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취월당

혜암당(慧菴堂) 1

茶泉 2019. 8. 20. 12:40

 

― 혜암스님의 벼락같은 화두 ―

 

 

爲法忘軀 

공부하다 죽어라 

 

 

 

 

 

 

 




 

혜암스님 행장

 

 

 

■  1920년 3월 22일 전남 장성군 장성읍 덕진리 출생.

7남매 중 차남으로 속명은 김남영金南榮이었다.

 

■  1933년 장성읍 성산보통학교 졸, 서원에서 한학 수학했다.

어른들을 따라 백양사를 출입하며 부처를 동경하였다.

 

■  1945년 17세에 일본에 유학 중 『선관책진禪關策進』을 읽다가 출가를 결심하고 귀국한다.『선관책진』중에서 '마음'을 계송으로 표현한 것을 보고 발심했던 것.
나에게 한 권의 경전이 있으니종이와 먹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네펼치면 한 글자도 없으나항상 환한 빛을 발하고 있에
■  1946년 경남 합천 해인사로 출가하여 인곡을 은사로, 효봉을 계사로 삼아 수계한다. 법명은 성관性觀으로 받았고 효봉스님으로 부터 무無 자 화두를 받는다.
■  1947년 성철, 우봉, 청담, 자운, 도우, 법전, 일도 등 20여 명의 스님과 소위 '봉암결사'를 단행한다.
■  1948년 김룡사 금선대에서 정진하던 중 마음이 밝아져 조사스님의 말씀에 걸림이 사라진다. 이에 인곡을 찾아 점검을 받았다. 해인사에서 상월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받는다. 새벽범종을 치다가 화두일념에 든 스님을 보고 오대산의 고승 한암도 크게 기뻐하였다.
■  1949년 범어사 동산스님을 계사로 보살계를 받았고 가야총림 선원에서 안거하였다.
■  1951년 인곡스님으로부터 혜암당慧菴堂이라는 법호를 받는다. 법호를 내리는 인곡의 계송은 이러했다.

다만 한 가지 일을 고금에 전해주니머리도 꼬리도 없으되 천백억 화신으로 나투느니라.

 법호를 받은 뒤 동산스님 회상의 범어사 금어선원, 성철스님과 방구들을 파놓고 정진한 안정사 천제굴,공비들이 출몰하는 설악산 오세암에서 3년 안거했다.
■  1954년 오대산 서대 염불암에서 일타스님과 정진한 뒤, 중대 적멸보궁에서 하루 삼천 배씩 일주일간 예참하고기필코 견성성불 할 것을 서원하였다. 이어 태백산 동암으로 올라가 정진하는 동안 확고부동한 신심으로득력 得力하였다.
■  1957년 오대산 사고암 토굴에서 용맹정진 중에 대오한다.  이때 오도송은 이러했다.

미혹할 때는 나고 죽더니 깨달으니 청정법신이네미혹과 깨달음 모두 쳐부수니 해가 돋아 하늘땅이 밝도다.

오대산 서대와 동대, 동화사 등에서 4년 안거했다.
■  1961년 오대산 북대와 남대, 해인사 선원, 경봉스님이 주석하는 통도사 극락암 선원 등에서 3년 안거했다.
■  1964년 묘관음사 선원, 천축사 무문관, 통도사 극락암 선원, 해인사 중봉암 토굴 등에서 3년 안거했다. 특히 통도사 극락암 선원에서는 경봉스님이 스님과 선문답으로 점검한 뒤, 극락암 대중들을 법당에 불러놓고 스님에게 절을 하도록 하였다. 이 소문이 전국의 선방으로 퍼져나가 이때부터 스님은 독자적인 가풍의 회상을 갖게 되었다.
■  1967년 해인총림 유나 소임을 맡았다.
■  1968년 지리산 상무주암, 지리산 문수암을 짓고, 전강스님이 주석하는 인천 용화사, 해인총림 퇴설당 등에서 2년 안거했다.
■  1970년 성철스님의 강권으로 해인사 주지를 4월에서 8월까지 맡았다.
■  1971년 봉암사 백련암, 남해 용문사 선원 등에서 3년 안거했다. 남해 용문사는 배를 타고 들어가는 섬 속의 절이었지만,전국의 선객들이 50여 명이나 구름처럼 모여들어 스님의 회상이 이루어졌다.
■  1976년 지리산 칠불암에서 안거 중 운상선원을 중수하면서 문수보살을 친견했다. 스님이 받은 계송은 이러했다.

때 묻은 뾰족한 마음을 금강검으로 베어내서연꽃을 비추어 보아 자비로서 중생을 보살피라.

■  1977년 해인총림 유나 소임을 맡았다.   ■  1978년 해인총림 수좌 소임을 맡았다.
■  1982년 지리산 청매조사 토굴 터에 도솔암을 복원하고 정진하였다. 
■  1985년 해인총림 부방장이 되었다.  ■  1991년 조계종 원로회의 부의장이 되었다.
■  1993년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으로 추대되어 조계종 개혁불사 때 개혁회의를 출범시키어 개혁종단을 탄생케 하고이후에도 1999년까지 의장직을 수행하면서 종단의 안정과 개혁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  1999년 조계종 제10대 종정으로 추대를 받았다.
■  1996년 원당암에 우리나라 시민선방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108평의 달마선원을 개원하여 안거 기간은 물론 매월 첫째, 셋째토요일마다 전국 각지에서 찾아오는 불자들에게 참선을 적극 지도함으로써 선의 대중화, 생활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  2001년 12월 31일 오전 해인사 원당암 미소굴에서 의자에 앉은채 장좌불와 하는 모습으로 입적하셨다.시자에게 남긴 스님의 열반송은 이러했다.

나의 몸은 본래 없는 것이요 마음 또한 머물 바 없도다무쇠소 달을 물고 달아나고 돌사자는 소리 높여 부르짓도다.




