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일러스트레이션 미술 1




알브레흐트 뒤러

독일이 낳은 가장 위대한 화가이자 일러스트레이션의 선구자



<자화상> 1493, 56×44cm, 파리, 루브르 박물관





   


좌) <식물습작> 1503, 수채화, 빈, 알버틴 미술관

우) <토끼> 1502, 수채화, 빈, 알버틴 미술관






<요하킴에게 나타난 천사> 1506, 목판화,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오른쪽 아래의 사인은 뒤러가 독특하게 고안해 자신의 작품에 새겨넣은 것이다.

사인의 위치를 작품마다 조금씩 달리 한 것은 진품임을 좀 더 확실히 표시하고자 한,

오늘날의 저작권 표시와 같은 개념이었다.






마르칸토니오 라이몬디, <요하킴에게 나타난 천사> 1506, 동판화,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모작을 방지하고자 한 뒤러의 노력은 별 효과가 없었던 듯하다. 같은 해에 제작된 이 작품처럼

사인까지 베낀 모작들이 곳곳에 등장했는데, 이러한 현상은 당시 뒤러의 작품이 누렸던 인기를 말해 준다.







<인스부르크의 성> 1494, 수채화, 빈, 알버틴 미술관






<강변의 풍경> 1495, 수채화, 파리, 국립 도서관






좌) <자화상> 1484, 스케치, 빈, 알버틴 미술관

우) <자화상> 1493, 뉴욕, 로버트 레먼 컬렉션




      


좌) <장갑 낀 자화상> 1498,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우) <누드 자화상> 1500~05, 드로잉, 바이마르, 슐록스 박물관






<목욕하는 남자들> 1496, 목판화, 39×28cm






<원죄> 1504, 동판화






<골고다 언덕을 오르는 그리스도>






<서재에 있는 성 재롬> 1514, 동판화





히에로니무스 보쉬

무한한 상상력으로 펼쳐놓은 파격적인 예술세계




<쾌락의 정원>(부분) 1503~04,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막스 에른스트, <신부의 착복식> 1940, 베네치아, 페기 구겐하임 컬렉션






<건초마차>(부분) 1500~02,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건초마차> (부분) 1500~02,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최후의 심판> (부분) 1500년경, 빈, 빌텐덴 아카데미아 미술관






<지옥에 떨어진 자와 천국에 오른 자> 1500~03, 87×40cm, 베네치아, 팔라초 투칼레






<가시면류관을 쓴 예수> 1508~09, 73×58cm, 런던, 내셔널 갤러리





 


좌) <쾌락의 정원> (부분) 1503~04,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우) <쾌락의 정원> (부분)






<쾌락의 정원> (부분)





피터 브뤼겔

보통사람들의 일상을 그림의 주제로 삼은 최초의 화가




<농부의 결혼식> 1568, 114×163cm, 빈 미술사 박물관






<플랑드르의 속담> 1559, 117×163cm, 베를린 국립 미술관






<플랑드르의 속담> (부분)






<아이들의 놀이> 1559~60, 118×161cm 빈, 미술사 박물관





<죽음의 승리> 1562~63, 117×162cm,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눈 속의 사냥꾼> 1565, 117×162cm, 빈, 미술사 박물관






<보리 추수> 1565, 118×163cm,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베들레헴에서의 호구조사> 1566, 116×164cm, 부뤼셀, 보자르 왕립미술관






<베들레헴에서의 호구조사> (부분)





   


좌) <농부의 결혼식> (부분) 1568, 114×163cm, 빈 미술사 박물관

우) <농부의 결혼식> (부분)






<식도락가의 마을> 1567, 52×78cm, 뮌헨, 알트 피나코텍






<장님들의 우화> 1568, 86×154cm, 나폴리, 카포디몬테 미술관






<앉은뱅이들> 1568, 18×21cm, 파리 루브르 박물관






<염세주의자> 1568, 86×85cm, 나폴리, 카포디몬데 미술관






주제페 아르침볼디

시간의 흐름을 뛰어넘는 초현실주의적인 상상력의 근원




<도서관 사서> 1566, 스톡홀름, 스코클로스터스 슬로트






<야채상> 1590, 크레모나, 알라폰조네 시립 미술관






<이새의 나무> 프레스코 벽화, 몬자, 대성당






<베르툰노의 모습을 한 루돌프 2세> 1591, 스톡홀름, 스코클로스터스 슬로트






<땅> 1570





<볼> 1566, 빈 미술사 박물관






좌) <물> 1568, 빈, 미술사 박물관

우) <봄> 마드리드, 성 페르디난도 왕립 아카데미





  


좌) <가을> 1573, 파리, 루브르 박물관

우) <겨울> 1563, 빈, 미술사 박물관






레오나르도 다 빈치, <나무 장식> 1495~98, 밀라노, 스포르제스코궁






히에로니무스 보쉬, <성 안토니오의 유혹> 암스테르담, 릭스 박물관






살바도르 달리, <영원한 수수께끼> 1904






마테우스 메리안, <인간 풍경> 16세기






카라밧지오

그림 속에 담아낸 빛과 진실의 목소리




<마리아의 죽음> 1605~06, 369×245cm, 파리, 루브르 박물관






<행운> 1594, 로마, 카피톨리노 미술관






<사기꾼들> 1596, 뉴욕, 개인소장






<사기꾼들> (부분)






<병든 바쿠스> 1591, 로마, 보르게세 미술관






<바쿠스> 1593~94,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과일 바구니> 1596, 밀라노, 암브로시아나 미술관






<골리앗의 머리를 들고 있는 다윗> 1605~06, 로마, 보르게세 미술관












좌) 벨라스케스, <세비야의 물장수> 1620, 런던, 웰링턴 박물관

우) 베르메르, <부엌의 하녀> 1685, 암스테르담, 릭스 박물관






라 투르, <사기꾼> 1630, 포스 워스 킴벨 미술관





 


좌) 라 투르, <갓난아이> 1648, 르네 보자르 미술관

우) 리베라, <술취한 실레누스> 1626, 나폴리, 카포디몬테 미술관






리오넬로 스파다, <성 제롬> 1620년대, 바르베리니 컬렉션






헨드릭 브루겐, <듀엣> 1628, 파리, 루브르 박물관






토마스 도니니, <골리앗의 머리를 들고 있는 다윗> 1630년대, 토롤로이나 켈렉션








시몬 부에, <손금 보는 집시> 토롤로니아 컬렉션




● 인용서적: 고종희 著 『일러스트레이션』







Reflections - Deuter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암당(慧菴堂) 1  (0) 2019.08.20
일러스트레이션 미술 2  (0) 2019.08.18
정원과 정자  (0) 2019.08.03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0) 2019.08.01
제프 월  (0) 2019.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