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논산 기행 : 탑정리탑 / 성삼문의 묘 / 쌍계사

                                                       

 

                                                        논산 탑정리 석탑  山塔亭里石塔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60호.

                                                                                    총 높이 약 283㎝, 기단부 184㎝, 탑신 54㎝.

 탑정저수지의 수몰된 지역에 위치한 '어린사(魚鱗寺)'라는 절에 있었는데

제시대 때 저수지 공사를 하면서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기단은 하대석(下臺石), 간석(竿石), 중대석(中臺石)으로 구성되었고

탑신부는 몸돌 각 모서리마다 기둥을 새겼고,

지붕돌은 3단의 층급 받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는 1층만 남아 있고 원래의 층 수는 알 수 없다는데 

기단의 형식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의 석등양식으로 본다고 한다.

 

 

왕건이 후백제 세력과 전쟁을 할 때 이 탑이 서 있던 근처에 지휘부가 있었고

그 전쟁에서 이긴 왕건은 개태사(開泰寺)를 짓고 호국의 원찰로 삼았고

그 개태사의 소속 암자였던 승려 대명이 생을 다 하자 그의 사리를

봉안한 부도라는 애기도 전 한다.

 

 

 

                                            황산벌을 휘감고 돌아 찾아온 곳은 매죽헌(梅竹軒) 성삼문(1418∼1456)의 묘

 

                                                  세종 20년(1438)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1447년에는 문과 중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집현전 학사로 뽑혀 세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으며『예기대문언독』을 펴내기도 했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 때 정인지·최항·박팽년·신숙주 등과 함께 이를 도왔으며

                                                  요동에 유배되어 있던 중국 명나라의 음운학자 황찬에게 13번이나 다녀오기도 했다.


                                                  단종 1년(1453)에 수양대군(세조)이 계유정란을 일으켜 황보인·김종서 등을 죽이고 스스로

                                                  정권을 잡으면서 그에게 내린 정난공신의 3등 칭호를 사양하였다.

                                                  1454년 집현전 부제학과 예조참의, 1455년 예방승지 등의 직책에 올랐다. 아버지인 성승

                                                  박팽년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꾀하려다 역적으로 몰려 지금의 노량진 에서 생을 마감.

 

                                                                                                                 

 

                                                      병자(丙子)년 6월 8일 형장(刑場)으로 끌려 갈 때

                                                      대여섯 살 밖에 안된 그의 딸이 따라오며 울부짖으니  

 

                                           사내아이는 다 죽어도 너만은 죽지 않으리라

 

                                                   수레가 잠시 머물렀을 때 종이 울면서 올린 술을   받아 마시고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時로  충절을 토해냈다고


                                        食人之食衣人衣  (식인지식의인의임의 밥 임의 옷을 먹고 입으며

                                        素志平生莫有違  (소지평생막유위)  일평생 먹은 마음 변할 줄이 있으랴

                                        一死固知忠義在  (일사고지충의재)  이 죽음이 충과 의를 위함이기에

                                  顯陵松栢夢依依  (현릉송백몽의의)  현릉(문종의 능) 푸른 송백꿈 속에서도 못잊어라

 

  

                                                            성삼문의 묘 / 문화재자료 제81호 (논산시 가야곡면 양촌리 산5)

 

                                                            세조 2년 1456년에 처형장인 노량변 한강 백사장으로끌려

                                                            가면서 마지막으로 그가 남겼다는 시 다.

 

                                        擊鼓催人命 (격고최인명)  북소리 울려 울려 목숨을 재촉하고

                                        回頭日欲斜 (회두일욕사)  고개 돌려 바라보니 해는 기우는구나

                                        黃泉無一店 (황천무일전)  황천길엔 여인숙 하나 없다하니

                                        今夜宿誰家 (금야숙수가)  오늘 밤을 뉘집에서 쉬어서 갈까

 

                                                작형灼刑(불에 달군 시뻘건 쇠로 고문) 을 당 하면서도

                                                            끝까지 세조에게 '전하'라 하지않고 나리라 불렀다는 성삼문.....

                                                            그야말로 능지처참을 당해 나라안 이곳 저곳으로 시신이 흩어졌는데

                                                            바로 그의 다리 일부가  이곳에 묻히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묘역에 피어난 '꿀풀'

 

그 옛날은 물론이고 지금까지도 사육신의 면면에대한 의견이 분분하게 이어지고 있는 모양.

사육신 이라면 성삼문, 하위지, 이개, 유성원, 박팽년, 유응부 이 여섯사람을 이르는 것으로

보통의 우리네는 알고 또 그렇게 배워왔다,

 

허나, 유응부 대신 김문기가 들어가야 한다고 김녕 김씨들과 일부 사학자들이 강력히

주장하였고  그 바람에 기계 유씨들을 비롯한 여타의 학자들과 상당한 트러불이 있었다고.

그렇다보니 누군 넣고  누구는 빼기가 거시기 한지라, 지금 노량진의

사육신 묘를 가 보면 김문기의 묘 까지 자리를 함께 하고 있다고 들었다.