 

 

 

 

원당암 다층석탑(보물 제518호)

 

 




 

 

 

 

 

 

 

 

 

 

 

 

혜암스님의 사자후

 

 








문: 삶이 힘들고 앞날이 불투명하니 답답해하고 불안해하고 있습니다.살면서 머릿돌이 될 만한 말씀을 해주십시오.
답: 원칙으로 말하자면 지금은 말세입니다. 내리막의 길에 서 있는 시점입니다. 아무리 잘 하려고 하지만 성인들은'말세 운명은 불회복不回復'이라고 못을 박아 말씀했습니다. '말세 운명을 회복할 수가 없다는, 될 대로 된다는 것입니다.이런 이치로 봐서는 논할 것이 못 됩니다. 망해가는 세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대로 보고만 있을 수는 없습니다.빨리 망하기를 바라는 수도자가 어디 있겠습니까? 경우가 그렇기 때문에 말을 하자면, 물론 인과법으로 스스로 지어서 받는 자작자수지만 책임을 지지 않은 수 없습니다.
우리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다 같이 책임을 저야 합니다.특히 어른들이 잘해야 합니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것과 같이 어른들이 잘해야 합니다.환경의 지배를 받는 것이 인생입니다. 어른들이 잘 하다 보면 근묵자흑近墨者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지는 것처럼물이 들 일이 생겨나고 거기서 반성할 일이 생겨나고, 조심도 하고 그럴 것입니다. 누구를 원망할 것이 아니라 나부터 잘해야 합니다. 알아듣겠습니까? 나부터 바르게 되면 나한테 물드는 사람이 생겨납니다.이것이 근묵자흑의 도리입니다.



 







선이 독선獨善으로 흐르거나, 이데올로기로 관념화될 때 맹독이 되는 이치였다.사랑과 자비, 진리, 자유 같은 수승한 가치도 내 삶에 체화되지 못하고 나를 짓누르는 맹목적인 강요의 무거운 돌덩이로 변할 때역시 마찬가지이리라. 이런 도리로 보아 어떤 아름다운 가치라도 이데올로기가 된 믿음보다는 사유하고 의심하는 것이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종교의 본질이 아닐까 싶다.


 

 

 






문득 달라이라마 존자가 한 말이 떠오른다."소승이란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것이고, 대승이란 남을 돕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이는 아라한이고, 남을 돕고 사는 이는 보살이라는 뜻이다.원각스님은 선해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에 대학 입시를 포기하고 출가했다는 분이다. 이런 분은 이미 아라한이 아니었을까 싶다.나의 합격 때문에 한 사람의 입시생이 낙방하면 어쩌나 할 정도로 천품이 선했던 분이니 말이다. 그런데 자신의 선의지善意志가자신을 괴롭힐 때의 처방은 무엇일까? 도덕이나 양심의 차원을 넘어버린 종교적인 문제가 아닐 수 없었다. 육조 혜능대사가 왜 자신을 해치려 했던 사람에게 '선도 생각하지 말고 악도 생각하지 말라(不思善 不思惡)'며 자애롭게 타일렀는지 이해가 된다.

 






가야산 호랑이 성철스님과 가야산 정진불 혜암스님의 담소





제가자 선방의 선풍을 일으킨 달마선원 내부





혜암스님의 탑비와 부도




 

 

퇴설당 마당에 충만한 고승들의 기운






해인총림 방장스님의 처소 퇴설당



일주일 안에 깨치지 못하면 죽으리라
기억창고의 시곗바늘을 돌려 1946년 4월 초순(음력 3월 1일)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본다.머리는 하이칼라를 하고 흰색 양복과 백구두를 신은 20대 후반의 청년이 해인사 주지를 만났다. 출가를 허락받기 위해서였다.주지는 허락은 커녕 청년을 경계했다. 옷차림으로 보아 절에서 며칠 쉬다가 달아날 사람으로 보였던 것이다.할수 없이 청년은 방에 들지 못하고 공양간이나 나무청 같은 데서 토막잠을 잤다. 그러자 주지가 소임을 보는 스님들을 불러 회의에 부치는 공사公事를 벌였다.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중노릇할 사람이 아니다'로 의견이 모아졌다.
그러나 출가하기로 발심한 청년은 물러서지 않았다. 청년은 일찍이 17세 때 일본으로 건너가 동양철학을 공부하던 중에 크게 발심했던 것이다. 결국 청년은 며칠 동안 버틴 끝에 면식이 있는 단아한 스님을 만났다. 일본 교토 임제종 절에서 유나스님으로 있었던 서옹이었다.서옹은 청년의 얘기를 듣고는 퇴설당에 주석하고 있던 인곡에게 소개해주었다. 인곡이 자애롭게 물었다.
"어디서 왔는가?"청년은 『선관책진』에서 본 대로 선사들의 흉내를 내었다."자네 고향이 어딘가?"청년은 방바닥을 힘껏 쳤다. 그러자 인곡이 선사들이 곧잘 던지는 질문들 중에서 하나를 끄집어내어 물었다."우리 집 소가 여물을 먹었는데 이웃집 말이 배탈이 났다. 천하의 명의를 불러서 말의 병을 고쳐달라고 했더니아랫집 돼지의 넓적다리에 뜸을 떴다. 이 이치를 알겠느냐?"청년은 주먹을 앞으로 불쑥 내밀었다. 그제야 인곡은 미소 지으며 청년의 머리를 만졌다.세상의 유무정물이 연기緣起로 얽혀 있는 이치를 아느냐고 묻는 인곡의 질문에 청년은 그것들은 결국 한 몸이라고 주먹을 내밀의 답했던 것이다.
인곡의 상좌가 된 청년은 정식으로 행자가 되었다. 봄날에 해인사로 온 행자는 초가을 무렵까지 공양주 소임을 맡고 있다가효봉 조실스님에게 무無 자 화두를 받았다. 화두를 든 청년행자의 정진력은 다른 행자들이 흉내 내지 못할 만큼 치열했다.어느 날 청년행자는 공양간에서 밥을 푸다가 화두를 타파하고 말겠다는 분심墳心이 일어나 밥주걱을 다른 행자에게 넘겨주고백련암 위에 있는 환적대로 올라갔다. 그러나 환적선사가 공부했다는 환적굴은 찾지 못하고 옆에 있는 바위굴로 들어가'일주일 안에 깨치지 못하면 죽으리라'는 각오로 물 한 모습 마시지 않고 장좌불와 수행을 하며 용맹정진한 끝에 화두를 타파하지는 못했지만 좌선삼매는 경험하고 해인사로 내려왔다.
마침내 청년행자는 음력으로 10월 15일 인곡을 은사로, 효봉을 계사로 사미승이 되었다. 사미승의 법명은 성관性觀이었다. 이후 법호는 혜암慧菴이라 하였다. 계를 받자마자 혜암은 가야총림이 개설돼 선원으로 바뀐 퇴설당에서 공부하려고 했지만 선객들이 갓 수계한 사미라 하여 반대했다. 그러나 조실스님인 효봉이 옹호했다."공부하는 데 구참, 신참이 어디 있는가. 성관수좌만큼 공부하는 사람이 있는가?"혜암은 효봉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행자 때부터 이어온 장좌불와 수행과 일일일식 수행으로 정진하며 퇴설당 대중들을 놀라게 했다.


