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서학과 미술

 

서구 문물과 학문의 유입

 

 

지리상의 발견 이후 중국에 전래된 서구의 천문, 지리, 의학, 종교 등을 다루는 학문을 서학西學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서헉'과 천주교 신앙만을 다루늕 '서교西敎'를 구분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넓은 범주에서 함께 다루려고 한다.

이 용어는 명말청초에 가톨릭을 전도하기 위해 중국에 도착한 예수회 선교사들이 서양의 다양한 과학 서적들을 가져와

한문으로 번역 출판한 것을 '한역서학서漢譯西學書' 또는 '西學書'라고 하면서 생겨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선조 연간(1567-1608) 전래된 이후 실학자들이 개별적으로 수용하였으며, 조선 왕실의 천주교 탄압은 서구의 과학

지식이나 문물에 대한 부정적 시각으로 이어지며 근대적 사회체제로의 능동적 전환을 늦추는 부정적 기능을 하기도 하였다.

일본에서는 1612년 에도 막부의 천주교 금지 이후,

서구의 학문이나 문물 수용이 네덜란드(和蘭)로 제한되면서 난학蘭學이라 부르고 있다.

 

중국에서 서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성립하게 된 직접적 계기는 1517년 독일에서 마틴 루터(1848-1546)에 의해 일어난

종교 개혁이다. 중세 말부터 가톨릭 교회는 성당 건립이나 포교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면죄부를 남발하였고,

이러한 폐단을 반대하여 믿음에 의한 신앙을 내세운 개신교가 북유럽을 석권하게 되었다. 그러자 가톨릭은 자정운동과

함께 다른 지역으로의 포교를 통해 위기 상황을 타계하려 하였으며, 예수회 소속 선교사들은 새로 개척한 항로를

따라 동아시아로 건너와 전도 활동을 폈다.

 이때 예수회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가 중국에 가톨릭을 전파하기 위해 도착하였다.

 

 

 

 

 

 

 

 

左, 마누엘 페레이라, <마테오 리치 초상>

1610년, 캔버스에 유채, 로마 일 제수 성당

右, 마테오 리치와 서광계

독일 예수회원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편찬 『China IIustrata』중에서, 1667

 

마테오 리치가 중국으로 가져온 다양한 서적이나 과학 문물을 선교 과정에서 적극 활용하였기  때문에 서학 성립과 가톨릭 포교에중요한 인물로 평가된다. 1583년 명 황실로부터 상륙 허가를 받은 그는 광동성 조경에서 6년 간 머물며 중국 문화와 풍속 및 중국어를 배웠다. 그는 자신이 머물던 공간을 천화사遷花寺라 이름 짓고 승복僧服을 입었느나, 중국 사회의 지식층이 문인이라는 사실을알고는 유복儒服으로 바꾸어 입었을 뿐만 아니라 사서삼경을 배우기도 하였다. 또한 소주, 남창을 거쳐 남경에서 서광계徐光啓,양정균楊廷筠(1557-1627) 등 다수의 문인들과 교유하였으며, 과학 서적이나 지구의, 시계, 지도, 천문관측기, 서양 그림 등으로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였다. 그는 포교 과정에서 중국인의 가톨릭에 대한 반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교의 '상제上帝' 개념을 빌려와 하느님을 '천주天主'라고 소개하였다. 1601년 마테오 리치는 만력제萬曆帝(재위 1572-1620)를 만나 북경에서의 성당 건립을 허락받았고, 이로써 가톨릭 포교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였다. 이후 북경의 동서남북에 성당이 건립되었으며, 16023년에는 이지조(1565-1630)의 도움을 받아 『천주실의天主實義』라는 교리서를 중국어로 집필하기도 하였다. 대화체인 이 책은 유교적 방식으로 가톨릭교리를 풀어낸 것으로 동양 사회에 서양의 신앙체계를 널리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밖에 『기하원본幾何原本』(1607)을비롯해 『태사수법泰西水法』(1612),『측량법의測量法義』(1617) 등의

과학서를 한역 출판하여 서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의 성립을 가능케 하였다.

 

 

 

 

 

 

 

마테오 리치

<곤여만국전도> 부분, 1708, 170×533, 서울대학교박물관

 

 

조선은 임란으로 사회질서가 흔들리고 도학을 정통으로 한 관념적 성리학에 맞서는 새로운 사상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이 무렵부터 명나라를 왕래한 사신들에 의해 서학, 즉 서구의 과학이나 신앙서적을 비롯한 문물이 전래되기 시작하였다.

