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산행·여행·풍경

2014 고불 영산홍

茶泉 2014. 4. 24. 22:11

2014. 4. 24

 

 

쌍계루

 

 

 

백양사 고불 영산홍

 

 

 

 

 

 

 

고불매와 나란히 선 고불 영산홍

  

 

 

 

 

 

 

 

 

 

 

 

 

 

 

 

 

 

 

 

 

 

 

 

 

 

 

 

 

 

 

 

 

 

 

 

 

 

 

 

 

 

 

 

 

 

 

 

 

 

 

 

 

 

 

 

 

 

 

 

 

 

 

 

 

 

 

 

 

 

 

 

 

 

 

 

 

 

 

 

 

 

 

 

 

 

 

 

 

 

 

 

 

 

 

 

 

 

 

 

 

 

 

 

 

 

 

 

 

 

 

 

 

 

영산홍에 이어

오월이면 피어나게 될 각진국사의 이팝나무

 

   **********************************************************************************

 

 

 

 

영산홍(映山紅).

사전적 의미에서는 "진달래과에 속한 상록 관목"이라 정의 하고 있다.

 

 진달래, 털진달래를 비롯 모든 철쭉류를 통틀어 '진달래과'라 통칭 한다지만

수 백년 수령의 토종 영산홍에 관심을 갖다 보면, 여타 '진달래과'의 꽃 들관

확연히 다른 무언가가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꽃의 색감이나 품격은 말 할 것도 없고,

줄기의 뻗음과 가지의 휨새, 고목에만 붙어 자라는 이끼류와 목버짐의 예스러움을 볼 때

통칭 '진달래과'로 한데 뭉뚱그리는 것은 고목 영산홍에 대한 예우가 아니라는 생각이다.

 

다른 진달래과에선 찾아 보기 힘든 은은한 붉음과 기품 만점의 토종 고목 영산홍은

대책없이 눈을 피곤하게 하는 시뻘건 색감이나 어정쩡한 자주색 계열의 일반 철쭉류완 달리,

  도를 넘지 않는 정열적인 색감과 미감(美感)이 되려 마음의 번뇌마저 진정 시켜 준다는 사실.

 

오랫동안 우리의 토종 고목 영산홍을 쫓아다니면서 체득한

내 나름의 경험담을 늘어 놓곤 있지만, 기실 느낌이라는 세계가 극히 주관적인데다

언필칭 필력의 묘(?)까지 요구되는 차원인지라...

 

우리나라 4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매화나무 중 유일한 홍매(紅梅)인 백양사 고불매(古佛梅).

그 옆에 나란히 서서 매화의 피고 짐을 낱낱이 지켜본 후 꽃을 피워내는 고불 영산홍의 자태.

 

 걸출한 고불매향(古佛梅香) 세례를 원 없이 흠향 한 후 꽃을 피워내서일까?

   고불 영산홍은 절대 예삿 류(類)의 영산홍이 아니라는 사실을 금년에도 새삼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