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취월당

중국 삼천년 회화 6

茶泉 2020. 1. 12. 14:15

 

20세기 중국의 전통 회화

 

 

 

 

오창석(吳昌碩), <매화도(梅花島)(축), 1916, 종이에 채색.

 

 

 

 

 

오창석, <품명도(品名圖)>(축), 1916, 종이에 채색.

 

 

 

 

                     

 

(左) 진사증(陳師曾), <산수(山水)>(축), 1915, 종이에 채색.

(右) 고검부(高劍父), <죽월(竹月)>(축), 1940년대, 종이에 채색.

 

 

 

 

         

 

(左) 제백석(齊白石), <새우(蝦)>(축), 1949, 종이에 수묵.

(右) 제백석, <연꽃과 개구리>(축), 1954, 종이에 채색.

 

 

 

 

               

 

(左) 제백석, <비 갠 뒤(雨後)>(축), 1940, 종이에 수묵.

(右) 제백석, <패협공충(貝叶工蟲)>(축), 1940년대, 종이에 채색.

 

 

 

 

       

     

 

(左) 제백석, <부도옹(不倒翁)>(축), 1953, 종이에 채색.

(中) 부심여, <호산승계(湖山勝槪)>(축), 종이에 채색.

(右) 황빈홍(黃賓虹), <의하소기하>(축), 1952, 종이에 수묵

 

 

 

 

 

 

우비암, <모란(牡丹)>(축), 종이에 채색.



 

황빈홍, <서령소경(西泠小景)>(축), 1954, 종이에 채색.

 





오호범(吳湖帆), <여산동남오로봉>(축), 1958, 종이에 채색.



 



유해속, <황산>(축), 1954, 종이에 채색.

 

 

 

 

 

서비홍(徐悲鴻), <전횡오백사(田橫百사), 1930, 유화.

 

 

 

 

 

 

서비홍, <우공이산>(권), 1940, 종이에 채색.

 




 

서비홍, <분마(奔馬)>(축), 1941, 종이에 수묵.

 

 

 

 

오작인(吳作人), <목타도(牧駝圖)>(권), 1977, 종이에 수묵 담채.

 




 

 

 

 

장조화(蔣兆和), <유민도(流民圖)>(권), 1943, 종이에 수묵 담채.

 




 

임풍면(林風眠), <정물(靜物)>(권), 종이에 채색.

 





    

 

(左) 임풍면, <해오라기>,1974, 종이에 채묵.

(右) 임풍면, <春>, 1977, 종이에 채묵.





  

 

임풍면, <무송(武淞)>, 1980년대, 종이에 채묵.

(右) 반천수(潘天壽), <소게(小憩)>, 1954, 종이에 지두화.

 

 

 

 

 

 

반천수, <응시(凝視)>, 종이에 지두화.

 




    

 

(左) 반천수, <송석(松石)>, 1960, 종이에 담채.

(右) <진지불(陳之佛), <자미쌍합(紫薇雙鴿)>(축), 1954, 종이에 채색.

 

 



   

 

(좌) 부포석, <청천도(聽泉圖)>(축), 1963, 종이에 채색.

(右) 부포석, <벽완도(璧阮圖)>, 1945, 종이에 채색.




 

  

 

(좌) 이가염(李可染), <오수>(축), 1948, 종이에 수묵.

(우) 이가염, <마이센 성당>(축), 1957, 종이에 수묵 담채.

 

 

 

 

 

이가염, <가랑비 내리는 이강>(축), 1977, 종이에 수묵.




 


조망운(趙望雲), <심입기련산(深入祁連山)>(권), 1972, 종이에 채색.




석로(石魯), <남니만도중(南尼灣途中)>(축), 1960, 종이에 채색.



   

 

(左) 석로, (매화(梅)(축), 종이에 수묵 담채.

(右) 육엄소(陸儼少) ,<주사충초구>(축), 1979, 종이에 채색.




 

 

주기첨, <난유향풍원(蘭幽香風遠)>(권), 1982, 종이에 채색.

 




 

이고선(李苦禪), <매(鷹)>(축), 1979, 종이에 수묵.

 

 




 

장대천(張大千), <여산전경(廬山全景)>,






오관중(吳冠中), <황하(黃河)>, 1993, 켄버스에 유채.




 


오관중, <벵골보리수>(권), 1992, 종이에 수묵 채색.

 

인용: 『중국 회화사 삼천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