 

 

 

 

- 동아시아 삼국에 전래된 기독교 미술 -

 

 

 

 

<성모자상聖母子像>

『정씨묵원』중에서, 1606년

 

예수회 선교사들은 중국인에게 가톨릭 교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성화나 화보집에 실린 시각적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였다. 대개는 유럽에서 동판화로 제작된 기독교 관련 화보집이었으며, 유화로 그

려진 원화原畵도 소개되었다.

 

 

 

 

 

左, <갈릴리 호숫가의 베드로>                  右, <갈릴리 호숫가의 예수와 베드로>

『그리스의 수난』중에서,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정씨묵원』중에서, 1606년      

 

 

                       

 

 

 

左, <수태고지>                           右, <수태고지>

『복음서화전』중에서, 1593.                         『송념주규정』중에서, 1617

 

 

 

 

 

 

          

 

 

 

左, <수태고지>                                                       우, 김준근 <천사의 수호>

                                   『천주강생언행기상』중에서, 1635년                『 텬로력덩』중에서, 1895년 이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우리나라에는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기독교 미술이 등장하였다. 조선 말기에 활동한 마지막 풍속화가 김준근이 그린 그림 42점의삽화가 수록된 『텬로력명天路歷程』이 기독교 미술의 효시에 해당된다, 이 화보집은 미국인 선교사 제임스 스카스 제일이 존 연연의 『천로역정』을 한글로 번역 출판하면서 김준근에게 삽화 제작을 의뢰한 것으로,  도포를 입은 한국인의 모습으로 표현된 예수를 비롯해갑옷을 입은 주인공 크리스천, 사찰 벽화의 비천상을 연상시키는 천사 등에서 기독교 미술의 주체적 수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성모자상>

1597년, 일본 오우라 천주당

右 , 성모자상 벽화

스페인 세비아 대성당

 





- 초상화와 서양화법의 만남 -

 

 

 

증경曾鯨, <장경자초상張卿子肖像>

1622년, 견본채색, 111.4×36.2cm, 절강성박물관

 

무배경의 단독 입상으로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있으나 몸은 왼발을 디딛으며 움직이기 직전의 모습으로 변화를 주고 있다.

특히 얼굴은 윤곽선을 대강 묘사한 다음 오목한 곳에는 붓질을 많이 하고 볼록한 부분에는 적게 하는 입체적 표현으로 

사실성이극대화되어 있다. 이는 기존에 얼굴 윤곽이나 이목구비를 선묘로 나타낸 것과는 다른 차원의 핍진逼眞함으로

매너리즘에 빠진 초상화분야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었을 것이다.

 

 

 

 

 

 

심소心韶, <가정삼선생상嘉靖三先生像>

1662년, 견본채색, 115.8×50.5cm, 북경 고궁박물원

 

명 말의 유명한 문인화가 唐詩升(1551-1636)과 程嘉수(1563-1643, 李流芳(1575-1629)을 그린 것이다.

