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두 하늘 천주와 정조
※ 두 권으로 엮은 정민 교수의 『파란波瀾』중
1권 <3장> 《다산의 또 다른 하늘, 천주교》 <4장> 《다산은 신부였다》
2권 <12장> 《닫힌 문 앞에서》 중 일부를 이 자리에 옮겨보기로 한다.
초기 천주교회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 명례방 공동체.
다산의 인간적인 면모를 우리는 사실 그대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그의 문집은 사료로 치면 오염된 부분이 적지 않다.
다산은 자기 검열을 통해 불리하거나 불편한 내용은 삭제하고 일관성 확보를 위해 많은 글에 손을 댔다.
하지만 이것을 다른 기록과 겹쳐보자 다산이 썼다가 지웠던 부분들이 얼핏 드러났다.
이 책에서는 다산이 지웠음직한 자료를, 날것 그대로 맥락 없이 남겨진 다른 자료와
겹쳐 읽음으로써 지워진 부분을 복원해보려고 애를 썼다.
- <서문> 중에서 -
● 다산이 썼다는 『조선복음전래사』
다산에게 서학, 즉 천주교는 평생 헤어날 수 없었던 굴레였다. 결정적 순간마다 천주교 신앙
문제가 다산의 발목을 났아챘다. 정조의 눈먼 사랑과 두둔이 없었다면 다산은 진즉 죽었을 목숨이었다.
조선 천주교회의 창립과 확산, 그리고 참혹한 박해이 과정에서 다산은 들 한복판에 있었다.
조선 천주교교회 창립 주역인 이벽은 큰형수의 동생이었고, 최초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조선 교회 창설의 리더 역할을 맡았던
이승훈은 누나의 남편이었다. 형님인 정약전과 정약전의 스승 권철신, 권일신 형제도 초기 교회 창립의 핵심 주역이었다.
형 정약종은 평신도 대표로 있으면서 『주교요지主敎要旨』란 천주교 교리서까지 썼다. 그의 아내 유소사 체칠리아와
딸 정정혜, 아들 정하상은 모두 순교하여 가톨릭교회의 성인품에 올랐다. 먼저 세상을 뜬 큰아들 정철상은 복자福者가 되었다.
큰형 정약현의 딸 정난주는 무력으로 쳐들어와서라도 종교의 자유를 얻게 해달라는 탄원으로 온 조선을 발칵 뒤집어놓은
황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