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송년 살롱 드 월봉
- 제7회 -
2011년 월봉서원 송년 salon de wolbong |
■ 주제 : 새김아트 강사 : 고암 정 병 례 공연 : Ensemble ARCO - 장소 : 월봉서원 체험관 - 일시 : 2011년 12월 22일 (목) _ 주최 : 광주광역시 광산구 - 주관 : 교육문화공동체 '결' - 후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재)고봉학술원, 행주기씨문헌공종중, 광주향교여성유도회, 광산문화원, 광산구문화유산해설사회 |
|
Ensemble ARCO 클래식 현악기의 음악적 호흡을 가지는 활 을 뜻하는 Ensemble ARCO는 국내 외 각자의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중인 22인의 정상급 전문연주가들과 8명의 Stage Running 전문 스텝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고전으로부터 그루부한 재즈와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레퍼토리의 음악을 아르코만의 독창적인 해석으로호평과 사랑을 받고있는 크로스오버 앙상블이다. |
Eilectris Violin 강 명 진
Beethoven
Ensemble ARCO
클래식 현악기의 음악적 호흡을
활을 뜻하는 Ensembl ARCO는 국내 외 각자의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중인 22인의 정상급 연주가들과
8명의 Stage Running 전문스텝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전으로부터 그루브한 재즈와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레퍼토리의 음악을 아르코만의 독창적인 구성과 해석으로 호평과 사랑을 받고 있는 크로스오버 앙상블이다.
Eilectric Violin 강 명 진
El Tango Para Violin - Orien Tango
거위의 꿈 - 인순이
Ensemble ARCO
Viva - Bond
Explosive - Bond
고암 정 병 례
■ 1948년 전라남도 나주 출생 ■ 고암 전각 예술원 설립, 원장 ■ 서울예술대학 시각디자인 겸임교수(2008) ■ (현) 극동대 전임교수
정고암은 전통 전각예술을 문자, 디자인을 조합시켜 재 해석한 현대전각 작가이다.그의 작품은 물질적인 요소와 정신적인 요소들을 포함하여 포괄적인 개념으로 접근하고 문자, 회화 등의 기법에 새롭게 반영하여 전각의 장르를 확장(ssige, color, obje, animation)시켰다. 전각을 하는 행위는 다른 장르와는 차별적으로 새김을 중시한다. 페인팅과 드로잉, 행위예술 등과 같이 새김도 변화의 흐름에 진화되고, 주도되어야한다. 그는 적절한 시대정신을 가지고 현대적각의 중심축에서 창조적인 새김기법으로 세계와 교류하여 '새김아트' 라는 우리만의 독자적 예술 장르를 창시했다. 고암의 전각 작품들은 영화나 방송, 에니메이션, 책 표지, 지하철과 거리에서 자주 접할 수 있다.지하철역 게시판의 '풍경소리', 드라마 '왕과 비'의 타이틀이 그의 작품이다.
그는 또 전통예술에서 시작해 설치, 퍼포먼스를 넘나들고 있다. 최근에는 전각 애니메이션을 선보이며 아나로그와 디지털의 결합을 통해 멀티예술로서의 대중화를 이끌고 있다. 이는 중국 대만 일본 등우리보다 전각이 훨씬 발전한 나라에서도 꿈꾸지 못했던 것이다.
그는 "전통에 해박해야 비로소전통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면서 전각은 글씨와 그림, 조각이 하나로 어우러진 종합예술로.그 특성을 극대화하면 더욱 참신한 세계가 펼쳐진다." 고 말한다./고암의 작품을 소개한 글에서 발췌한 내용/
/전각이라는 호칭 자체에서 오는 느낌이나 그동안의 관념이 한국적, 내지는 동양적이었는데
정 화백 작품에서는 오히려 서구적이고, 특히 피카소의 기하학적인 구도 같은 것까지도
느껴지는데 이 점을 어떻게 설명해주실 수 있는지./
//추상이라면 인물 동물 정물 등을 있는 그대로 사실적으로 그리지 않고 추상적 관념적으로 그린 것이
추상입니다. 글자와의 관계를 놓고 보자면 글자는 원래 표의(表意)문자였습니다. 모든 문자의 시작은
표의였다가 소리글로 변하며 표음문자가 되었다고 보는 것 아닙니까? 한국적인 것을 모티브로 작품을
한다고 해서 표현 자체도 한국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옛것을 옛것과 똑같이 그대로 재생시킨다면 그건 장인(匠人)이 할 일이지 예술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옛것에 익숙해지되 새롭게 창조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작품활동을 하는 것이야 말로
한국적인 것을 21세기의 세계적인 것으로 창조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거기에 우리나라 미술의 미래가
있습니다. 그러자면 문사철(文思哲)의 내공이 있어야 과거를 소재로 미래를 표현할 수 있는 예술이
나온다고 봅니다. 단순한 것을 뛰어넘어야 되죠.//
/인터뷰 365 중에서/
삼족오
/새김아트를 전위예술로 봐도 되나요?/
//새김아트가 전위는 아닙니다. 구태여 말하라면 과거와 미래 사이의 징검다리라고는 부를 수 있겠죠.
현대미술이라 해서 과거를 버리고 그 반대편만 보자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각도로 보느냐에 따라
현대냐 아니냐, 또는 좌냐 우냐라고 하겠죠. 인류사가 걸어온 철학적 내공을 21세기의 디지털이라는
그릇에 담는 것을 가지고 저는 새김아트라 부르고 있거든요. 토기는 흙그릇이고 청동기는 놋그릇인데,
담는 그릇은 변해도 예술의 본령이나 본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 본질을 어떻게 끄집어내느냐가
현대미술입니다. 우주속의 새 질서를 발견하는 거죠//
-인터뷰 365 중에서-
|
새벽울림
(한지.수성물감.유성물감)
|
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