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에 바탕을 둔 선비의 역사
15세기는 사화의 시대였다. 성리학의 이상을 현실정치에서 실현하고자 했던 선비들이 연이어 거꾸러진 것.
물론 사화에 희생된 선비 모두가 급진적 세력은 아니었지만 정암 조광조를 비롯, 상당수 선비들은
성리학의 이상인 왕도정치를 구현하려다 목숨을 내 놓은 게 분명했다.
초야로 물러난 그들은 본질적인 것, 즉 깊은 철학적 사유로부터 세상을 변화시킬 동력을 찾는다.
그러자니 『중용』에 대한 천착은 필수였을 터. 얼마 후 형이상학의 세계가 그들 앞에 활짝 펼쳐진다.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형이상학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 봇물을 이루었던 것이다.
선비들은 『중용』 제1장에 언급된 '천명天命'에 지대한 관심을 갖는다.
조선 초기에는 통치질서에 집중하느라 아직 형이상학이 크게 관심 대상은 아니었다. 허나 시대가 달라진 만큼
성리학 특유의 우주관과 세계관, 심성론 등에 관한 연구에 매달렸고 그것의 바탕은 『중용』이었다.
16세기 조선에서의 형이상학적 연구를 시작한 이들은 정지운, 김인후, 이황, 서경덕, 노수신 등이었다.
'천명天命'에 관한 최초의 학문적 결실은 정지운鄭之雲이 작성한 「천명도설天命圖說」(1543)이었다.
그는 이것을 들고 전라도 순창에 머물던 아우 김인후를 찾아간다(1549).
하서 김인후 초상
당시 하서는 성리학적 우주관이 집약된 「태극도설」에 있어 조선의 최고봉이었다.
북송의 주돈이가 저술한「태극도설」은 불과 249자였으나, 우주의 생성과 인륜의 근원을 풀어낸 것이었다.
무극이 태극이 되고, 이로부터 음양과 오행이 생겨나 그들의 조합으로 만물이 형성되었다는 주장을 담은 것이다.
16세기 전반, 조선에는 그 내용을 속속들이 이해하는 선비가 하서 김인후 말고는 거의 없었던 실정.
때문에 정지운은 천리를 마다 않고 하서를 찾아갔던 것이다.
하서는 정지운의 「천명도설」에 대한 소감을 두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형기形氣(사람의 마음)가 사사롭기 때문에 질곡桎梏(몹시 속박함)이 생겨서"
『하서전집』(권3, 186쪽) 우주만물의 운동이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둘째, 우리가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정성을 다해 본성대로 살고자 노력한다면,
결국은 천명의 기미를 알 수 있다는 것이었다.
요컨대 사사로운 마음이 세상 문제의 근원인데, 인간의 본성을 회복할 수만 있다면 천명에 부합하는
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하서는 하늘과 인간의 관계를 '이기화생理氣化生'으로 보았다.
달리 말해 천명은 인간의 삶에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관여한다는 입장이었다.
퇴계의 주리론主理論과 달리 그는 理뿐만 아니라 氣도 능동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파한 것이다.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를 상호 유기적 관점에서 본 것이다. 천도가 일방적으로 인도를 지배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
이것의 본질은 다름 아닌 『중용』에 토대를 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선악'을 설명할 때도
'선'은 화和(가장 적절함)요, '악'은 과불급過不及이라 결론지었다.
선비들은 『중용』을 비롯한 다양한 서적을 토대로 형이상학적 우주관과 세계관을 형성했다.
시야는 넓어지고 철학적 사고는 한층 고매해졌다.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담론이랄 수도 있지만,
그들 덕분에 성리학이 한국 사회에 깊이 뿌리를 내렸고, 하나의 독특한 사유체계로 완성되어 오늘에 이른다.
'나 한 사람의 도덕성이 세상을 바꾸는 힘'이라는 『중용』에서의 주장은 선비들에게 있어 희망을 불씨였다.
추악한 정치 사회적 현실 앞에서도 결코 초라해지지 않을 수 있음은 크나큰 용기를 주었을 게 너무도 분명.
그리하여 선비들은 형이상학과 결합된 수양론修養論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人心道心說인심도심설'에 이른다.
퇴계 이황 영정
주리론의 거장인 이황은 천리야말로
사물의 존망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힘을 가졌다고 보았다.
인심도심설의 대가는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였다.
퇴계는 "인심이 칠정七情(다양한 감정)이 되고, 도심은 사단四端(인의예지仁義禮智)이 된다"라고 했다.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仁], 부끄러워하는 마음[義], 사양하는 마음[禮],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마음[智].
사단은 인간의 도심道心이다. 사단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도적인 인의예지의 단서가 된다.
그에 비해 칠정은 희로애락 등 다양한 감정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이황이 정지운의 「천명도설」을 수정 · 개작한 「천명도」
퇴계는 인심을 인욕人慾이라고 단정해, 칠정에 내재하는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했다.
반면에 도심은 인의예지로 표현되는 착한 마음이라 이해했다. 하지만 율곡의 견해는 달랐다.
1582년, 이이는 「인심도심도설」을 지어 선조에게 바친다. 그 핵심인 즉,
나쁜 기질도 고칠 수 있다는 것, 즉 어떤 경우라도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다는 낙관론이었다.
퇴계와 달리 칠정을 인심으로 제한하지 않았다. 그가 보기에 칠정은 인심과 도심을 망라한 것이었다.
「인심도심종시설人心道心終始說」에 이이의 견해가 잘 드러난다. 처음에 도심이었다 해도
태만하면 인심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끊임없는 성찰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율곡 초상과 「인심도심도설」
『중용』서문에서 주희는 인심과 도심의 관계를 잘 설명하고 있다.
도심은 하늘이 준 본성이므로 착하지만, 인심은 삶의 조건에 좌우된다고 했다. 주희는 맹자의
성선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