 

 

 

 



혜암스님이 생전에 일구어놓은 채마밭





상원사 가는 길의 범종 모양의 부도

 



혜암은 28세 때 해인사 퇴설당에서 첫 안거를 마치고 바로 오대산 상원사 간다.맡은 소임은 종두鐘頭였다. 종두란 조석으로 종을 치는 책임자다. 내가 사는 산중의 아래 절에서도 아침저녁으로 종소리가 나는데, 나는 감각적으로 스님이 지금 조는지 마음을 담아 종을 치고 있는지 느낀다.종을 치는 간격이 일정치 않으면 조는 것이고, 종소리가 힘 있게 들리지 않으면 마음을 다 담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어느 날, 혜암이 치는 타종 소리도 상원사 선방 수좌들의 입에 오르내렸다.대중들이 어둑한 마당에서 수군거렸다."혜암 수좌가 졸고 있군."이윽고 한암도 마당으로 나와 타종 소리를 묵묵히 들었다. 한암은 한마디도 하지 않고 미소만 지었다.그러더니 대중스님들을 선방으로 불러들였다. 범종 소리는 여전히 불규칙하고 아주 느렸다.정상적으로 친다면 이미 스물여덟 번의 타종 소리가 끝나고 여운만 남아 있어야 했다. 한암이 한 수좌에게 물었다."종두가 종을 잘 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아닙니다.""왜 그런가?""소리가 일정치 않으니 여법하지 못합니다."한암은 앉은 채 몸을 좌우로 흔들며 다른 수좌에게 물었다."종두는 공부를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아닙니다.""왜 그런가?""대중의 마음을 편하게 하지 못하고 놀라게 했습니다."범종 하나 치지 못하는 수좌이니 공부도 잘하지 못할 것이라는 대답이었다.그러나 한암은 수좌들의 의표를 찌르듯 말했다."종두는 종을 제일 잘 치는 수좌이다. 소리가 일정치 않은 것이야말로 참으로 공부하는 납자의 솜씨다."한 수좌가 볼멘소리로 물었다."조실스님, 대중의 마음을 편하게 하지 못하고 놀라게 했는데 어찌 공부 잘하는 수좌라고 하십니까?""혜암 수좌는 지금 화두일념에 들었느니라. 공부하는 수좌의 모습이 저러해야 하거늘 내가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한암이 크게 소리 내어 웃고 나서야 대중은 고개를 끄덕였다. 타종 사건이 있는 후, 혜암은 신참인데도 단박에 상원사 선방의 화제 인물이 되었다.신참 혜암은 장좌불와 수행을 오한이 들거나 몸살이 난 날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했다.쉬는 시간에 지대방에서 구참 수좌들과 얘기를 주고 받는 즐거움도 삼갔다.'한 길을 말하는 것은 한 자를 가는 것만 못하다'는 중국 노조선사의 말을 마음에 둘 뿐이었다.한 길 말보다 한 걸음 실천이 중요했다.





잡인들의 발길을 거절하는 오대산 염불암 산문

 

 

 

 

 

 

 

 

상원사 1인 선방인 염불암 뒤태

 

 

 

 

 

혜암스님이 오대산을 다시 찾은 것은 1954년 35세 때였다.통영 안정사 천제굴에서 성철스님과 함께 동안거를 난 뒤 오대산 서대 염불암으로 왔던 것이다.염불암에서는 훗날 자비의 화신이 된 일타스님과 같이 하안거를 났다.
구불구불한 산길은 잃어버린 탯줄을 연상시킨다. 태어나기 전에는 생명줄이었지만 탄생 이후에는 잘라버리는 것이 탯줄이다. 모태로부터 분리된 아픔과 외로움이 어찌 저 깊은 기억의 밑바닥에 남아 있지 않을까. 산길을 걷다 보면 심연의 고독이 산죽山竹의 이파리처럼 살갗을 찌를 듯 다가온다. 언제가 달빛이 얹힌 산죽을 본 적이 있다. 산죽은 무서리처럼 차갑게 빛을 발하고 있었다. 아직도 그 정경이 생생하다. 우리 의식도 그렇게 빛을 내며 깨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서대 염불암 입구에는 한강의 발원지인 우통수라는 정겨운 샘이 있다.

이 샘의 한 방울이 흘러 넘쳐 도도한 남한강이 된다.

그러니 이 샘물을 한 모금 마신다면 한강 물을 들이켜는 것과 다름없다.

 

 

 

 

 

 

 

염불암 마당 끝에서 화두를 들고 있는 의자

 

 

 

 

혜암과 일타는 염불암에서 오후불식을 했다.

아침은 상원사로 내려가 가볍게 죽을 한 사발 먹고, 점심 공양은 염불암에서 해결했다.

 저녁은 아무것도 먹지 않고 마가목차로 목과 창자를 적셨다. 생식을 준비하는 공양주는 일타가 자청했다.

콩과 솔가루만 먹는 생식이었다. 일타는 콩 때문에 혜암에게 타박을 들은 일도 있었다.

"일타스님, 다 같은 콩인데 무얼 그리 가리십니까?"

일타가 썩은 콩을 골라낸 뒤 좋은 콩만 먹자고 하자 혜암이 그러지 말자고 했다.

실제로 혜암은 썩은 콩이든 좋은 콩이든 가리지 않고 한 끼에 일정한 개수만 먹었다.

생콩만 먹는 것이 아니라 변비를 방지하기 위해 솔가루를 물에 타 가루약처럼 마셨다.

