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신과 마귀
『삼국유사三國遺事』속 신화
곡도노호(鵠島老狐)
신라 진성여왕 시대의 '거타지' 이야기에 나오는 신으로, 곡도에 사는 늙은 여우다.
속임수의 신으로 상상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귀입궁중(鬼入宮中)
이 이야기는 백제 멸망을 예언하는 귀신의 흉흉한 모습과 그 예언을 대하는 의자왕의 졸렬한 모습을 비난하는 형태다.
금전문노승(金殿門老僧) · 장사(壯士)
황룡사 건설에 얽힌 내용으로 이 이야기는 금전문에 나타난 노승과 장사는 건축을 상징하는 신,
특히 고층건물을 세우는 신이나 고층건물을 상징하는 신으로 볼 수 있다.
기장산웅신(機張山熊神) · 정씨지류(鄭氏之柳)
사람을 유혹해 홀리게 하는 버드나무와 곰과 비슷한 신령이라는 점은 독특한 면이 있다.
병을 일으키는 신이면서 한편으로는 버드나무의 신이자 곰의 신인데,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풀이나 나무와 짐승을 나타내는 신이라 할 수도 있다.
길달(吉達) · 비치제귀(飛馳諸鬼) · 비형랑(鼻荊郞)
이 이야기는 도깨비 이야기의 원형으로도 가끔 언급된다.
그러나 이 이야기 속 귀신이 조선 시대 이후 한글로 표기되는 도깨비와 얼마나 비슷한지는 명확치 않다.
나림신(奈林神) · 혈례신(穴禮神) · 골화신(骨火神)
동악신(東岳神) / 석탈해(昔脫解)
동지룡(東池龍) · 청지룡(靑池龍) · 분황사정룡(芬皇寺井龍)
동해룡(東海龍)
마령신인(馬嶺神人)
만어산오나찰녀(萬魚山五羅刹女) / 옥지독룡(玉池毒龍)
명사(冥司)
보대사(普大士)
북천신(北川神)
사방대력신(四方大力神)
상심(詳審)
서해약(西海若)
선도성모(仙桃聖母) / 선도대왕(仙桃大王)
아사달산신(阿斯達山神) / 단군(檀君)
역신(疫神)
오악삼산신(五岳三山神)
운제(雲帝) / 운제산 성모(雲梯山聖母)
이목
일산신인(日山神人) · 오산신인(吳山神人) · 부산신인(浮山神人)
일월지정(日月之精)
장천굴굴신(掌天窟窟神)
정성천왕(靜聖天王)
지백급간(地伯級干) · 옥도금
처용(處容) 천사(千使)
천제(天帝) 치술신모(鵄述神母)
하백(河伯) / 유화(柳花) / 동명성제(東明聖帝)
함달파(含達婆) / 이십팔용왕(二十八龍王) / 적녀국적룡(積女國赤龍)
호국대룡(護國大龍)
환웅(桓雄)
환인(桓因)
인용서적 / 곽재식 著 · 이강훈 畵 『한국 괴물 백과』
............................................................................................................................................
동네 도서관에 들르면 늘 그렇듯이 '신간' 코너 부터 훑는데 '괴물' '요괴'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 온다.
평소 같으면 그냥 지나쳤을 텐데, 비슷한 어감의 책이 한 권도 아닌 두 권씩이나.
것도 비슷한 시기에...?
하나는 『한국 괴물 백과』, 또 하나는 『한국 요괴 도감』이란다.
다소 심드렁한(?) 항목이 분명한데도, '백과'와 '도감'이라는 무게감이라고나 할까?
어쩐지 한 번 들여다 보고 싶은 생각이...!
두 권의 책에 서서히 적셔져 볼 요량이다.
Break Of Dawn - Amethystium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이함에 대하여... 2 (0) | 2019.06.21 |
---|---|
괴이함에 대하여... 1 (0) | 2019.06.18 |
김호석의 작가노트 (2) (0) | 2019.06.15 |
김호석의 작가노트 (1) (0) | 2019.06.15 |
정조어찰 해제 (0) | 2019.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