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우리 문화 속의 연꽃 - 2편 -

코드로 읽는 문화 

 우리 문화 속의 연꽃

- 2 편 -

 

 

         장소 : 월봉서원 생활관

         일시 : 2012. 9. 11 pm 7시

         강사 : 김정현(전라도닷컴 기자)

 

 

 

동자승이 받쳐든 연잎 접시.

접시 위에는 복숭아가 얹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초기 작품으로 시왕전이나 명부전에 모셔져 있는 경우가 많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으로 높이는 약 54cm.

 

 

 

 

 

 

탄성이 절로 나오게 만드는 작품이다.

무덤에서 출토된 향수병으로 연잎이 중첩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꼭지는 연봉으로 되어있고 기법은 타출 방식이다.

병 안을 들여다 보면 세군데 정도  붙여져 있다.

강화도에서 출토된 것인데 장식성으로 봐서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한다.

100% 도굴품임이 분명하다, 지름 12cm.

 

 

 

 

 

옷에 부착되는 단추이다.

물고기는 남녀합일을 상징하는 것이다.

지름이 1.7cm 정도 밖에 않된다. 고려시대 귀족사회의 단면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연잎 형태 접시로 가장자리는 당초문이 들어있다.

 

 

 

 

 

 

 

 

 

 

 

 

거울을 걸어놓는 경대로 전체적으로 금도금이 되어있다.

연꽃이 피워올려진 형태이다.

 

 

 

 

 

 

고려의 금속공예의 화려함을 엳 볼 수 있는 작품이다.

당시 고려 인구는 경기도 일대는 약 육백만명, 총 인구는 천만이 채 안되는데

중앙 귀족은 오천명 미만이었을 것이다.

 

 

 

 

 

 

 

 

 

 

 

 

자물쇠이다.

양 편으로 연봉우리가 장식되어 있다.

 

 

 

 

 

자물쇠의 부분이다.

 

 

 

 

 

 

 

 

 

 

 

 

여성들의 노리개로 향을 넣었던 것이다.

 

 

 

 

 

 

금동제 화형잔

연잎위에 연꽃이 피어있는 것이다, 이런 형태는 당나라 때 부터 시작된 것이다.

 

 

 

 

 

 

고려시대 사람들의 화려함이  투영되어 있는 향합으로.

연화세계가 표현되어 있는 것이다

 

 

 

 

 

 

 

 

 

 

 

금속제 작품이 도자에 비해 훨씬 비싸다.

 

 

 

 

 

 

 

 

 

 

 

 

 

 

 

 

 

 

받침, 손잡이 등이 연잎과 줄기 등으로 표현되어있다.

 

 

 

 

 

 

왕실에서 사용되었을 것이다.

 

 

 

 

 

 

 

 

 

 

 

 

 

 

 

 

 

 

 

 

 

 

 

 

 

 

 

 

 

 

 

 

 

 

 

 

 

 

 

 

 

 

청자 화분

 

 

 

 

 

역상감 기법으로 만든 작품이다.

 

 

 

 

 

 

 

 

 

 

 

 

청자에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동화나 진사를 사용했다.

 

 

 

 

 

 

 

토끼 세마리가 받치고 있다.

연잎을 하나씩 찍어서 붙인 형식이다.

두 말할 것도 없는 최고의 작품이다.

 

 

 

 

 

 

 

 

 

 

 

 

 

 

 

 

 

 

 

 

 

 

 

 

 

 

 

 

 

 

 

 

 

 

 

 

 

 

 

 

 

 

 

 

 

 

 

 

 

 

 

 

 

 

 

 

 

 

분청

 

 

 

 

 

 

 

 

 

 

 

 

 

 

 

 

 

 

 

 

 

 

 

 

 

 

 

 

 

 

 

 

 

 

 

 

 

 

 

 

 

 

 

 

 

 

 

 

 

오사카 동양도자박물관 소장품이다,

 

 

 

 

 

 

 

 

 

 

 

 

 

 

 

 

 

 

 

 

 

 

 

 

 

 

 

 

 

주역의8괘와 태극이 표현되어있다.

 

 

 

 

 

 

 

 

 

 

 

 

푼주

지름 52cm

 

 

 

 

 

 

 

 

 

 

 

 

 

 

 

 

붓을 씻는 그릇이다.

 

 

 

 

 

 

칠기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연잎으로 표현되어있다.

용도는 불명확하다.

 

 

 

 

 

 

 

 

 

 

 

정확히 말하면 나전이 아니라 거북 등껍질을 이용한 것이다.

아마 교역품으로 제작했을 것으로 본다.

 

 

 

 

 

 

 

 

 

 

 

 

염주함일 것으로 본다.

 

 

 

 

 

 

 

 

 

 

 

 

 

 

 

 

 

 

 

함지(종이)로 만들어진 것이다.

 

 

 

 

 

 

 

 

 

 

 

 

 

 

 

 

 

 

받침대는 모과나무이다.

 

 

 

 

 

 

 

 

 

 

 

 

 

 

 

 

 

 

 

 

 

 

 

 

 

 

 

 

 

 

종이로 만든 필통이다.

 

 

 

 

 

 

 

 

 

 

 

 

관복함

 

 

 

 

 

 

메기와 연잎형태의 벼루이다.

 

 

 

 

 

 

 

 

 

 

 

 

 

 

 

 

 

 

 

 

 

 

 

수복강령부터 시작하여 게 4마리는 아들 의 급제를 바람이고,

십장생 등으로 치장되어 있다.

 

 

 

 

 

 

 

 

 

 

 

 

 

 

 

 

 

 

최고의 경상으로 아마 스님네가 썼을 것이다.

 

 

 

 

 

 

 

경상 다리 부분

 

 

 

 

 

 

 

 

 

 

 

 

 

 능화판

 

 

 

 

주돈이의 애련설이 나온 이후 유교측에서도 연꽃을 매우 사랑하게 되었다.

 

 

 

 

 

 

 

 

  

 

 

 

 

연찬 蓮贊

성삼문의 서체이다

 

 

 

 

 

 

 

 

 

충북 진천 애련당에서 파곡 이성중이 읇은 시다.

 

 

 

 

 

 

강사 김 정 현 선생

불교미술사 전공

 

 

 

 

 

 

2 부로 계속...

 

 

 

 

Yesterday Love / Ernesto Cortaz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