 

일타는 중대 사자암 위쪽의 적멸보궁에서 공부를 맹세하며 자신의 오른손 네 손가락을 태운 뒤

염불암을 떠났고, 혜암은 적멸보궁으로 올라가 하루 삼천 배씩 일주일 동안 예참하고

금생에 기필코 견성할 것을 서원하였다.

 

 

 

 

 

 

 

 

한국동란 이전의 오대산 사고史庫

 

 

 

혜암스님이 확철대오한 오대산 사고의 토굴은 당신에게는 선승으로서 분기점이 되는 곳이다.

혜암스님이 토굴에서 어떻게 정진했고, 깨달음의 경계가 어떠했는지는 스님의 상좌라면 모르는 이가 없을 터이다.

혜암스님은 오대산 동대 관음암과 설악산 오세암, 그리고 태백산 동암을 오가며 용맹정진하던 중1957년 초겨울

'공부하다 죽으리라;는 각오로 오대산 토굴에 들어갔는데, 그곳이 바로 사고암이었던 것이다.

 

영하 20도를 오르내리는 방에 군불도 넣지 않고 화두삼매를 잃지 않기 위해 참선 공부 이외의 것들은

 모두 가차없이 잘라버렸다. 누구도 흉내 내지 못할 초인적인 고행이었다. 드디어 4개월째가 되었다.

졸음이 완전히 사라졌다. 오로지 화두 하나만 성성했다. 그러한 경계는 선가에서 말하는 백척간두였다.

 

혜암은 며칠 동안 백척간두 경계에서 더 나아갔다. 그제야 하늘과 땅이 하나가 되고, 낮과 밤이 하나가 되고,

아침과 저녁이 하나가 되었다. 온몸이 의심덩어리가 되더니 몰록 심안心眼이 열렸다.

스님은 방문을 박차고 나와 깨달음의 게송을 읊었다.

 

 

 

 

 

 

 

혜암스님이 살았고 나옹선사가 은거했던 오대산 북대 미륵암

 

 

 

迷則生滅心 / 미혹할 때는 나고 죽더니

 

悟來眞如性 / 깨달으니 청정 법신이네.

 

迷悟俱打了 / 미혹과 깨달음 모두 쳐부수니

 

日出乾坤明 / 해가 돋아 하늘과 땅이 밝도다.

 

 

 

이른바 혜암스님의 오도송悟道頌이다.

 스님의 성정답게 꾸밈이 없고 명료하고 단호하다.

마치 혹독한 겨울을 이겨낸 인동초의 꽃처럼 향기가 진하다.

혜암스님이 또다시 오대산을 찾은 것은 40세와 42세 때였다.

특히 42세 때는 은사 인곡스님이 입적하자, 49재를 지낸 뒤 오대산으로 돌아와

오대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눈보라가 미친 듯 몰아치는 북대 미륵암에서 겨울을 났다.

 

북대 미륵암에 살면서는 생사를 뛰어넘는 수행일화 한 토막을 남겼다.

밤새 폭설이 내린 어느 날 어둑한 새벽이었다. 반사하는 흰 눈빛에 의지하여 상원사로 내려가는 산길을 걷다가

맞은편에서 어슬렁거리며 오는 호랑이와 마주쳤다. 호랑이는 스님을 보자마자 두 눈에 시퍼런 불을 켰다.

스님 역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은 채 두 눈을 부릅떴다.

그러자 호랑이가 고개를 한 번 끄덕이고는 산속으로 사라져버렸다.

 

이듬해는 남대 지장암으로 옮겼는데, 40세 때 동대 관음암에서 살던 것까지 합쳐

오대산의 오대를 두루 안거하며 정진했던 바, 이는 다생多生으로 맺어지는 법法의 인연이었다.

 

 

 

 

 

 

 

 

 

혜암스님이 주석했고 보조국사가 대오했던 지리산 상무주암

 

 

 

혜암스님이 처음으로 지리산 상무주암에서 정진한 때는 1968년 스님의 나이 49세 무렵이었다.

지리산에서는 '눈 속의 눈'이 절로 떠진다. 산마루에서 올라온 길을 되돌아보면 나라고 하는 존재가 갑자기 초라해진다.

유장한 능선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파도치는 장관을 볼 때 나라는 존재는 한낱 망망대해에 뜬 일엽편주에 불과하구나

하는 자각이 드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어쭙잖은 자존심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하심下心만 오롯이 남는다.

 

 

 

 

 

 

 

천왕봉과 반야봉 같은 지리산 봉우리들이 외호하고 있는 상무주암.

마당 앞에 자라고 있는 소나무들은 다 혜암스님이 심었다고 한다.

 

 

 

 

 

 

 

 

혜암스님이 세 달 정진하기 위해 아홉 달 동안 온갖 고생하며 지은 지리산 문수암

 

 

 

 

스님은 상무주암에서 1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동굴을 하나 발견하고 암자를 지었다. 오늘날의 문수암이다.

혜암스님에게는 참선만이 공부가 아니었다. 암자를 하나 짓는 것도 스님에게는 수행이고 정진이었던 것이다.

밤이 되면 고된 막노동으로 끙끙 앓았지만 혜암스님은 막노동도 수행이라 여겼고 뒷사람을 위해 지금 자신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로 돌렸다. 마침내 첫눈이 내리기 전인 늦가을에 암자가 하나 지어졌다.

그러자 혜암스님은 원각을 불러 말했다.

"이제 너는 해인사 선방으로 가거라. 나는 문수암에서 처사와 함께 겨울을 날 것이다.

 

원각은 동안거가 해제되자마자 문수암으로 다시 올라갔다.

원각은 은사와 처사의 모습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두 사람은 3개월 전과 아주 딴판이었다.

머리는 봉두난발이었고 수염은 산적처럼 길게 길었고 옷은 여기저기를 기운 누더기가 다 돼 있었다.

그런데 혜암스님은 문수암을 곧 떠나고 말았다.

원각은 3개월 살기 위해 9개월 동안 온갖 고생을 혜암스님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러나 혜암스님은 자신이 지은 새 암자에 대한 집착이 전혀 없었다.

암자 짓는 것도 하루를 허투루 낭비하지 않는 자신의 질서를 지키고자 했던 공부라고 생각했을 뿐이다.

 선승으로서 참선만이공부라고 여기지 않았던 것이다. 혜암스님에게는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바로 공부였다.