이는 현실에 없는 문인들의 집단 초상화로 기억을 더듬어 그린 것이다. 소나무 아래 의자에 않아 있는 노인은 당시승이며,

영지 달린 지팡이를 등 시동이 그 옆에 서 있다. 이유방은 왼쪽 앞에서 오른손에 여의如意를 들고 있으며, 정가수는

바로 뒤에서 공수를 취하고 있다. 세 명의 문인 얼굴은 서양화법으로 정교하게 표현된 반면, 의복은 필선으로 간략하게

묘사혀여 파신파의 특징적 화법을 잘 보여준다. 또 소나무와 바위 같은 배경이나 영지, 여의 등의 지물은 장수를

기원하는 상징적 의미를 암시하고 있다. 이 밖에 인기가 높았던 진홍수의 인물화풍도 보이고 있어

증경의 제자들은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호병, <김육초상>전신좌상본, 1637년 견본채색, 174.5×99.2cm, 실학박물관
조선은 양난을 겪으며 경직된 성리학을 대신한 새로운 학문이나 사상이 요구되었고, 중국을 방문했던 사신들에 의해 서구의 천문, 수학, 역법, 종교 등의 한역서와 지구의, 세계지도 등이 소개되었다. 동시에 중국화가들이 그린 조선 사신들의 초상화가 유입되면서 조선 후기 초상화 제작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현전하는 작품들 가운데 중국인 화가 호병胡炳이 그린 <김육초상金堉肖像> 2점은 조선시대 초상화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주목된다, 김육金堉(1580-1685)은 대동법으로 공납의 폐단을 개혁하려 한 실학자로 1636년부터 1650년 사이에 세 차례나 북경을 사행하였으며, 1640년대에는 소현제자와 원손을 수행하여 여러 차례 심양에 다녀 오기도 했다.
그가 1636년 명나라에 파견된 마지막 공식 사절단의 일원으로 북경에서의 여정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조경일록朝京日錄』에 의하면1637년 3월과 4월에 걸쳐 호병이 크고 작은 초상화 2점을 그렸다고 한다. 전신좌상본은 오사모에 초록색 단령을 입을 채 호피가 덮여 있는 의자에 않아 정면을 향하고 있다. 채색의 음영법으로 이목구비의 입체감을 주었고 마마 자국까지 묘사한 핍진함을 보이며, 조선 후기 초상화에 서양화법이 적용된 이른 예이다.




호병, <김육초상>와룡관본, 1637년, 견본채색, 118.8×50.2cm, 실학박물관

 

와룡관본은 학창의鶴氅衣를 입은 채 수나무와 바위가 있는 풍경을 배경으로 서 있으며, 인물의 크기는 작지만 지물을 통해 인공의 인품을 드러낸 산수인물화 형식과, 서양화법으로 얼굴의 입체감을 강조한 것은 파신파의 초상화법이 반영된 것으로 명청 회화사교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장기張琦, <비은통용상費隱通容像>1642년, 견본채색, 159.7×98.6cm, 교토 만푸구지
명말청초의 파신파 초상화는 일본에 전래되어 에도시대에 황벽파 초상화가 성립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황벽파는 선종 계열인 임제종의 한 갈래로 중국적 색채가 강한 것이 특징이며, 절강성 영파에 위치한 천동사天童寺에서밀운원오密雲圓梧(1566-1642)에게 불법을 배운 중국인 승려 은원융기恩怨隆琦가 16954년 일본으로 건너가면서 성립된다.이후 1661년 교토 황벽산에 만푸쿠지萬福寺가 건립되면서 일본 전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안면에 여러 번의 바림을 가하여 입체감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여 준다이는 종래의 고승 진영과는 다른 양식으로 1654년 은원융기가 일본에 오면서 가져온 <비은통용상>을 반복 임모하는 과정에서나타난 것이다. 이 진영은 증경의 제자인 장기가 1642년에 그린 것으로 얼굴은 서양화법으로 사실성을 강조한 반면 의습선을간략하게 관념적으로 처리했다.

 





- 산수화와 서양화법의 만남 -


동기창, <완련초당도婉孌草堂圖>

1597년, 지본수묵, 111.3×36.8cm, 미국 개인소장

 

예수회 선교사를 통해 소개된 성화와 동판화는 문인화가들이 즐겨 그린 산수화에서 경물을 포착하는 시점이나

필묵법 등에 변화를 가져왔다. 명 말기 문인화의 절대적 우위를 강조하며 복고주의를 이끈 대표적 문인화가

동기창도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

그의 산수화에서 보이는 특이한 표현법이 예수회 선교사들이 주로 활동한 남경이나 남창에서 접한 서양의 각종 서적과 성화에서

 기인 했다는 것이다.이 그림은 동기창이 강소성 소주에 위치한 곤산昆山에 은거산 진계유陳繼儒를 방문했다가

 이별의 증표로 그려준 것이다.화면 오른쪽에 위치한 절벽에서 수직과 수평의 필선을 교차하여

괴체적 명암을 강조한 것 등은 동판화의 교차 평행선무늬를 응용한 것이라 해석되기도 한다.

 

 

 

 

 

 

장굉張宏, <지원전경도止園全景圖>

《지원도책》중에서, 1627년, 지본채색, 32×34.5cm, 스위스 개인소장
하늘에서 수로로 연결된 수주의 정원을 내려다본 장면인데 전통적인 시점에서 벗어난 이례작인 것으로 참신한 느낌을 준다.

 

 

 

 

 

 

<프랑크푸르트 전경>

게오르크 브라운, 프란츠 호겐베르크, 『전구성색』중에서, 1572-1616년

 

위 <지원전경도>와 비교하면 구도는 물론 시점까지 상당히 유사하다.

명 말의 중국 문인들은 예수회 선교사를 통해 소개된 유럽의 신기한 풍물이나 도시 이미지가 포함된 서적들에

커다란 관심을 나타내었고 투시도법이나 음영법에 의해 사실적으로 표현된 삽화들은 신선한 자극제가 되었을 것이다.