그렇다면 묘역 이름을 바꿔야 하지 않을까...?

 

" 死七臣의 묘 " 라고.....!

                               

 

역시 그의 묘역에 피어난 샛노란 미역취

 

사육신은 세조 2 년 (1456년) 음력 6월 8일   새남터에서 처형되어 시신이 버려지게 되었는데

어떤 중 하나가 그 들의 시체를 수습하여 한명회의 압구정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묻었다고.

그가 바로 '매월당 김시습' 이었노라 "연려실기술"은 적고 있다.

 

 

쌍계사 초입에 자리한 고승대덕의 부도전

 

                                       쌍계사 부도는 모두 아홉 기입니다. 이중 주인을 알 수 있는 부도는 왼쪽 첫 번째와 세 번째 부도뿐입니다.

                                       첫 번째 부도에는 ‘매헌당대사각훈지도(梅軒堂大師覺訓之屠)’라는 명문이, 세 번째 부도에는

                                        ‘○○당혜찬대사(○○堂慧粲大師)’라는 명문이 각각 새겨져 있습니다.

                                       마멸이 심해 알아볼 수 없는 세 번째 부도의 두 글자는 문헌에 따라 ‘취봉(翠峰)’(두산세계대백과 엔싸이버),

                                       ‘심구(尋口)’(전통사찰총서)로 알려져 있지만, 제 판단으로는 ‘취봉’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왼쪽 두 번째 부도에도 명문이 있지만 ‘○○당성○지○(○○堂性○之○)’ 정도만 알아볼 수 있을 뿐입니다.


                                아홉 기 … 옥개석에 용 새기기도


                                       부도는 석종형이 여섯 기이고, 옥개석을 눌러쓴 것이 세 기입니다. 아홉 기 모두 기단부를 갖추었습니다.

                                       오른쪽 첫 번째 부도가 상·중·하대석 모두를, 왼쪽 두 번째 부도가 한 개의 대석만을 갖추었을 뿐

                                       나머지 일곱 기의 부도는 모두 상·하 두 개의 대석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석에 앙련(仰蓮)과 복련(伏蓮)을 새긴 것은 아홉 기 모두 한결같습니다.

                                       석종형 부도는 오른쪽 첫 번째 부도를 제외하곤 모두 탑신부 윗부분, 즉 보주 주위를 연꽃으로 장식했습니다.


                                       오른쪽 두 번째 부도는 8각의 하대석 위에 염주 모양의 줄무늬를 두른 원통형 상대석을 올려놓은 것이 눈에 띄고,

                                       다섯 번째 부도는 옥개석 네 모서리에 용머리를 새겨 놓은 점이 특이합니다.

                                       호법신장인 용을 새김으로써 스님들의 적멸세계를 수호하려 함이었을까요




                                      찬찬히 부도전을 참배하다보면 부도가 아홉 기만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른쪽 다섯 번째 옥개석 위에 어느 부도의 하대석으로 쓰였을 석재가 보주 대신 올라앉아 있고,

                                      여섯 번째 부도 하대석 한 모서리에 다른 아홉 기와 재질이 다른 옥개석 조각이 놓여 있는 것에서

                                      그 사실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왼쪽에서 두 번째 부도의 대석 윗면 면적과 탑신 아랫면 면적이 서로 다르다는 것으로도 그 사실을 알 수 있지요.

 

                                     출처   http://kr.blog.yahoo.com/ahrdls03070/7178

 

 

 

성삼문의 묘를 지나 찾아온 곳은

충남 논산시 양촌면 소재 불명산 쌍계사(佛明山 雙溪寺)

 

전국에 쌍계사라는 이름을 가진 사찰이 4개가 있는 것으로 안다,

  하동 지리산 쌍계사,   진도 첨찰산 쌍계사 , 경기도 안산 어디의 쌍계사,

마지막으로 이 곳 논산의 쌍계사다. 
 

 

봉황루 아래에 서면,  웅장한 모습의 대웅전이 맨 먼저 눈에 들어온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

 절의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 고려 초기에 창건하였다고 하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사찰의 존재가 나오고 

1739년(영조 15)에 세운 중건비도 있는 것으로 봐선 사세가 상당했던 모양.

 

 

절 입구 봉황루에 자리한 법고, 운용문이 그려진 멋진 북인데

어인 일인지 몰라도 가죽이 찢어진 모습인지라  여간 안타까운게 아니다.

 

 

불명산 자락이 뻗어내린 곳에 자리한 쌍계사 대웅전

 

 

커다란 덩벙 주춧돌에 그랭이공법으로 얹혀진 엄청난 크기의 기둥은

절을 찾은 자에게 절로 옷깃을 여미게 할 만큼 엄청난 중압감을 준다

   

 

대웅전 측면의 아름다움에도 거의 숨이 막힐 지경이다

정면 다섯 칸에다 측면은 세 칸이다.