그리고 그 일을 할 때는 혼신의 힘을 다한 나머지 밤에 잘 때는 끙끙 앓을 정도가 돼야

 비로소 '오늘 하루 공부 잘했다'고 점수를 주었다.

 

 

 

 

 

 

 

 

문수암 정랑에 앉아 용변을 보면서 감상하는 지리산 능선

 

 

 

혜암스님이 다시 지리산 상무주암을 찾은 것은 1979년 60세 때였다.

자신이 지은 문수암에는 비구니 두 사람이 살고 있어서 상무주암으로 갔다.

혜암스님은 상좌들에게 늘 지리산 3대 토굴로 함양의 금대와 상무주암 그리고 남원의 백장암을 지목했다.

금대는 3일 만에, 백장암은 5일 만에, 상무주암은 7일 만에 도를 깨닫는 명당이라고 했다.

아래는 여연스님의 얘기다.

 

"태백산 동암에서 우리 스님께 힘들게 인사드리고 해인사로 돌아왔다가 강원을 졸업하고 상무주암으로 갔습니다.

사실은 송광사에서 살고 싶어 미리 방부를 들여놓고 인사를 갔던 것인데 우리 스님 밑에서 공부하게 된 것이지요.

힘이 장사인 내 사제 정견스님도 그곳으로 왔지요. 젊은 우리가 얼마나 밥을 많이 먹을 때입니까?

그러나 은사스님이 소식을 하시니 바루를 펴놓고 마음대로 먹을 수가 없었어요. 눈치만 보았지요.

그때도 은사스님은 혼자 하루에 한 끼만 드셨거든요. 처음에는 세 끼를 먹는 우리에게 강요하지 않았지만 한 달이

지나자 대중을 다잡았어요. 중이 식탐이 많으면 안된다. 오늘부터 하루 한 끼만 먹는다."

 

여연과 정견은 일종식을 견디지 못하고 부엌으로 몰래 들어가 밥을 먹었다.

비구니가 사는 문수암으로 가 허기를 달랬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였다. 두 사람이 밥을 훔쳐 먹는다는 것을 알고

혜암스님이 음식을 먹을 만큼만 내주고는 부엌문 자물쇠를 채워버렸던 것이다.

그러고는 문수암을 가지 못하게 금족령까지 내렸다. 날이 갈수록 강도는 더해졌다.

두 달 후에는 아예 단식을 시켰다. 장좌불와에 단식까지 보태졌던 것이다.

 

"해인사에서도 1년에 두 번씩 용맹정진을 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아무것도 먹지 않는 단식 용맹정진이었지요.

일주일이 지나니까 죽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10일째는 정말 괴롭고 괴로웠어요. 망상이 막 들었어요.

영감을 죽일 수는 없고 어디다 밀어뜨려버릴까 하는 망상이 들었어요.

그러나 이틀 정도 망상을 하다가 정신이 돌아와 포기했지요. 망상으로 이틀을 버티었으니 얼마나 기막힌 망상입니까?"

 

14일째부터는 자신감이 들었다. 가끔 물을 마실 뿐 아무것도 먹지 않았건만 몸에 힘이 생기고 만사가 개운했다.

그런데 혜암스님이 대중의 변화를 눈치채고는 말했다. "우리가 여기까지 왔으니 아예 20일을 채워버리자."

대중 누구도 부담스러워하지 않았다. 담담하게 20일을 채웠다. 모두가 심신의 변화를 체험했다.

 여연은 단식 용맹정진을 끝냈다는 생각보다는 깊은 동면에서 깨어난 기분이 들었다. 눈을 뜨고 보니 세상이 눈부셨다.

지리산의 모든 생명이 투명하게 빛나고 있었다. 자신의 모습도 눈이 부셨다.

거울에 비친 창백한 자신의 모습이 아름답기까지 했다.

 

 

"내 모습이 이러했던가? 대학시절에 읽은 발레리의 상징적인 시들이 막 스쳐갔어요.

이른바 깨달음이라는 암호가 풀어질 것 같아 황홀했습니다. 지견知見 같은 것이었지요.

그걸 계속 밀고 나갔어야 했는데 지금도 아쉬워요."

 

단식 용맹정진이 끝나자 혜암스님은 다섯 명의 대중에게 백팔참회문을 외게 하면서 절을 시켰다.

일주일 동안 만팔천배를 하게 했다. 문수암에 사는 두 명의 비구니도 동참했다.

 단식을 한 뒤였기에 끼니때가 되면 겨우 미음을 넘기면서 절을 했다. 일주일 동안 대중 모두가 만팔천배를 마치면서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모두가 울었다. 자신의 무한한 능력에 감동했고, 새롭게 태어나도록 해준 혜암스님이 고마워

감사의 눈물을 흘렸다. 용맹정진이란 누구를 위한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을 위한 수행이었던 것이다.

 

이때 혜암스님은 정견을 앞세우고 지리산을 산행한 끝에 또 하나의 토굴터를 발견하게 되는데,

그곳은 조선시대의 고승 청매조사靑梅祖師가 살았던 터였다.

 

 

 

 

 

 

 

 

승병장 청매 인오조사의 혼이 깃든 지리산 도솔암

 

 

 

내 마음속의 암자는 지리산 도솔암이다.

청매 인오靑梅印惡 스님이 임진왜란 뒤에 살았던 터인데, 혜암스님이 상좌 정견스님을 데리고 복원한 암자다.

 

 

 

雲盡秋空一鏡圓 / 구름 없는 가을 하늘 둥근 거울이여
 
寒鴉隻去偶成痕 / 외기러기 날아가며 흔적을 남기는구나.
 
南陽老子通消息 / 남양의 저 노인네는 이 소식을 알았으니
 
千里東風不負言 / 꽃바람 천리 사이 말없이 통해지네.

 

 

 

청매 인오靑梅印惡

 

조선 중엽에 서산대사의 회상에 들어가 법을 얻은 다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산대사를 따라 승병장이 되었다.

