사람의 부류가 아니다." 그리고는 실의하여 더욱 이 세상을 살아갈 뜻이 없게 되었다.

 

하루는 동자에게 술 한 병을 들리고 비척비척 홀로 떠나서 서굴에 들러 언옹彦顒과 지순知純 두 분 스님을 이끌고

곧장 상굴에 이르렀다. 굴은 불전佛展과 재주齋炷를 아울러 모두 두 칸인데, 비어둔 햇수가 너무 오래되었고 사는

스님도 없어서, 낙엽이 문을 메우고 먼지와 모래가 방에 가득하며, 산바람이 부딪치고 바다 안개가 스며들며 흙비

가 내리고 장독 기운이 담뿍 쌓여 거처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먼지를 쓸어내고 창과 벽을 바른 후 나무를 베어 부엌

에 불을 때고, 문을 열어 공기를 통하게 하였다. 그리고 한낮에 밥 한 사발을 먹고 아침저녁으로는 차 한 잔씩을 마시며,

닭의 울음을 들어 새벽인 줄 알고 앞바다의 밀물을 살펴 때를 짐작하며, 쉬거나 잠자리에 드는 일을 마음대로 하고

기거동작을 편한 대로 따랐다. 그리고 다섯 가지 게偈를 지어 지순으로 하여금 밤마다 오경五庚(새벽 4시)까지

나누어 외우게 하고, 누워서 들었다. 역시 하나의 승사勝事(멋진 일)이다.

 

이렇게 하기를 반달이 지나자, 고을의 태수 이세진李世珍 씨가 술을 가지고 와서 위로하고, 또 이렇게 말하였다.

"이 땅은 아주 위험하므로, 속히 내려가도록 하시오. 만약 스님들과 더불어 심심풀이나 하려거든 서굴이 적당하오."

퇴탁경崔倬卿과 박이경朴而經은 편지를 보내어 말하였다.

"듣자니 그대가 상굴에 가서 예측 못할 위험을 겪고 있다니 명命을 아는 군자의 행위가 아니다."

손여림孫汝霖은 서울로부터 어명을 받들고 와서 백성의 참상을 살피면서,

서울 친구 두세 명의 뜻을 들어서 나를 몹시 나무랐다. 나는 말하였다.

"친구끼리는 선의로써 선善에 나아가도록 책망한다는 것이 헛말이 아니로군.

내가 어리석어서 당초에 명리의 길이 구절 반장九折半腸보다 험한 줄 모르고,

그대로 쉬지 않고 가다가 나의 수레를 망가뜨리고 말았소.

그렇거늘 또 이 굴이 험한 줄도 모르고 거처하다니,

만약에 한 번 차질이 있어 부모님께서 주신 몸뚱이라도 손상한다면 이 이상 더 큰 불효는 없겠다."

 

그리고는 지순과 언옹 두 스님에게 이별을 알리고 산을 내려가려고 하였다.

두 스님이 나를 전송하여 해원사 석탑 아래까지 와서 이렇게 말하였다.

"산승의 종적이라 구름같이 방향이 없거늘, 어찌 일정한 주착住着이 있겠습니까.

어르신도 또한 멀지 않아 임금님의 은혜를 입어 떠날 터이니 어찌 이 금골산에 다시 거처하게 되겠습니까?

그렇다면 한 말씀을 기록하여 후일의 면목이 되게 하지 않으시렵니까?"

나는 말하였다.

"스님의 말씀을 듣고 보니, 그걸로 쓸거리가 됩니다. 그런데 <여지승람>을 상고해 보니,

이 산의 명산조항에 금골산이 들어 있지 않고, 불우佛宇(사찰)츼 조항에 삼굴이 빠졌습니다.

이는 성스러운 태평시대에 국가 영토의 지도를 잘못 제작한 것이요, 금골산으로서는 큰 불행입니다.

지금 두 스님의 말에 따라 금골산에 대해 기록해서 훗날 이 기록을 보는 자로 하여금 이 섬에 금골산이 있고

이 산속에 삼굴이 있는 것을 알게 하고, 또 두 스님께서 저와 함께 굴에서 거처한 사실을 알게 한다면,

장차 이 일도 오늘로부터 옛일이 되지 않겠습니까?" 두 스님은 "그렇겠지요" 라고 말하였다.

마침내 날마다 지은 시 약간 편을 아울러 기록하여 드디어 「금골록金骨錄」이라고 표지에 적어서

서굴에 보관하게 하였다. 산에 있었던 기간은 모두 23일이다.

 

홍치弘治 임술년 겨울 10월에 철성鐵城 이주李胄는 기록한다.

 

 

 

 

 

 

 

 

금골산 金骨山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둔전리에 위치한 해발고도 135미터의 산.

산 전체가 기암괴석으로 형성되어 있고, 산에 올라보면 암벽을 깎아 들어간 3개의 석굴으 보게 되며,

맨 왼쪽 굴의 북쪽 절벽에는 1470년에 만들었다는 좌우 3.5미터 크기의 미륵불이 있다.

금골리 해원사를 거쳐 주능선 동쪽 길로 정상에 이르게 된다.

 

 

 

 

 

 

 

 

이주李胄(1468~1504)는 조선 성종 때 사림파의 태두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문하에서 공부하고 과거 급제 후

벼슬길에 나아갔다. 정언 벼슬을 하고 있을 때, 무오사화가 일어나 진도로 귀양 갔으며 갑자사화 때 사형을 당하였다.

그는 사람됨이 헌걸차서 시도 매우 호방하다. 서장관으로 중국에 갔을 때 통주通州에 이르러 문루에 올라 쓴

「통주通州」는 정말 기상이 씩씩하다. 중국 사람들이 그 시를 현판에 걸어놓고 그 시의 구절을 따라 그를

'독학모귀료 선생獨鶴暮歸遼先生' 이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그 일화가 실려 있다.