 

 

 

 

 

 

 

공현, <천암만학도>

1619년, 지본수묵, 62×101cm, 스위스 개인소장

 

금릉화파의 우두머리격인 공현(1618-1689)의 산수화에서 보이는 흑백 대비로 인한 침울한 분위기는

서양 동판화와 밀접한 연관이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천암만학도>는 대표적인 예이며, 아래, 1570년 발간된

<테살라와 템페 골짜기 전경>과 비교하면 매우 유사한것을 확인할 수 있다.

 

 

 

 

 

 

 

 

<테살라와 템페 골짜기 전경>

 

 

 

 

 

 

냉매冷枚, <피서산장도避暑山莊圖>

1713년, 견본채색, 154.8×172.5cm, 북경 고궁박물원

 

이  그림 역시 서양화의 투시도법이 적용된 경우이다.

만주족 황제들이 여름을 지낸 열하熱河의 별궁을 그린 것으로 넓은 전경으로부터 후경으로 갈수록 건물과

나무들이 점차 작아지고 연못을 끼고 좌우로 뱀처럼 이어진 도도가 좁아지며 지펴언의 소실점과 만난다.

이는 높은 곳에서 내려자본 부감시와 원근법을 전통적인 청록산수화법과 교묘하게 절충한 것으로

현장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강세황, <개성시가>

《송도기행첩》중엣거, 1757년, 지본담채, 33×53.3cm,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에서도 17세기 이후 서학서를 탐독하는 사대부들이 증가하며 중화주의적 세계관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숙종 연간(1674-1720)에 중단되었던 서학서들이 다시 유입되면서 서양의 과학 지식과

서양화법이 본격적으로 전래되었다.

18세기 '예원藝苑의 영수'라 불렸던 강세황이 그린 《송도기행첩松都紀行帖》은 서양화법이 적용된 예로 주목된다.

 

 

 

 

 

 

 

도다노나오타케 <불인지도不忍地圖>

1778년 이전, 견본채색, 98.5×132.5cm, 아키타 현립 근대미술관

 

일본에서는 17세기 중엽 중국을 통해 전래된 황벽파 초상화풍과 18세기 초 융성한 난학을 배경으로 아키타蘭畵가 성립되었다.

아키타 란가는 1770년대부터 약 50년 동안 번성기를 맞는다. 투시도법과 일정한 방향의 빛에 의한 음영법으로 대상의

사실적인 묘사에 중점을 두면서도, 근경의 확대된 경물 원경의 나지막한 지평선을 대비시켜 오행감奧行感을 살린 것이다.

이 작품은 화조화인지, 산수화인지, 정물화인지 그 경계가 불분명하다, 아지만 아키타 란가는 일본인에 의해 체득되고 교육된

새로운 양풍화라는 점에서 주목되며, 히라가 겐나이를 비롯한 사타케 쇼잔과 요시미 등의 사망과 더불어 막을 내리게 된다.

 

 

 

 

 

 

 

시바 고칸, <시치리가하마도> 2폭 병풍

1796년, 지본유채, 95.7×178.4cm, 일본 이케나가 하지메 컬렉션

 

뒤를 이은 시바 교칸이 에도 양풍화를 주도하였으며, 일본 최초의 서양풍 화가라는 명성을 얻기도 하였다.

화면을 보면 보는 이의 시선이 오른쪽 하단에서 시작해 해안가의 산등성이를 따라 고유루기가사키아 에노시마를

거쳐 화면 중앙의 후지산으로 옮겨지고 있다. 이러한 대관적 풍경화는 일본 각지의 사원이나 사당에 봉납되었으며,

기존의 인습에서 벗어난 화가 개인의 시각적 체험을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근대 회화의 선구로 평가되고 있다.