3년 동안 왜군과 싸웠고, 그림에도 뛰어나 광해군 때는 왕명으로 벽계 정심(碧溪淨心), 벽송 지엄(碧松智嚴), 부용 영관(芙蓉靈觀),

서산 휴정(西山休靜), 부휴 선수(浮休善修) 등 5대 선사들의 영정을 그렸으며, 선시에도 탁월해

「십이각시(十二覺詩)」와 「십무익송(十無益頌)」 등을 지어 승속 간에 교화를 펼쳤다.

 

전쟁이 끝나자 변산의 월명암을 중수했고 훗날 지리산 도솔암 숨어들어 정진했다.

입적은 연곡사에서 했는데, 스님이 똥을 싸서 벽에 발랐다. 구린내를 풍기니 대중이 스님을 피해 달아났다.

마지막까지 간병하던 부목마저 떠나려 하자 스님이 말했다

."너는 도인이 열반하는 마지막 모습을 지켜보거라." 스님이 열반에 들자 똥칠했던 방 안에서 향기가 진동했다.

연곡사 대중들이 스님의 이적에 신심을 내어 부도를 조성했으나 그곳에 세우지 않고 도솔암으로 옮겼다.

 

이후 조선왕조의 쇠락과 함께 도솔암도 허물어지고 스님의 부도만 잡초 속에 남게 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 도솔암 쪽에서 산불이 난 듯 불길이 한동안 나타났다. 마을 사람들이 불을 끄려 산을 올라갔으나 불난 흔적이 없었다.

한 번을 더 허탕치고 세 번째는 영원사 스님들과 함께 올라가 보니 부도에 봉안된 스님의 사리가 빛을 뿜고 있었다.

스님의 사리가 빛을 뿜는다는 소문이 나자 전국 각지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이에 일본인이 부도를 영원사로 옮겨버렸다.

오르기 힘든 도솔암에 두느니 영원사로 옮기는 편이 관광에 도움이 되리라 계산했던 것이다.

그러나 영원사로 온 스님의 부도는 다시는 방광放光을 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사람들은 왜군을 물리친 승병장이었던 스님이 일본인들의 장삿속을 알고 자취를 감췄다고 수군거렸다.
 스님의 「십이각시」 게송은 이러했다.
 
 
 
覺非覺非覺 / 깨달음은 깨닫는 것도 깨닫지 않는 것도 아니니
 
覺無覺覺覺 / 깨달음 자체가 깨달음이 없어 깨달음을 깨닫는 것이네.
 
覺覺非覺覺 / 깨달음을 깨닫는 것은 깨달음을 깨닫는 것이 아니니
 
豈獨名眞覺 / 어찌 홀로 참된 깨달음이라 하리오.
 
 
 
 
 
 
 

 

한두 명의 선객이 치열하게 공부하는 지리산 도솔암
 
 
 
"노장님하고는 열여덟 살에 만나 제자가 되었지요. 상무주암에 살 때 점심 공양 마치고 나면 노장이
'정견아, 빨리 나와라, 길 고치러 가자'고 하셨지요. 그러면 곡괭이 들고 나가 길을 고쳤습니다.
밥 먹었으면 길을 고쳐야지, 하고 말씀했어요. 그게 꼭 사람 다니는 길이 아니라, 다른 깊은 뜻이 있는 말씀 같았어요.
그때는 남이 편안하게 잘 다닐 수 있는 길을 만드는 게 정진이었던 셈이죠. 노장님은 어느 정도 길이 고쳐지면
나무를 하라고 시켰지요. 도솔암에서는 나무를 참 많이 했습니다. 각안스님도 나무 꽤나 했지요.
땔나무가 충분한데도 노장님은 각안스님과 저에게 '이놈들아, 나무는 많이 해놓고 밥값은 해야지,
 나무를 많이 해놓으면 뒷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고 하셨지요.
 노장님은 천년만년 살 것처럼 나무를 틈나는 대로 쌓아놓고는 또 미련 없이 암자를 떠나버리곤 했습니다.
나무를 하는 데는 원칙이 있었지요. 암자에서 먼 곳부터 하라고 시켰습니다.
그래야 뒷사람들이 가까운 곳에서 쉽게 나무를 하니까요."
 
 
 
 
 
 

 

혜암스님의 지시를 받아 도솔암을 복원한 정견스님
 
 
 
 
"스님께서는 혜암스님의 어떤 모습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까?"
 
"노장님이 승려대회에서 호령하시는 모습도 아닙니다. 한밤중에 홀로 정진하는 노장님이 내 마음속의 노장님입니다.
출가해서 계를 받은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입니다. 암자에서 노장님과 한방을 쓰던 때입니다.
좁은 방을 이리저리 헤매고 자다가 소변이 마려워서 새벽에 일어났는데, 노장님께서 앉은 채 정진을 하고 계셨어요.
화두일념, 그게 딱 보였어요. 그때 노장님 모습은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 같았습니다.
수좌의 생명은 정진이지요, 그게 없으면 수좌라고 할 수 없어요."
 
부처님 말씀이 떠오른다.
어느 정사에서 잠에 곯아떨어진 제자들을 향해 "별은 단잠을 즐기라고 반짝이는 것이 아니다'라고
쉼 없는 정진을 당부하셨던 것이다.
 
 
"혜암스님께서 입적하였을 때 충격이 컸겠습니다."
 
"그때 저는 칠불선원에서 정진하고 있었습니다. 칠불선원에 방부를 드린 지 3일 만이었어요.
꿈속에서 노장님이 나타나 빨리 오라고 하는 거예요. 꿈속이지만 그냥 갈 수 없었어요.
노장님께 뭐라도 드리고 싶은 마음에 칠불의 약수라도 떠가려 했는데 흙탕물이 나와 애를 태웠지요.
그러다가 꿈을 깼는데, 노장님께서 입적하셨다는 연락이 왔습니다. 흙탕물이 나온 것은 노장님께 더 해드릴
무엇이 없는 저와의 인연이 다했다는 뜻이지 않나 싶어요."
 
 "어쨌든 승속을 떠나 참선 공부는 사람을 새로 태어나게 하는 데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단식 용맹정진을 마치고 백장암에 갔더니, 어디서 왔냐면서 마치 다른 세상에서 온 사람 같다고 하더군요.
참선을 통해서 심신이 맑아졌던 것이지요."
 
지리산이 받들고 있는 허공이 문득 거대한 일원상一圓相으로 보인다.
일원상 같은 속에서 새떼가 점점이 날고 있다.
마치 마조선사와 경산선사의 선문답이 허공에 그려지고 있는 듯하다.
 
