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탐매

우화루(雨花樓)옆 고불매(古佛梅)

茶泉 2008. 4. 8. 15:29

 

                江國春風 吹不起   

             강물나라 남녘 봄바람 아직이나

 

                雨過雲凝 曉半開

             비 개인, 동트는 새벽에

                惹得天花 動地來

             매화꽃 어리니 땅 흔들려

 

 

 

고불홍매의 용틀임과 천지를 휘감는 매향의 세계....

 

 

 

 

 

 

 

 

우화루 옆 고불매

 

 

 

                                                              “1960년대 후반에 향적전을 보수할 때 담장도 새로 만들게 되었다.

 

                                                              담장 한가운데에 고불매가 자리를 잡고 있었다.

 

 

 

                                                              여러 스님들이 이 매화를 베어버리자고 했지만

 

                                                              당시 종무소임을 맡고 있던 지선 스님이 담장의 위치를 바꿔서라도

 

                                                              매화나무를 살리자고 했단다.

 

 

 

                                                              그리하여 지금 우리가 이 매화향기를 맡을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때 향적전 앞에 백매화도 한 그루 있었다.

 

 

 

                                                              백매화는 그만 죽고 말았는데,

 

                                                              지선스님은 백매화를 구하지 못한 것을 항상 안타까워하고 있단다.

 

 

 

 

                                                                                 

 

 

 

 

 

                                                             어디선가 위의 기사를 읽은 기억이 나는데...

 

                                                             위의 사실은 내가 보증할 수 있다,

 

                                                           

 

                                                            그 시절,  내가 바로 사하촌에 살면서 늘상 백양사를 들락거리며 보았기 때문.

 

 

 

 

 

 

 

고불매 아래에서 생각에 잠기노라니...

 

그 시절, 담장 옆의 수각도 새로 만들고 연못도 만들었던 기억도 떠 오른다.

 

 

 

 

 

 

작년이던가, 재 작년이었던가....? 

 

굵은 가지 하나가 눈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부러져 내려 담장가에 널부러진 걸 본 일이 있었는데

 

마치, 내 팔이라도 잘려 나간 양, 너무나도 가슴이 아리고 안타까웠던 기억도...

 

 

 

 

 

 

담장 너머 수각 쪽으로 뻗어내린 저 가지에서 가장 빨리 개화가 시작된다.

 

 

 

 

 

 

 

꽃비집이라는 당호와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고불매

 

불가의 심오한 뜻을 내포하는 우화,

 

 

 

내 어릴적, 저 고불매 옆 우화루에선 스님들이 무술을 열심히 수련하고 있었고,

 

 때로는, 정신나간 자를 불러 앉혀놓고 열심히 독경을 외다가 시누대 회초리로

 

사정없이 내려쳐 제 정신을 찾게하는 현장도 본 일이 있다.

 

 

 

 

 

 

호남 5매(湖南5梅)  산청 3매(山淸3梅)라는 말이 있다.

 

 

 

백양사의 고불매, 선암사의 선암매, 가사문학관 뒷편 지실마을의 계당매,

 

전남대학의 대명매, 소록도 중앙공원의 수양매를 일러 호남 5매라 칭 하고,

 

 

 

고려말의 세도가 원정공 하즙이 심었다는 원정매

 

강희안이 단속사에서 공부하며 심었다는 정당매,

 

산천재의 영원한 처사  남명조식선생의 남명매를 일러

 

산청 3매로 부른다.

 

 

 

백양사의 고불매를 비롯, 화엄사 길상원매, 선암사 무우전매, 오죽헌의 율곡매 등이

 

 근자에 천연기념물로 지정 고시된 바 있는 사실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고매에 대한

 

인식과 대접이 과거완 확연히 달라졌음을 볼 수 있어 매우 즐겁지 않을 수 없다.

 

 

 

 

 

 

 

 

그 밖에도 가히 국보급 대접을 받아야만 하는 매화가 몇 그루 있음도 나는 잘 알고 있다.

 

 

 

梅花.....

 

 

 

빠지고 또 빠져들만한 가치가 충분히 차고 넘치는

 

아름다운 古佛梅의 세계가  우리 곁에 있음에

 

 너무 너무 즐겁고, 감사하고, 행복하기만 하다.

 

 

 

 

 

백양골에서 만난 앙증스런 애기똥풀 

 

 

 

 

 

 

 

활짝 피어버리면 오히려 매력이 반감되어버리는 '꿩의바람꽃 '

 

지금 이 상태가 가장 보기 좋다는 생각.

 

 

 

 

 

 

너무나도 가슴 떨리는 '피나물'과의 만남

 

 

 

 

 

 

주로, 중부 이남에 많이 피어나는 '피나물'

 

 

 

 

 

 

그 계곡(?) 아래에 이런 멋진 세계가 펼쳐져 있을 줄이야... !

 

 

 

 

 

 

'길마가지'에도 아는 체를 해 보고... 

 

 

 

 

 

 

나도물퉁인지 뭔지의 두런거림에도 귀를 갖다 대 본다.

 

 

 

 

 

금창초

 

 

 

 

 

현호색

 

 

 

 

 

 

구슬붕이

 

 

 

 

 

 

백색얼레지

 

 

 

 

 

 

흰털괭이눈

 

 

 

 

 

 

족도리풀

 

 

 

 

 

 

 

명자꽃

 

 

 

 

 

 

비구니 수도도량, 천진암의 수선화 

 

 

 

 

 

 

행복한 날의 오후

 

 

 

 

 

 

 '꽃 밝힘증' 불치 환우(?)  모임

 

 

 

 

 

야생화의 세계,

 

그 진정한 미의 세계를 섭렵할 줄 아시는 분 들이기에 더욱 아름답습니다.

 

 

 

 

 

 

 학이 나래를 펴니 야생화도 빵끗 웃으며 춤을 추어대고...

 

 

 

 

 

 

 단풍나무 가지엔  붉은 물감이 번져가고, 물 색은 더욱 청아하기만 한데

 

 

 

 

 

 

 

 

 

 

고불매 감상과 피나물 등으로 주린 배를 맘껏 채우고

 

굴참나무 숲길을 내려가는데

 

벌써, 부처님 오신날을 알리는 연등이 양 옆으로 내 걸리고 있었다.

 

 

 

또 다시 일년을 기다려야 한단 말인가....?

 

 

 

고불매 꽃비가 우화루에 날릴 때까지

 

고불총림의 문턱이 닳고 또 닳도록  

 

古佛梅를 찾고 또 찾으리라.

 

 

2008, 4, 6 일요일