 

 

 

 

- 화훼 · 동물화와 서양화법의 만남 -

 

 

 

左, 낭세녕, <취서도聚瑞圖>

1723년, 견본채색, 137.3×62.1cm, 대북 고궁박물원

右, 낭세녕, <崇獻英芝圖>

1724년, 견본채색, 242.3×157.1cm, 북경 고궁박물원

 

청을 건국한 만주족 황제들은 원할한 통치를 위해 한족 문화를 후원함과 동시에 만주족의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려는 이중적 태도를 취하였다. 따라서 청대 궁중회화는 명 말 동기창을 중심으로 한 문인화 전통을 게승한 정통파 화풍과 이탈리아 출신 선교사 화가 낭세녕에 의해 완성된 중서합벽中西合壁의 화풍이 공존하는 이원적 구조로 전개되었다. 1715년 자금성에 도착한 낭세녕은 이후 7년 동안지필묵이라는 중국의 전통 재료와 서양화법의 절충을 위해 노력한 결과 중서합벽의 화풍을 완성하였고, 그가 그린 <취서도>는 이른 예로서 주목된다. 이 작품은 풍요와 번영을 기원하는 길상적 화훼도로 옹정제의 즉위를 기념하여 그려진 것이며, 백자 병에 연꽃과 낟알이 달린벼가 꽂혀 있어 마치 서양의 정물화를 연상시킨다. 고동기나 자기磁器와 함께 절지된 꽃이나 과일, 열매, 문방구류 등을 함께 그린 것을중국에서는 청공도淸供圖라고 하며, 한국에서는 기명절지화器皿折枝畵라고 한다. 화면 속의 백자를 비롯해 벼, 연꽃 등의 표현에서빛에 의한 광택과 색채의 명암 대비로

입체감을 성공적으로 만들어낸 세서 중서합벽의 새로운 화풍을 확인할 수 있다.

 

<숭헌영지도> 역시 낭세녕이 옹정제의 생일을 기념하여 제작한 것으로,

계류가 세차게 흐르는 가운데 바위에 앉아 있는 매는 옹정제를 의인화 한 것이다.

 

 

 

 

 

 

 

김두량, <흑구도黑狗圖>

18세기, 지본채색, 23×26cm,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에서는 화원화가 김두량金斗樑(1696-1763)이 그린 <흑구도>에서 서양화법의 수용을 확인할 수 있다.

화면 오른쪽 상단의 고목이나 중경과 근경의 풀밭은 담묵의 필법으로 거칠면서도 간략하게 나타낸 반면, 주인공인 검둥개가

가로로 눠워 뒷다리로 몸통을 긁고 있는 여유로운 모습을 한 올 한 올의 털까지도 정교하게 묘사하여 입체감과 사실성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이는 기존의 동무로하엣 묵법을 주로 사용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표현법이며, 정확한 관찰력과

 탁월한 사실적 묘사력은서양화법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알려준다.

 

 

 

 

 

 

    

 

 

左, 오다노 나오타케, <사자도> 18세기. 견본채색, 92.5×31.5cm, 일본 개인소장

右, <사자도>, 욘스톤의 『동물도보』중에서, 1660년, 동판화, 36×21.7cm,

 

일본에도 아키타 란가 화가들이 서양화법으로 그린 동무로하가 다수 전한다.

난학자 겸 박물학자인 히라가 겐나이는 아키타 란가의 성립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그가 소장했던 존 욘스톤John Johnston(1603-1675)의 『동물도보動物圖譜』는 미술 교과서처럼 활용되었다.

이 책은 라틴어로 된 원본이 아니라 16020년에 번역된 네덜란드어 판으로 3,000개의 동물 삽화 이미지가 좌우 반전된

상태로 실려 있었다. 이키타 번사들은 이 책의 동물화를 자주 임모하였으며, 오다노 나오카케가 그린 <사자도>는

그러한 사실을 입증해준다. 화면을 보면 절벽과 나무 아래로 이빨을 드러낸 사자 한 마리가 크게 부각되어 있는데,

『동물도보動物圖譜』에 실린 <사자도>와 비교하면  좌우가 반전된 것을 제외하고는 사자의 얼굴 표현이나

동작까지 거의 유사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아시아 삼국에서는 서양화법이 적둉된 그림들이 한시적으로 그려지며

동서 문화교류의 양상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이러한 서양화법은 부분적인 수용에 머물며 삼국의 전통회화를

대체하지는 못하였다.  그 이유는 서양화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 없이 서구의 과학, 의학, 역학, 지리 등

자연과학적 지식에 대한 흥미나 관심을 배경으로 서학 또는 난학이라는 학문의 일종으로 수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인용서적 : 한정희 · 최경현 著 『사상으로 읽는 동아시아의 미술』

 

 

 

 

 

 

 

 

Deep Peace - Bill Douglas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렉터와 컬렉션  (0) 2018.12.28
고증학과 미술  (0) 2018.12.26
실학과 미술  (0) 2018.12.23
양명학과 미술  (0) 2018.12.21
성리학과 미술  (0) 2018.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