 
 
 
 
 

 

세계건축대사전에 기록될 만큼 독특한 온돌구조를 가진 아자방 선방 내부 
 

지금은 칠불암의 규모가 커져 칠불사라고 부르는데,

혜암스님이 칠불암 선방에서 20여 명의 선객들을 지도하며 정진하던 인연은 스님의 나이 55세 때의 일이다.

 

 

 

 

 

 

 

 

용문사 뒷편 호구산 자락에 자리한 염불암

 

 

 

쉰셋에 남해 호구산 염불암으로 들어간 혜암스님은 출가 후 처음으로 회상을 열어 운수납자들을 지도했고,

쉰네 살 때는 해인사에서 하안거를 마친 다음 태백산 각화사 동암으로 올라가 2년 동안 현우, 현기 수좌 등과 함께

두문불출 용맹정진을 했다. 이후 1975년 겨울에는 송광사 선방에서 동안거를 나고 이듬해에는 지리산 백장암을 거쳐

칠불암에서 하안거와 동안거를 났는데, 이때 함께 정진한 대중은 현우, 활안, 성우, 현기, 인각, 원융 등 20여 명이었다.

 

칠불암 운상선원에서는 특히 중국 백장선사의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말라(一日不作一日不食)' 청규를

철저히 지켰다. 혜암스님은 모든 대중에게 지게를 하나씩 지급하여 낮에는 울력을 하고 밤에는 공부를 하도록 했다.

대중들은 외부에서 공양물이나 보시 정재淨財가 들어오면 쌍계사 입구까지 내려가 하루에도 몇 번씩 지게질을 했다.

비바람이 부는 날에도 예외 없이 지게를 지고 오르내렸다. 그해 겨울, 대중이 칠불암 운상선원을 중수하고 있을 때

혜암스님은 먼지 속에서 홀연히 나타난 백의 노승을 만났다. 노승은 스님에게 다음과 같은 게송을 전해주었다.

 

 

塵凸心金剛劘 / 때 묻은 뾰족한 마음을 금강검으로 베어내서

 

照見蓮攝顧悲 / 연꽃을 보고 자비로써 중생을 보살피며 제도하라.

 

 

그런 뒤 백의 노승은 혜암스님에게 ‘취모검을 들지어다(拈起吹毛劍)’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졌다.
 이와 같은 혜암스님의 종교적 체험을 한 상좌는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칠불 운상선원에서 종교적 체험을 하셨던 겁니다. 백의 노승의 게송 중에 ‘중생을 섭화해 보살피라’는 부분은
하화중생의 시절인연이 도래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생각해요.”
 
상좌의 해석이 맞을지도 모르겠다.
스님은 이미 남해 염불암에서부터 모여든 대중을 위해 회상(會上)을 열었으니 말이다.
회상이란 청규에 따라 공부하는 안거(安居)와 다르다.
 회상은 강제성을 띤 안거와 달리 대중이 선지식의 가르침을 듣기 위해 높은 산에 구름이 머물 듯
자발적으로 모여들어 형성된 법석(法席)인 것이다.
아무튼 남해 호구산 염불암시절 이후부터는 혜암스님이 가는 데는 수십 명의 선객들이
 자연스럽게 모여들어 회상이 이루어지곤 했다.
 
 
 
 
 

 

태백산 각화사 동암(금봉암) 가는 산길

 

 

 

태백산에는 선객들의 최고의 수행처로 꼽는 각화사 동암과 홍제사 도솔암이 있다.

동암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혜암스님이고, 도솔암 하면 일타스님이다. 혜암스님과 일타스님의 우정은 각별했다.

두 분은 법으로 만난 진정한 도반이었던 것이다. 지난달에 지리산 상무주암을 갔을 때 만난 현기스님의 동암에 대한 추억이다.

 

“1970년대 중반이었을 겁니다. 혜암스님을 모시고 살았습니다. 큰스님은 깔끔한 분이셨지요.

 신도들을 좋아했고, 신도들도 스님을 따랐습니다. 신도들이 오면 큰방에 들게 해서 밤새 법문을 했습니다.

 사실 뒷방으로 물러난 우리 후배들은 불편했습니다.

 하지만 큰스님은 우리가 수행을 잘할 수 있는 것은 신도들이 뒷바라지를 하기 때문이라고 말씀했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큰스님은 경제를 아셨던 것 같습니다.”

 

 

현기스님은 내가 모르는 사실도 알려주었다. 선객들은 동암을 금봉암이라고도 불렀다고 얘기했다.
 
“각화사 서암에서 동암을 보면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산자락이 봉황이고 암자가 그 알처럼 보이지요. 금봉이란 도를 깨친 것을 상징합니다.
저녁 햇빛이 비치는 아름다운 동암을 보노라면 옛 도인들이 자리를 참 잘 잡았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지요.
 허나 지금은 불사를 하면서 암자 위치를 바꾸어 그윽한 맛이 없습니다. 아쉬운 일입니다.”
 
혜암스님이 동암을 마음의 고향으로 여기며 살았던 까닭이 있다.
스님은 1955년 36세에 동암에 들어 2년간 두문불출하며 용맹정진한 끝에 일여(一如)의 경지를 체득하였다고 한다.
그 경지를 쉽게 말하면 진리에 대한 확고부동한 마음, 즉 ‘흔들리지 않는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경지가 되면 헛된 잡념이 발을 붙이지 못한다.
 
맹자는 그런 마음을 부동심(不動心)이라고 했다. 선객들이 흔히 득력(得力)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혜암스님도 동암에서 체득한 득력이 없었다면 오대산 사고암에서의 대오(大悟)도 없었을 것이다.
사고암에서 넉 달 동안 자신 있게 확신을 가지고 정진한 끝에 심안(心眼)이 열렸던 까닭이다.
 
혜암스님이 동암을 두 번째로 올랐던 때는 1975년 56세가 되던 해 가을이었다.
역시 2년 동안 동구불출(洞口不出)할 것을 현우, 현기 등과 각오하고 용맹정진에 들어갔던 것이다.
 혜암스님이 56세 때는 이미 많은 출재가자들이 스님을 따르고 법문을 청하던 시기였다.
 