 

 

내가 본  우리나라 안 절집의 공포 중에서 단연 첫 손가락에 꼽아야 하지 않을까?

한참 올려다 보고 있노라니  다포에 의한 착시현상이런가...!

 마치 봉황이 하늘을 날아오르는 것 처럼 느껴진다.

 

이토록 아름다울  수가.....!

도대채 어떤 장인의 솜씨가 이런 예술품을 빛어 낼 수 있단 말인가?

이렇게 많은 다포집은 내 생전 처음 보는데 그 아름다움 앞에선 가히 감탄사마저 까먹을 지경이었다.

 

 

내 기필코 가까운 시일내 다시 한 번 찾으리라

아니...! 앞으론 논산 쌍계사를 풀방구리 드나들 듯 뻔질나게 찾아오리라.

 

 

300m를 꺼 내어 당겨 본  서까래 아래의 귀면

                                                    귀면은 우리 민속 속에 살아 있는 도깨비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귀면문의 원형이라는 중국의 도철이 괴기스럽고 공포감을 자아내는 반면

                                                                 우리 나라의 귀면은 인간적이고 익살스럽고 해학적이기까지 하다.

                                                                 당연히 벽사와 수호의 상징으로서 우리곁에 존재 하는 것이다.

 

 

오래도록 살피니 귀면(鬼面)이 아니고, 귀한 귀면(貴面)으로 다가온다.

 

 

불교의 상징 부처를 모시는 공간에  봉황과 용의 열전이 빠져서야 어디 될 말인가...?

 

 

삼존불을 모신 대웅전 내부

 

삼존불 윗쪽의 닫집은 너무나도 아름다운 것이었는데 어디선가

나타난 육덕 좋은 보살의 행패(?)로 사진에 담을 수가 없었다.

 

 

                                                                       빗모란연꽃살문

                                                다섯 칸, 모두 열 짝이 달려있는 대웅전 문에는 모란과 연꽃 그리고 국화문양이

기막힌 솜씨로 조각되어있고  화려한 채색에선 가히 눈을 떼기 어려울 정도다.

 

 

솟을모란꽃살문

                                                       가운데 문 두짝은 솟을모란꽃살문이며

                                                                    우협간(右挾間)과 좌협간(左夾間) 각 네 짝은 빗모란연꽃살문과

                                                                    빗국화꽃살문으로 되어있다

                                                      

                          

 

빗국화꽃살문

 

 

측면 출입문

 

 

쌍계사 대웅전 수호견 백구, 황구

 

 

12 지신상이 새겨진 수각

 

 

마치 "너 까불면 다쳐 ....."

 

 

명부전을 수호하시다 손목까지 잃으셨군요

 

 

신축된 요사채 측면의 면 분할과 문짝의 조합이 흥미를 끈다

 

 

 

이런 저런 물품을 넣어두는 오래 묵은 함

 

 

기와 지붕에 피어난 뽀리뱅이

 

 

~~~~~~~~~ ?

한참을 지켜보는데 미동도 하지 않습니다

 

 

가만보니 선정에 들어 계신 것이 분명합니다

나무관세음~~~~~~~ !

 

 

철커덕 대는 셔터음에  선정에서 깨어나신 보살님

카메라를 향해 종주먹을 들이대십니다

 

 

 모처럼 제데로 된 목조건축의 진수를 맛 보고 돌아서는지라

산문을 나서는 발걸음이 가볍고 상쾌하기 이를데 없다.

모르긴 해도 오늘의 감동이 한동안 나를 미소짓게 하는 최대의 원동력이 되리라.

 

                                                           

 

                                                           귀로에 찾은  "논산신기리 지석묘"[論山新基里支石墓]  

 

 

*  *  *

 

계백의 원혼이 서린 황산벌을 지나다 힐끔 눈에 띄인게 탑정리 석탑이었다.

차를 세우고 득달같이 달려가 살피는데, 이걸 탑이라고 해야하나 부도라고 해야하나....?

 느낌 상, 석등이었노라고 말 한다면 대충 수긍을 해 줄 수도 있겠다.

 

길을 재촉,논산 양촌면 소재 쌍계사를 찾아가는 길이다.

도로에 바로 인접한 곳에 사육신 멤버 중의 한 사람, 매죽헌 성삼문의 묘가 자리하고 있다.

경건한 마음으로 나박돌이 박힌 길을 따라 올라 묘소에 당도, 그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처절했다던 사육신의 최후를 떠올려 보는데 등허리가 서늘해져온다.

 

이어 찾은 곳은 불명산 쌍계사

오늘의 하일라이트라고 해야하나....! 쌍계사의 대웅전.....

간만에 눈 사치를 맘껏 누릴 수 있었던 흔치않은 기회였노라 감히 말 할 수 있겠다.

 

불경스런 표현일줄 몰라도

내 죽기 전에 저 쌍계사 대웅전을 하루만이라도 전세내어 살아봤으면

원이 없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정말 너무너무 감동적인 절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