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취월당

중국 삼천년 회화 3

茶泉 2020. 1. 10. 08:39

원대(元代)의 회화


 

 

조맹견(趙孟堅), <세한삼우도(歲寒三友圖)>(부채), 원, 비단에 수묵.

 

 

 

 

 

공개(龔開), <중산출유도>(권) 부분, 원, 종이에 수묵.

 

 

 

 

 

전선(銓選), <백련도(白蓮圖)>(권), 원, 종이에 담채.

 

 

 

 

 

 

전선, <부옥산거도(浮玉山居圖)>(권), 부분, 원, 종이에 수묵 담채.

 

 

 

 

 

 

조맹부(趙孟頫), <사유여구학도>(권), 부분, 원, 비단에 채색.

 

 

 

 

 

 

조맹부, <작화추색도(鵲華秋色圖)>(권), 부분, 원(1295), 종이에 채색.

 

 

 

 

 

 

조맹부, <수촌도(水村圖)>(권), 부분, 원(1302), 종이에 수묵.

 

 

 

 

 

 

조맹부, <인기도(人騏圖)>(권), 원(1296), 종이에 채색.

 

 

 

 

 

 

하징(澄), <귀장도>(권), 부분, 원, 비단에 수묵.

 

 

 

 

 

 

작자 미상, <용주탈표도(龍舟奪標圖)>(권), 원, 비단에 수묵.

 

 

 

 

 

 

 

 

임인발(任仁發), <장과견명황도(張果見明皇圖)>(권), 부분, 원, 비단에 채색.

 

 

 

 

 

 

    

 

(左) 장악(張渥), <구가도(九歌圖)>(권), 부분, 원(1346), 종이에 수묵.

(右) 안휘(顔輝), <이선도(李仙圖)>(축), 원, 비단에 수묵.

 

 

 

 

 

작자 미상, <팔선표해도(八仙飄海圖)>, 원(14세기 중엽), 산서성 영락궁 벽화.

 

 

 

 

 

왕역(王繹) · 예찬(倪瓚), <양죽서소상(陽竹西小像)(권), 원(1363), 종이에 수묵.

 

 

 

 

 

고극공(高克恭), <추산모애도秋山暮靄圖)>(권), 잔편, 원(1300), 종이에 담채.

 

 

성무(盛懋), <추강대도도(秋江待渡圖)>(축), 원(1351), 종이에 수묵.

 

 



 

전 성무, <선장도>(축), 원, 비단에 채색.

 

 

 

 

<선장도> 부분.

 

 

 

 

 

오진(鎭), <어부도>(축), 원(1342), 비단에 수묵.

 

 

 

 

 

 

오진, <어부도>(권), 부분, 원(약 1345), 종이에 수묵.

 

 

 

 

     

 

(左) 나치천(羅稚川), <한림군아도(寒林郡鴉圖)>(축), 원, 비단에 채색.

(右) 당체, <송음취음도(松蔭翠飮圖)>(축), 원(1334), 비단에 채색.

 

 

 

 

 

주덕윤(朱德潤), <흔륜도(渾淪圖)(권), 원(1349), 종이에 수묵.

 

 

 

       

 

(左) 조지백(曹知白), <소송유수도(蔬松幽岫圖)>(축), 원(1351), 종이에 수묵.

(右) 황공망(黃公望)> <천지석벽도(天地石壁圖)>(축), 원(1341), 비단에 채색.

 

 

 

 

 

 

황공망, ,쾌설시청도(快雪時晴圖)>(권), 원(약 1340년대), 종이에 수묵담채.

 

 

     

(左) 예찬(倪瓚), <수죽거도(수죽거도(水竹居圖)>(축), 원(1343), 종이에 수묵.

(右) 예찬, <육군자도(六君子圖)>(축), 원(1345), 종이에 수묵

 

 

예찬, <유간한송도(幽澗寒松圖)>(축), 원 말/명 초, 종이에 수묵.

 

 



        

 

(左) 예찬, <용슬제도(容膝齊圖)>(축), 원(1372), 종이에 수묵.

(右) 왕몽(王蒙), <청변은거도(靑卞隱居圖)>(축), 원(1366), 종이에 수묵.

 

 

 

 

왕몽, <갈치천이거도(葛稚川移居圖)>(축). 원(약 1360)년대), 종이에 채색.

 

 

 

 

 

<갈치천이거도> 부분.

 

 

 

 

       

 

(左) 왕몽, <대모봉도(大茅峰圖)>(축), 원, 종이에 채색.

(右) 방종의(方從義), <신악경림도(神岳瓊林圖)>(축), 원(1365), 종이에 채색.

 

 

 

 

 

 

방종의, <무이방도도(武夷放棹圖)(축), 원(1359), 종이에 수묵.

 

 

 

 


조원(趙原), <합계초당도(合溪草堂圖)>(축), 원(1363), 종이에 수묵 담채.

 

 

 

 

 

 

진여언(陳汝言), <선산도(仙山圖)>(권), 부분, 원, 비단에 채색.

 

 

 

 

   

 

(左) 왕연(王淵), <도죽금계도(挑竹金鷄圖)>(축), 원(1349), 종이에 수묵.

(우) 이간, <죽석도>(병풍그림), 원, 비단에 채색.

 

 

 

 

 

 

조맹부, <수석소림도(秀石疏林圖)>(권), 원, 종이에 수묵.

 

 

 

 

 

관도승(管道昇), <연우총죽도(煙雨叢竹圖)>(권), 부분, 원(1308), 종이에 수묵.

 

 

 

 

 

가구사(柯九思), <청비각묵죽도(淸閟閣墨竹圖)>(축), 원(1338), 종이에 수묵.

 

 

 

 

 

곽비(郭畁), <유황고목도(幽篁枯木圖)>(권), 원, 종이에 수묵.

 

 

 

 

   

 

(左) 오진, <죽석도(竹石圖)>(축), 원(1347), 종이에 수묵.

(右) 예찬, <기수추풍도(琪樹秋風圖)>(축), 원, 종이에 수묵.

 

 

 

 

 

왕면(王冕), <묵매도(墨梅圖)>(축), 원(1355), 종이에 수묵.

 

 

 

 

 

 

 

추복뢰(鄒復雷) <춘소식도(春消息圖)>(권), 원(1360), 종이에 수묵.

 

 

인용: 『중국 회화사 삼천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