 
 
 
 

 

 

혜암스님이 일여의 경지를 체득했던 각화사 동암
 
 
 
 
동암 대중들은 신도가 오면 신도와 함께 밤새 스님의 설법을 들어야 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막 졸렸다가도 스님 설법이 시작되면 잠이 달아나고 신심도 솟구친다는 점이었다.
 
《오대산 한암스님 밑에서 살 때를 회고해 보면 정말 꿈속의 일 같습니다. 사람(화전민)이 짐승같이 생활하고 있어요.
 나무를 베어가지고 움막에 흙을 바르고 사는데, 흙도 많이 붙이질 않고 나무 틈새만 막고 살아요.
흙이 떨어진 곳은 헝겊이나 솜 부스러기로 막아놓고 사는데, 마치 돼지 굴속처럼 생겼어요.
아, 애들이고 어른이고 할 것 없이 신발 없이 맨발로 다니고, 밥을 굶어 얼굴이 하얗게 떠 있어요.
 배가 딱 불러가지고 불쌍해요. 그래도 그런 생활에 익숙하니 탈이 안 납디다.
근데 나는 그런 불편하고 살기 힘든 산중에서 공부가 더 잘돼요.
 
 나도 똑같이 밥도 안 먹고 넉 달을 살아봤어요. 그때 나는 한 끼를 생잣잎에다 콩을 열 개나 일곱 개 먹었어요.
 숫자를 세어 정확하게 먹었어요. 삼동에는 잣나무 가지를 분질러서 방에 두고 씹어 먹으며 물을 마셨지요.
  나는 공부하는 사람이니까 시험을 한번 해본 것이지요.
누가 양식을 가져와도 안 받고 쌀밥, 보리밥은 한 끼도 안 먹고 네 달을 사는데 몸이 날아갈 것 같데요.
목에 칼이 들어와도 무섭지 않을 것 같고 정신만 남아 몸뚱이가 없는 것 같아요.
 
 봄이 돌아와 무슨 씨앗인가를 심으려고 괭이질을 하는데 마음과 달리 허리가 뚝 끊어지려고 해요.
 그래, 아픈 허리 나으려고 민가로 찾아가서 쌀 한 홉을 얻어와 갈아서 국물처럼 마시니까 언제 아팠냐는 듯 나아버려요.
 얼마나 그때는 춥던지, 아침에 방을 나오면 사람 키보다 눈이 많이 와 있어요.
눈도 오고 바람도 불지만 누구에게 옷을 달라 할 수도 없고, 눈에 산길이 막혀 오고갈 수도 없었지요.
그러니 공부가 안 될 수가 없어요. 내가 도 닦으러 왔지 잘 먹으러 왔냐는 생각이 드니 더 잘 돼요.
 그냥 기쁜 생각만 나고 고생스럽다는 생각은 저절로 없어져버려요.》
 
 
 
 
 

 

혜암스님이 선객들을 지도했던 태백산 각화사 동암
 
 
 
 
  《옛날 스님네들은 다 이런 고생을 하는 가운데 도를 닦아서 도인이 됐는데,
 나 역시 도 닦으러 온 사람이 어찌 이런 어려움을 이겨내지 못하랴 싶어 그냥 용맹심이 나옵니다.
도 닦으려고 왔다는 생각 하나만 내면 바로 마음이 편안해지고 바로 용맹심이 나와요.
얼마 되지 않은 일인데 몇 백 년 전 옛날이야기 같잖아요.
내가 조금이라도 보탠 이야기가 아닙니다. 한 번쯤 들어볼 만한 이야기 같지 않습니까?
 
부처님 말씀에 수행하는 사람들은 가난부터 배우라고 했습니다. 상삼(常三)이 부족해야 한다고 했어요.
세 가지가 항상 부족해야 한다, 이 말이에요. 집과 옷, 먹을 것이 부족해야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난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공부하는 사람은 가난을 원망해서는 안 돼요. 공부하다가 안 되면 고생을 사서라도 공부환경을 만들어야 해요.
 
 그런데 이것과 반대되는 이야기가 있어요.
신심 있는 보살이 어떤 스님을 공부시키려고 집을 지어준 다음 아주 영양가 있는 맛난 음식을 날마다 해주었어요.
 아무것도 하지 말고 오직 공부만 하라고 넣어 주었던 거지요. 그런데도 스님은 공부가 안 돼요.
방 안이나 주위에 공부를 방해하는 것이 하나도 없는데 말이에요.
 
 그렇게 1년, 2년, 3년이 지나고 난 뒤에야 방 안의 스님은 꾀를 냈대요.
 도인이 되라고 방 안에 화장실도 만들어주고 끼니마다 밥을 넣어주었건만 공부가 안 되니 그런 것이지요.
 어느 날 보살이 밥을 가지고 오자 스님은 “야, 이년아, 한 번 보듬고 자자.” 이렇게 소리를 질렀대요.
 보살이 그 일을 처사에게 일러바쳤지요. 처사가 마누라 얘기를 듣고는 당장 스님을 내쫓았는데,
스님은 좋다고 춤을 추면서 나왔다는 얘깁니다.
 
 
이 공부는 이상해요. 그냥 가만히 있다고 되질 않아요. 이 마음이 참 이상한 놈입니다.
 옛날 사람들도 애를 쓰고 몸부림을 치면서 이 공부를 했어요.》
 
 
 
혜암스님의 법문은 자신이 사고암에서 용맹정진했던 경험담인데, 동암 대중이나 신도들에게는
 ‘아, 나도 저렇게 공부하면 도를 얻겠구나’ 하고 마음을 다져주는 신심 나는 얘기였다. 그렇게 해서 깨달음을 얻은
혜암스님이기 때문에 증언을 듣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보살이 스님을 시봉하며 공부하는 얘기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요즘 무문관이란 1인 선방이 유행인데, 의식주를 지원해주는 대신 공부만 하라는 감옥 같은 곳이다.
그런 곳에서 공부가 된다면 다행이지만
 ‘가난하지 않으면 도가 성글다’는 옛 스님들의 고언을 새겨볼 필요가 있다.
 
 
 
● 인용서적: 정찬주 著 『공부하다 죽어라』 사진: 유동영
 
 
 
 
 
Reflections - Deu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