 

 

통주通州는 천하의 승지라 누관樓觀이 구름 하늘로 솟아났네.

저자에는 금릉金陵의 물화가 즐비하고 강은 양자강 조수와 통하네.

층층 구름은 가을 물가에 떨어지고 외론 학은 저녁에 요동으로 돌아가건만,

안장에 실린 몸으로 천 리 밖에 떠도나니 높이 올라 바라봐도 고국(고향)은 아득해라.

 

 

1502년, 이주는 진도로 귀양을 가면서 「유자후(유종원)가 아우 종일을 이별하며 준 시에 차운하다」

라는 시를 지어 비장한 심경을 토로하였다.

 

 

귀밑머리 이미 흰머리가 섞였거늘 이제부터 땅 한 모퉁이에 살게 되다니.

민閩 월越 고장은 사람들 모두 야만스럽고 계강桂江에는 비린 비 내려 하루가 한 해 같네.

산은 검각劍閣처럼 뾰족뾰족 가을 바다에 둘러 있고 배는 상강湘江에 댄 듯, 물살이 하늘을 치네.

이제 떠나면 다시는 형 생각 말아라 쫓겨난 신하의 해골은 장독瘴毒 낀 남방 지역에 묻으면 족하리.

 

 

유배지 진도를 중국 남방의 민이나 월 지역과 같다고 하였다.

또 산이 검각 같다고 하거나 강물이 상강과 같다고 하였다.

두보가 사천성으로 피신하면서 검각을 노래한 것이나 굴원이 상강 가를 떠돈 것을 환기한 것이다.

마지막 연은 유종원이 아우에게 한 말을 환기하여 자신의 아우에게 비장한 심경을 토로하였다.

 

1502년 진도로 귀양을 간 후 1506년(임술)의 초겨울에는 금골산 삼굴사 가운데 상굴로 스님 두 사람을 인솔하고

동자를 데리고 가서 23일간 거처하면서 자신만의 정신세계를 구축하였다. 이때 금골산의 지세와 자신의 상굴

생활을 기록으로 남긴 것이 귀의 「금골산록」이다. 그는 금골산 상굴에서 「한밤에 똑바로 앉아서夜坐」라는

시를 지어 어떠한 처지에서도 인간 본연의 품성인 양심을 잃지 않겠다는 각오를 하였다.

 

 

음풍陰風은 위위우우 비는 추적추적 바다 기운 산에 닿아 동굴이 깊구나.

이 밤 떠돌이 내겐 흰머리만 남았다만 심지 불 댕길 때 초심初心을 돌아본다.

 

 

「높은 곳에 올라登高」라는 시에서는 유배지에서 중양절을 맞아 높은 곳에 오르긴 하였지만

남들처럼 즐길 수 없는 처지라, 동지들에게 초혼가招魂歌를 부르며 애도해 달라고 하였다.

 

 

낙엽 우수수 지고 절기도 지나가려 하는데

마른 지팡이에 병든 몸을 기대어 높은 언덕에 올라 본다.

인생 백 년에 길을 헷갈려 천 리 멀리 떠나와 있다니.

세상만사에 마음이 놀라네, 바다 한 끝에서.

취한 김에 홍안을 빌려 단풍빛에 응수해 본다만

늙은 몸 흰머리로는 황국黃菊에게 미안하다.

용산낙모의 풍류야 늘 있는 일이려니

초사를 노래하여 초혼을 해주시구려.

 

 

용산낙모龍山落帽는 도연명의 「진나라 고 정서대장군 장사 맹부군 전晉故征西大將軍長史孟府君傳」에 나온다.

화온桓溫이 중양절에 용산에서 잔치를 베풀었는데, 참군으로 있던 맹가孟嘉가 흥에 겨워 바람이 모자를 떨어

뜨리는 것도 알아차리지 못하였다고 한다. 이주는 내가 없는 저쪽에서는 용산낙모의 풍류도 있을 것이다. 다만,

거리에 내가 참척하지 못하였음을 새삼 깨닫는다면, 죽은 목숨이나 다름없는 나를 위해 초사楚些를 불러달라고

말하였다. '초사' 는 초혼가를 가리킨다. 초나라 민간에 유행하던 노래와 그 노래를 본 따 지은 시들을 엮은 <초사

楚些>에 보면 송옥宋玉이 굴원屈原의 넋을 부른 「초혼招魂」이 있다. 그 「초혼」은 초나라 민간의 초혼가

형식을 빌려 "혼이여 돌아오라" 라는 식으로 구절의 끝에 조사 '사些' 를 썼다.

 

이주는 상굴에 거처하면서 자유자내함을 즐기려고 하였다. 

그것은 한낮에 밥 한 사발을 먹고 아침저녁으로는 차 한 잔씩을 마시면서 쉬거나

잠자리에 드는 일을 마음대로 하고 기거동작을 편한 대로 따르는 일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자유자재함도 방해를 받고 말았다.

주변 모두가 때로는 넌지시, 때로는 직접적으로 상굴의 거처를 책망하였다.

결국 그는 2년 후 발생한 무오사화 때 사약을 받고 말았다.

 

 

 

 

인용: 심경호 著 <산문기행>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인들의 유람록 <청량산>  (0) 2021.06.18
선인들의 유람록 <소백산>  (0) 2021.06.17
선인들의 유람록 <서석산>  (0) 2021.06.16
선인들의 유람록 <월출산>  (0) 2021.06.16
선인들의 유람록 <가야산>  (0) 2021.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